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액션러닝을 활용한 진로교육기반 해외체험학습 모형 탐색

        박경민,강두봉,김선,박수현,추원식,주훈 APEC국제교육협력원 2014 국제교육협력연구지 Vol.7 No.1

        In recent years, the globalization has raised the interest in the overseas experiential learning. Overseas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by learning from various cultures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achieve the global insights and leadership. However, the regulations have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and Ministry of Education tend to recommend not to travel abroad without a special purpose. The results were found that teachers seek the exchange program with the local students in the partner country, and, overall, the cost-effectiveness was relatively low. Also, with the fact that the revisit was not recommendable, the satisfaction of the previous activities has been questioned. Teachers agreed with the critical points on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ositively rated the suggested prototype of oversea experiential learning based on career education.

      • SW교육 연구 주제 동향 분석

        주훈 ( Juhun Jeong ),이승민 ( Seungmin Lee ),강두봉 ( Doobong Ka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SW교육 관련 연구들이 학계에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이후 학술지 및 학술발표대회 논문집에 발표된 총 88편 연구물들의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들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앞으로의 SW교육의 방향 정립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STEAM기반 초등 SW교육 프로그램 모듈 개발 및 적용

        강두봉(Kang Doo Bong),이승민(Lee Seung Min),주훈(Jeong Ju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목표기반시나리오를 적용한 STEAM 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 모듈의 개발 및 적용에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1차 개발 49명, 2차 개발 88명, 최종 154명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래피드 프로토타입 방법에 따라 모듈 수정이 용이하도록 비선형적, 동시적으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최종 프로토타입을 일반-심화과정으로 개선하여 2018년 6월에서 7월까지 학생 103명에게 적용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모듈은 목표중심시나리오(DBS)를 바탕으로 시나리오의 커버스토리를 초등학생이 발견할 수 있는 학교생활 속 문제 상황을 제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세 가지 시나리오(수학형, 과학형, 예술형)에 6가지 미션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3차에 걸쳐 학생, 교사, 전문가 측면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용 컴퓨팅 사고력 측정도구를 동일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최종 프로토타입에는 교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초, 심화, 메이킹의 코스를 추가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 based SW education program module applying Goal-Based Scenario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Program development was condu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7 with 49 students in the first development, 88 students in the second development, and 154 students in the final. Rapid prototyping method was applied to non-linear and simultaneous modules for easy modification. Final prototypes were improved to basic and advanced processes for generalization of programs and applied to 103 students ,from June to July 2018, Satisfaction survey. The development process is non-linear and simultaneous to facilitate the module modification according to Rapid Prototyping Method. The cover story of the scenario presented the problems in the school lif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find, and eventually developed six missions in three scenarios (mathematical, scientific, and artistic).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e conducted a third-level usability evaluation of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The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the same group pre- and post-test us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instrument. The final prototype suggested a course of Basic, Advanced, and Making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teachers.

      • KCI등재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수업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한국어 특성 반영과 교사활용도 증진을 위한 UI설계를 적용하여-

        강두봉 ( Doo Bong Kang ),주훈 ( Ju Hun Jeong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 및 구현한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간소화하고, 서술어가 뒤에 나오는 한국어특성을 감안하였으며, 입체적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법``,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 Mcgraw의 ``과업집중 분석법``의 3가지 방법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달리 위 3가지 특징을 적용하여 교사들이 손쉽게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앱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일선 교사들은 다른 교사의 도움이나 전문적 지식 없이도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백 할 수 있어 자발적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최근의 수업 환경에 맞는 수업분석 기법 및 음성인식 시스템 등의 연구와 연계하여 수업분석 원리의 정립과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smart device based instructional analysis applicatio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aching in class. The main design features for this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User Interface(UI) has been simplified to provide teachers a clear and easy-to-understand way to utilize the applic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ere considered, such as sentence structure. Third, multi-aspect analysis is possible through adopting three analysis types -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Tuckman`s analysis, Mcgraw`s concentration of instruction analysis. The practical instructional analysis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this user-oriented application will be able to help teachers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 Also,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researches on design principles of instructional analysis, especially with the recent technology and theories, such as a voice-recognition system, an edutainment applied instruction and an experiential learning.

      • KCI등재

        Time Lags between Hydrological Variables and Phytoplankton Biomass Responses in a Regulated River (the Nakdong River)

        김명철,강두,광석,김동균,신현석,주기재 한국생태학회 2009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2 No.4

        This study describes time lag responses between hydrological variables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a regulated river system, the lower Nakdong River in South Korea. The lower Nakdong is a typical flow-controlled lotic system, and its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are influenced by climatic variation such as monsoons and summer typhoons. Mean rainfall in the area during summer is about 1,200 mm, which comprises >60% of annual rainfall. Our results show that the regulation of flow in the Nakdong by multi-purpose dams from 1995 to 2004 affected phytoplankton dynamics. Diatom blooms occurred in winter, when the limited discharge allowed for prolifera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detected significant time-delayed relationships between hydrological variables and phytoplankton biomass.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water resource managers, and suggest that ‘smart flow’ control would improve water quality in large regulated river systems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학습 네트워크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영환,강두,주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learning networks and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and research subjects for the future learning network. 115 academic articles on learning networks published by domestic journals from 1996 to 2015 April wer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was developed from analysis by year and journal,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search methodology, scope, target, and network type. Also, the network texts between index terms and abstract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rom the current analysis, it was shown that researches on learning network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the publications have been produced mainly in the field of adult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education media journals.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survey research and case study had the highest rate of usage in methodology. In order of frequency, the scope of research were school, virtual space, community, and the objects were human resources, cyber network, local resources accordingly. The most types were appeared as offline and online from the outcome of network type analysis. As the result of network text analysis, the most frequent word was ‘Network’, followed by ‘Social network service (SNS)’, ‘Lifelong education’, ‘Online’, ‘Learning network’, and ‘Social connection’. This result leads the suggestions that the discussion on elementary middle school education and non-formal informal education is needed, the theoretical research on literature review and concept establishment is required, the individual level researches in education psychology or sociology of education have to be conducted, and various researches and policies on blended education combining of non-formal informal education and formal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proper conne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를 위한 방향 선정과 연구주제 선정을 위한 기본 데이 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15년 4월까지 국내 학술 지에 게재된 학습 네트워크 관련 1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학술 지별 현황 분석 및 연구방법, 연구범위, 연구대상, 네트워크 유형 등의 내 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 분석을 통한 색인어 선정 및 색인어와 초록 간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 분 석 결과, 학습 네트워크 관련 연구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평생교육 및 교육공학․교육미디어 관련 학술지에서 연구 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분석 결과, 연구방법은 조사 연구와 사례 연구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연구범위는 학교, 가상공 간, 지역사회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인적자원, 사이버 네트워크, 지 역자원 순으로 나타났고, 네트워크 형태 분석 결과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형태가 거의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주제어 빈 도수는 ‘네트워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평 생학습’, ‘교육’, ‘교육복지’, ‘평생교육’, ‘온라인’, ‘학습네트워크’, ‘사회연결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언으로 초중등교육 및 비형식․무형식 교육에 대 한 논의가 필요하고, 문헌 연구 및 개념 정립에 대한 이론적 탐구가 먼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교육심리나 교육사회학 분야에서의 개인 수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제대로 된 연결(connect)을 위해서는 다양한 비형 식․무형식 교육과 형식 교육의 블랜딩에 대한 연구 및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평생학습사회』의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김영환,주훈,강두,박경민,김상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평생교육 원격고등교육기관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평생학습사회』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의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73편의 게재논문에 제시된 663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수 분석 및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빈도수가 높았던 주제어는 ‘평생학습’, ‘평생교육’, ‘학습’, ‘성인’ 등이었으며, 등재 전후의 비교 분석을 위해 2005∼2010년을 전기, 2011∼2014년을 후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감소량이 많았던 주제어는 ‘평생학습’, ‘튜터’, ‘원격교육’, ‘인적자원’ 등이었고 증가량이 많았던 주제어는 ‘성인’, ‘자기효능감’, ‘평생교육사’, ‘교육복지’, ‘스마트’, ‘페미니즘’ 등이었다. 또한 ‘튜터’, ‘인적자원’, ‘도시’, ‘체제’, ‘북한’, ‘유비쿼터스’ 등은 후기에는 한 번도 출현하지 않았고 ‘자기효능감’, ‘교육복지’, ‘비판’, ‘사고’, ‘스마트’, ‘지식’, ‘페미니즘’ 등은 전기에는 출현하지 않았으나 후기에는 다수 출현하여 용어의 변화 및 연구가 나타났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44개의 주요 색인어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여러 색인어 간의 군집성을 가시화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topics and their corelation targeting articles that published b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which is issued by Distance Learning Research Center of Korean National Open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n 663 key words presented in the 173 articles.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 words for the last decade were ‘lifelong learning’, ‘lifelong education’, ‘learning’ and ‘adult’. To compare the trend of research before and after the journal was listed as a KCI journal, this study separated and analysed articles published in the former period(2005-2010) and the post period(2011-2014). Through th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 frequency of key words such as ‘lifelong learning’, ‘tutor’, ‘distance learning’ and ‘human resources’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key words such as ‘adult’, ‘self-efficacy’, ‘lifelong educator’, ‘educational welfare’, ‘SMART’ and ‘feminism’ has increased. Also, ‘tutor’, ‘human resources’, ‘city’, ‘system’, ‘North Korea’ and ‘ubiquitous’ haven’t appeared at all. Although the key words such as ‘self-efficacy’, ‘educational welfare’, ‘criticize’, ‘thinking’, ‘SMART’, ‘knowledge’, and ‘feminism’ were not mentioned in the former period(2005-2010), they have frequently appeared in the post period(2011-2014), which shows the change and expansion of study area.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the centurality and relation among key guide word could be determined. Lastly, by cluster analysis, the clustering of a variety of guide words was able to be sh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