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의 <제행무상>에 대한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의 고찰-과정으로서의 무상 이해와 불교의 <실재론적 전환> 모색

        정강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6

        본 논문은 불교가 말하는 삼법인(三法印) 중에서도 첫 번째인 <제행무상>諸行無常 을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의 <과정>process 이해에서 고찰해본 것이다. 초기불교에 나타난 제행무상의 의미는 붓다 당시의 힌두이즘에 맞서 <영원불변하는 존재에 대한 부정성>을 담고 있다. 이 무상설은 붓다의 경험론적 통찰에서 비롯된 일반화로서 모든존재 일반이 <생멸의 과정>을 갖는다고 봤었기에 <아트만의 영원불변한 실체성>은 근본적으로 부정된다. 이 글에서는 <실체>를 반대한 붓다의 <무상> 이해가 모든 현실존재들을 <원자적인 생멸 과정>으로 정식화했던 현대의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에도 부합된 것으로 보면서 <과정 원자론에 바탕한 실재론적 불교>에도 여전히 열려 있다는점과 이를 통해 불교의 <실재론적 전환>을 주장한다. 화이트헤드에게는 <과정>이 곧<실재>요 <실재>는 <과정>으로서, <실체>(實體, substance)를 거부하면서도 <실재>(實 在, reality) 자체를 아예 없다[無]고 본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붓다 이후의 체계화 과정에선 여러 부파 간의 해석에 따라 <실재론적 불교>를 <실체성[자성]을 갖는 불교>로이해하여 <실체>와 <실재>를 정교하게 구분하지 않은 채로 혼재된 점들도 있어왔다. 결국 <극미(極微) 실재론>의 성격을 벗어나 대승의 <유심론적 불교>로 나아갔던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선 애초 <생멸 과정>에 근거했던 붓다의 <무상설>을 <과정 실재론>으로 받아들여, 무자성(無自性)의 공관(空觀)이나 오직 식(識)만 있다고 봤던 유식관(唯識觀)과도 또 다르게, <극미 실재론의 불교> 전통을 다시 불러들인다. 이 중에서도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설일체유부보다는 삼세실유(三世實有)를 반대하고 실체성의무위법(無爲法)도 거부했던 <찰나 생멸의 경량부 불교>처럼, 생멸을 현실의 기본 사태로서 받아들이고 <과정으로서의 무상>에 철저했던 불교 내 전통의 중요성을 다시금강조하고자 했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애초 붓다가 통찰했던 <생멸 과정으로서의 제행무상> 의미를 <과정적 실재의 원자론>으로 다시 구축하고자 하는 <21세기 불교철학의 실재론적 전환>의 새로운 전망을 위한 확장적 시도로서 제안된 것이다.

      • KCI등재

        한마음 대행선사의 종교적 경험에 대한 자연주의적 접근 이해-앤 태브스(Ann Taves)와 올라브 해머(Olav Hammer)의 이론을 중심으로-

        정강길 한국종교학회 2023 宗敎硏究 Vol.83 No.2

        이 글은 한마음 대행선사의 종교적 경험과 그것이 확장되어간 사회화 과정에 대해 자연주의적 접근의 이해를 시도한 글이다. 여기서 말한 자연주의적 접근이란 종교학자인 앤 태브스가 종교적 경험에 대한 재고찰에서 제안된 이론과 이를 이어받은 올라브 해머가 종교 기업가적 모델로서 바라본 접근법을 말한 것인데 이는 종교적 경험에 대한 윌리엄 제임스의 기존 접근법이 갖는 한계마저 넘어선 것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한마음 대행선사가 겪은 종교적 경험에 대한 이해와 그리고 그것이 확장되어간 사회화 과정의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종교적 경험에 대한 이해의 접근을 종교학만의 특권화된 영역이 아닌 다른 학제 간 이해와도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연관된 소통의 통로를 더욱 열어놓고자 한 것이다. 한마음선원은 현재는 불교 안에 자리하고 있지만 기존 불교와도 일정 부분 차별점도 있는 새로운 흐름의 성격도 지니고 있어 여전히 종교학의 연구 주제로 볼 만한 점이 있다. 먼저는 대행선사의 성장기와 내면의 아빠 경험이 갖는 이해를 통해 그 체험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변화의 요인을 고찰하고, 두 번째는 불교와의 관계맺기와 대행선사의 수행기를 살폈었다. 세 번째는 대행선사의 신비적인 종교 체험과 대중들과의 접촉 공명의 성격을 그 사회화 과정의 유효한 전략들에서 그 의미가 계속 강화되어 갔다고 보면서, 끝으로는 대행선사의 종교 기업가적 성공을 본원의 땅에 정착한 후로도 그 확장일로에 있어 새로운 시도를 마다하지 않는 도전적인 기업 정신에서 찾고자 했다. 전반적 순서로 보면, 대행선사의 내면의 아빠 체험이 갖는 인생 변화의 계기가 있고 이것이 불교적 환경의 배경과 결합되어 대행선사만의 색조를 드러내는 사상과 실천으로서 함께 발현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는 유효한 사회화의 확장 전략과 새로운 활로개척의 창조적 모험 정신이 한마음선원이라는 합성된 여러 종교 구축물을 형성케 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 naturalistic understanding of Daehaeng's religious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its expansion in society. The term 'naturalistic approach' refers to the theory proposed by religious scholar Ann Taves in her book ‘Religious Experience Reconsidered’, and the approach adopted by Olav Hammer, who utilized it as a religious entrepreneurial model. This approach extends beyond the confines of William James's approach to religious experience. By examining Daehaeng's understanding of religious experience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that facilitated its growth, the goal is to broad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religious experiences, connecting them with other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rather than limiting them solely to religious studies. Although Hanmaum-Seonwon currently identifies with Buddhism, it is also a new religion distinct from traditional Buddhism, making it a subject worthy of study with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In this article, I first investigate Daehaeng's childhood environment and the pivotal transformative factors in her life, particularly her 'Inner Dad' experience,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her personal transformation. Second, I explore her relationship with Buddhism and her period of practice as an agent. Third, I analyze the resonance of Daehaeng's mystical religious experiences and her interactions with the public, which strengthened the significance of her socialization process. Finally, I identify Daehaeng's religious entrepreneurial success in her bold and exploratory spirit, unafraid to try new approaches even after establishing her presence in her homeland. Overall, it becomes evident that Daehaeng's life-changing trigger, the 'inner father' experience, combined with her Buddhist background, has contributed to her unique perspectives and practices. Additionally, her effective socialization strategy, engaging with the public, and her creative and adventurous spirit in exploring new paths, all form the foundational elements that have shaped Hanmaum-Seonwon into a synthesized ‘building-blocks of religion.’

      • KCI등재

        作用因과 目的因으로서의 理 이해 -理의 두 원인적 성격의 다스림 : 質料性과 主宰性-

        정강길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Li(理) in Neo-Confucianism within the framework of efficient and final causes. The approach of understanding Li in the context of efficient and final causes was previously explored in Matteo Ricci's work. Additionally, Mou Zongsan and Feng Wulan, who both believed that Li can be the final cause, disagreed on whether Li can also function as an efficient cause, which remains a topic of debate. This paper argues that Li in Neo-Confucianism has a broad role as both an efficient and a final cause, challenging Ricci's understanding of Li. One critical issue raised in this paper is whether the 'past world' should be considered as Qi(氣) or Li(理). Although the past world has lost its actuality, it remains as a given pattern and object in the present. I argue that this given pattern is Li as the past world and that it is inherent as an efficient cause in the present. Therefore, I suggest that 'Li as the past world' can be regarded as matter(質料) in creating the present, corresponding to matter as potentiality. The dominance of these patterns is the cause and reason for the present, the Li as suǒ-yǐ-rán(所以然) or the cause that made it so, which is present in all things. However, in Neo-Confucianism, there is also a Li of suǒ-dāng-rán(所當然) or the right way things should be. This Li represents the final cause that tiān-lǐ(天理) or Heavenly Li assigns to the beginning of all Qi becoming. In its position as the supreme Lead(主宰), this final cause acts as a coordinating role to guide the present life to the highest good. Thus, the matter aspect of Li is manifested in the becoming of Qi in the present as a pattern left by the past world, while the lead aspect of Li represents the teleological ideal and the běn-rán-zhī-lǐ(本然之理) or Principle of innate nature, guiding the way of moral nature. In this way, Li sits at the beginning of Qi becoming, serving as the cause of patterns left by the past and the final cause from heaven. On the other hand, Qi is only a subject in the present moment, completing its generative process by determining the final realization of that Li. In other words, only the final stamp of realization is done by Qi, which also assumes the responsibility that comes with its clarity and turbidity, refinedness, and drossiness. Therefore, Li and Qi form a inseparable and indivisible relationship(不相離不相雜). Thus, we can identify the specific functions and roles of Li by recognizing that it is immanent as a 'possible two-cause aspect' that affects actual formation. 이 글은 성리학의 理가 어떻게 氣에 대해 다스림[理]의 작용을 하는지에 있어 <효과적 원인>으로서의 作用因(efficient cause)과 <목적적 원인>으로서의 目的因(final cause)의 맥락에서 접근하여, 理의 質料性과 主宰性에 대해 논한 글이다. 理를 <작용인>과 <목적인>의 측면에서 바라본 시도는 일찍이 마테오 리치에서도 볼 수 있었고, 같은 중국철학 연구자였던 모종삼과 풍우란에서도 거론된 바가 있었지만 이들 간에도 그 입장들이 서로 엇갈리게 나왔었다. 본 논문에선 기본적으로 매순간 현실 세계가 理氣 결합으로 형성된다고 보면서도, <이미 지나간 과거세계>는 그 현실성을 상실하고 변경 조작할 수 없기에 <현재 안에 객체로서 남겨진 ‘결’로서의 理>라는 점과 이것이 <효과적 원인>으로 내재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때의 理는, 이전 氣에 의해 단 한 번이라도 세계 안에 <이미 발현된 적이 있었던 과거로서의 理>를 말한 것이며, 바로 이 <과거로서의 理>가 현재를 성립시키는 밑감[질료]이 된다는 점에서 <理의 질료성> 곧 잠재태로서의 재료가 됨을 제안한 것이다. 따라서 생성을 시작하는 모든 氣는 <과거세계가 남긴 결>의 다스림[理]을 받지 않는다면 결코 그 생성을 시작할 수 없다고 본 것이며, 이는 주희가 언급한 理가 氣를 낳기까지에만 해당된다고 본 것이다. 과거로서의 결[理]은 현재의 氣 생성을 시작하게 하는 <원인>이자 <이유>로서 기여될 수 있고, 이는 모든 人과 物에 내재된 <그러한 까닭>인 <所以然의 理>에 속하게 된다. 그러나 성리학의 理에는 마땅히 실현할 바인 <所當然의 理>도 있으며, 이는 天理가 모든 氣 생성의 시작국면에 <목적적 원인>으로 부여해놓은 것이다. 이 <목적인>은 최고의 가치등급을 갖는 主宰의 지위에서 현재 삶을 至善으로 견인하는 좌표의 역할로 자리한다. 따라서 <理의 질료성>은 과거가 남긴 결[패턴]로서 현재의 氣 생성에 올라타 있다면, <理의 주재성>은 목적론적 이상 곧 도덕적 본성의 길인 本然之理로서 氣에 올라타 있다. 이처럼 理는 <과거세계가 남긴 결로서의 원인>과 <天으로부터의 목적적 원인>으로서 氣 생성의 시작국면에 자리한다. 반면에 생성의 시작국면 이후로는 氣의 주체 영역이며 그것은 현재 순간에만 적용되는 氣强理弱의 영역에 해당한다. 그럼으로써 氣는 理에 대한 최종 현실화를 확정짓고서 그 자신의 생성과정을 마감시킨다. 즉, 현실화의 최종 날인만은 氣가 맡음으로 인해 그 淸濁粹駁에 따르는 책임성도 떠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양자는 不相離不相雜 관계를 형성한다. 이렇게 理가 현실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가능적인 두 원인의 성격>으로 내재된다는 점을 통해 우리는 理의 구체적인 기능과 역할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 KCI등재

        성리학의 理氣 개념의 원자론적 재구성 - 주자학의 형성과정에서 다른 방향으로 -

        정강길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Li-Ki(理氣) of Neo- Confucianism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Zhuzi's thought(朱子學). Zhuzi's thought has been controversial due to some deficiencies and ambiguity. The article suggests that aggregation and dissociation of Ki(氣) in Zhuzi's thought is newly understood as the becoming and perishing of Ki. The perishing of Ki is given as objective Li(理) in the world, not as absolute nothing. Ki is subjective actuality and Li is objective potentiality. Ki determines which Li are chosen to realize in the process of becoming. Zhuzi's Taegeuk is Li, but it has some subjective determination. It is non-temporal and intangible Ki, and in that respect, I view it as Taegeuk-vitality(太極元氣). Taegeuk-vitality’s Li is with the beginning of becoming of all K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Ki's becoming, there are Li left behind by the past world and Li given by the Taegeuk-vitality. Thus Li of Taegeuk-vitality is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本然之性). Also,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 is the ‘physical nature’(氣質之性) of Taegeuk-vitality. As a result, there is only physical nature as a hierarchy of physical nature. In the temporal world, there are always Li of Taegeuk-vitality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 on the beginning of Ki's becoming. The final purpose is to match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 derived from Taegeuk-vitality and the selection by self-determination. This is a state of unity between heaven and human. For example, I think this can be seen at a high level stage as Confucius said, “at seventy, I could follow the wishes of my heart without doing wrong.” 이 글은 주자학의 형성과정에서 조금 다른 방향으로 성리학의 理氣 개념에 대한 재구성을 시도한 글이다. 성리학의 집대성으로서의 주자학은 이후로도 몇 가지 미비점과 불분명함으로 인한 논란도 없잖아 있었다. 이 글에선 주희가 말한 聚散으로 인한 氣의 生死를 각각 氣의 生成과 消滅로 볼 것임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氣의 消滅에 있어선 절대 無[없음]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無形化된 理가 되어 이후의 시간적 세계 안에선 과거 세계가 남겨놓은 理로 주어진다는 점을 또한 제안한다. 氣는 그 생성과정에서 어떤 理를 실현으로 선택할 지를 확정짓는 주체로서의 결정자며, 理는 주체가 아닌 대상적으로 주어지는 객체로서 설정된다. 또한 주희의 太極도 어떤 주체적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모든 理에 대한 총체적 조화로서 결단한 ‘無形의 氣’로 보며, 이 글에선 太極元氣로 설정하고 있다. 이 太極元氣는 비(非)시간적인 무형의 氣라는 점에서 모든 氣의 생성과정의 시작국면에 함께 한다. 따라서 氣의 생성과정에는 太極元氣로부터 부여받은 理가 있는가 하면 과거세계로부터 물려받은 理도 함께 관여되고 있다. 이 太極元氣의 理가 곧 天理인 本然之性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러한 理氣 도식에서 보면 本然之性은 곧 太極元氣의 氣質之性을 일컫는 것이 되며, 결과적으로는 ‘氣質之性의 위계’만이 있는 것이다. 한편에선 시간적 세계에서의 氣質之性도 매순간마다 현재를 형성함에 있어 그때까지의 과거적 여건으로서 상속받지만, 또 한편에선 매순간마다 太極元氣의 氣質之性 곧 本然之性 역시 모든 氣 생성과정의 시작국면에 저마다 부여받는다. 결국 비시간적인 태극원기의 天理를 시간적 세계의 氣가 그 생성과정의 시작국면마다 本然之性으로서 부여받고 있기에 天命은 그침이 없고 性은 날마다 생겨나며, 이러한 氣의 생멸들과 함께 삶을 형성해간다. 그리고 그 최종 목적은 우리 안의 시작국면에서 부여받은 本然之性과 자신의 주체적인 선택결정을 통한 氣質之性을 궁극적으로는 합일 곧 일치시키는 데에 있는 것이다.

      • GIO사상한 : 화이트헤드와 윌버의 접속 그리고 포월

        정강길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9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9

        This thesis connects two great philosophers, whitehead and Ken Wilber’s ideas to get better results. First, this thesis introduces Whitehead and Wilber’s philosoph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hitehead’s philosophy is not dogmatic one but a reasonable trial to interpret elements of our experiences. Whitehead’s new metaphysical system is totally based on empiricism and surprisingly, his thought belongs to new theism. Ken Wilber’s early activity belongs to Transpersonal Psychology but Ken Wilber became integrated thinker who tries to interpret everything in his latter stage. This Wilber’s thought reflects Whitehead’s philosophy in his early stage but Wilber criticized Whitehead’s thought in some aspects in his latter stage, thereby showing the difference than Whitehead. This thesis comes to conclusion that Wilber’s criticism of Whitehead’s philosophy is somewhat hasty and also Wilber’s thought has some defects and insufficiency. And this is related to GIO-quadrants(GIO means ‘God-I-Ohters’). That is, I am going to show you insufficiency of Wilber though GIO-quadrants. GIO- quadrants is kind of integrated map which can be applied to every evolving being. Although this belongs to Wilber’s quadrants, I suggest new quadrants which criticizes and overcomes Wilber’s quadrants. GIO-quadrants results from the combination of Whitehead and Ken Wilber. I carry out critical study on Wilber’s philosophy by comparing GIO-quadrants and Wilber’s quadrants. 이 글은 위대한 두 사상가 화이트헤드의 철학과 켄 윌버의 아이디어를 접속시켜 보다 새로운 창조적인 결과물들을 얻어내고자 연구한 글이다. 먼저 이 글은 화이트헤드와 윌버 사상의 성격에 대해 소개한다. 화이트헤드의 철학 사상은 독단적 완결이 아닌 우리의 모든 경험의 요소들을 해석해내기 위한 합리주의적 시도로서의 학문이다. 그의 새로운 형이상학적 체계는 철저히 경험론에 헌신하고 있는 철학이며, 또한 놀랍게도 새로운 유신론 사상에 속하고 있다. 윌버의 사상은 초기에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진영에서 활동했었다. 그러다가 후기로 갈수록 모든 것을 해석해내려는 통합 사상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윌버 사상은 초기 때부터 화이트헤드의 영향을 받은 흔적들이 있긴 했으나 후기로 갈수록 화이트헤드에 대해서 몇 가지를 비판함으로써 다소 다른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때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에 대한 윌버의 비판이 다소 성급한 것이었으며, 오히려 윌버의 사상한이야말로 몇 가지 결함과 불충분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본인의 GIO사상한의 제시와도 맞물려 있다. 즉, 본인은 GIO사상한을 통해 윌버 사상의 불충분성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었다. GIO사상한은 진화하는 모든 존재에 적용될 수 있는 일종의 통합 지도 같은 것으로서, 이미 기존의 윌버 사상한이 있긴 하지만, 본 논문에선 윌버 사상한을 보다 비판적으로 극복한 새로운 사상한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인의 GIO사상한은 화이트헤드와 윌버를 결합시켜 나온 것이다. 본 논문은 GIO사상한과 기존의 윌버 사상한과의 비교를 통해 오히려 윌버 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의도하고 있다.

      • 몸학, 화이트헤드 철학의 몸삶 적용 이론 탐구 - 전인적이고 통전적인 몸 이해 모색 -

        정강길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3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6

        ‘Mommics’ is neologism that means study of Momm. Momm is the nexus of all the relations existing in the Kosmos. What underlies the ontology of Mommics is the assumption that existence does not precede relation (between what exist) but existence itself is relation. ‘Momm’ is a Korean word, which can best be translated as ‘a human body’ in English. However,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Momm includes both the physical and the mental aspects of human being, directly denying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existence. Mommics bases its theoretical framework on Whitehead’s organismic view of the world, in which relation and process play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the world. Momm consists of five different types of relational tiers: the body tier, the life tier, the world tier, the metaphysics tier, and the tier of God. Each tier is referred to B, L, W, M, and G tiers. In addition, Kosmommics refers to Momm-eol which plays a presiding central role of Momm. The meaning of Momm-eol overlaps with that of concepts like self, mind, consciousness, soul, personality, and spirit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not dualistic in nature. It is the converging point and the diverging point of Momm at the same time. Also, it forms the substance of Momm, showing the property of emergence every moment. Through Mommics, every subfield of science (e.g. psychology, philosophy, politics, sociology, anthropology) can be naturally integrated into one in that all of them are about a certain tier of Momm. In this sense, the notion of consilience can be replaced by the notion of Momm-sub, which is the view that sees all the academic fields from the perspective of Mommics. ‘몸학’이란 몸에 대한 연구를 일컫는 신조어이다. 몸학에서 말하는 몸은 신체와 동의어가 아니며, 신체를 포함해서 온우주와 맺고 있는 모든 관계들의 결합체를 몸으로서 이해한다. 몸이 있고서 관계를 맺는 게 아니라 오히려 관계 자체가 몸을 구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몸’이라는 단어는 우리말이지만, 본래 뜻은 신체와 정신이 결합된 통일체를 뜻한다. 신체와 정신을 분리시켜 이해하는 이원론적인 의미가 아니다. 그리고 몸학은 관계와 과정을 중요시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을 사유의 가장 궁극적인 기초 배경으로 삼고 있다. 몸학에서 말하는 몸은 온우주와 맺고 있는 모든 관계들의 결합체로서 크게 5가지 유형의 관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그것은 신체형성의 관계층, 생활형성의 관계층, 세계사회형성의 관계층, 형이상학형성의 관계층, 한울(신)과의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는 각각 약어로 B층, L층, W층, M층, G층으로 표현된다. 우리의 몸은 이러한 5가지 주요 관계층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몸학은 몸의 통할적인 중추 작용을 담당하는 <몸얼>Momm-eol을 언급한다. 몸얼은 기존 담론의 자아, 마음, 의식, 영혼, 인격, 영 등등 이러한 개념들과도 그 뜻이 중첩될 수 있는 흡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이원론적 의미는 결코 아니다. 몸얼은 몸의 수렴점이자 발산점으로서 몸 전체에 기반된 채로 매순간마다 창발하는 몸의 정점에 속한다. 그리고 몸학은 통섭이 아닌 <몸섭>Momm-sub을 추구한다. 우리가 몸으로 배우고 익히는 학문 역시 우리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그 어떤 관계층에 관한 연구로 보는 것이다. 몸섭은 모든 학문과 연구들이 결국은 <몸에 의한, 몸을 위한, 몸의 연구>라는 통합적 전망 하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의미해준다. 이러한 몸학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통합사상적 성격을 몸과 관련해서 적용해본 하나의 응용 시도로서 제안된, 사유의 실험적 모험에 지나지 않는다.

      • 통섭에서 몸섭으로 - 홀로니즘과 몸학의 몸섭에 대한 고찰

        정강길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5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nception of the holonism and Mommsub. This paper is on the continuation of Mommics research. Mommics is proposed as an attempt that characteristics of integral thought of Whitehead’s philosophy applied to Momm’s life. ‘Momm’ is in the Hangul.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of the Korean combined with physical and mental unity means. Momm is not a dualistic meaning that divided the human body and mind. Holonism is an integral approach to looking at the level of analysis, acknowledging and integrating simultaneously the whole and the part. Holonism means the conception to including both of wholeness and individuality. And also, Mommics suggests Momm-sub concept, not ‘consilience’. And, we learn every subfield of science with Momm. Mommsub is considered to be a study regarding relation-tier which composes our Momm as well. It should be recalled that Momm-sub and studies can be carried out under integral perspective of study by Momm, for Momm and of Momm. 이 글은 필자가 수행하는 몸학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글이다. 몸학은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세계관을 사유의 가장 궁극적인 기초 배경으로 삼고서 이를 몸의 현실에 응용해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에 해당한다. 여기서 말하는 몸은, 영어의 신체(body)로 번역되는 한글말이지만, 원래 우리말의 몸이라는 의미에는 물질과 정신이 결합된 차원을 내포하고 있다. 본래 이원론적인 의미가 아닌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고 있는 홀로니즘 개념은 개체 분석 수준과 동시에 전체 및 부분을 통합하는 통합적 접근법을 내포한다. 이것은 전체성과 개체성을 모두 포괄하는 핵심 개념에 속한다. 여기서는 이를 <전개체성>으로 명명하고 있다. 또한 몸학은 통섭 대신에 몸섭 개념을 제안한다. 우리는 모든 개별 학문들을 몸을 통해 섭렵하고 있다. 몸학에서 보는 우리의 몸은 온갖 관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몸섭 개념을 통해 개별 전문 영역에 갇혀 있는 현재의 여러 분과 학문들을 새롭게 조망해보자는 것이다. <몸섭>은 다양한 분과 학문들 간의 만남과 교차가 일어나는 진정한 통합적 크로스오버의 사건이자 큰 줄기가 될 만한 결절점을 의미한다. 알고 보면, 우리가 배우고 익히는 모든 학문과 지식들은 결국 몸을 위한, 몸에 의한, 몸에 관한 학문들이기 때문이다.

      • <단위 행태>unit attitude : 화이트헤드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학적 응용 개념 연구

        정강길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8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7

        This thesis is a writing containing study on unit attitude which can be used as a basic core concept in working on <New Sociology> based o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Unit Attitude> suggested here can be used as a basic concept on the sociological horizon in understanding the mode of human society. I will call <Society>, which is atomic unit of the most basic sociological horizon in forming human being’s community, as <Unit Attitude>. While Whitehead’s actual entity is atomic concept of metaphysical ontology, <Unit Attitude> I suggest here is the most basic unit existence at sociology in forming human being’s society based on events in which actual entities react with each other. We can think that so called, <Sociological Imagination> is added to Whitehead’s metaphysics. And, this kind of unit attitude forms a continuum and makes up a person’s personality. I will call this event as <Real Individuality>. <Unit Attitude> is similar to habitus which connects structure and behavior suggested by P. Bourdieu, a France sociologist, but <Unit Attitude> is an analyzed concept in more detail than habitus of P. Bourdieu. The existing sociological studies have not been inquired to be laid up to the horizon of metaphysical horizon. In this respect, we can imagine new sociological theory based on Whitehead’s process metaphysics.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학> 구상에 있어 그 기초 핵심 개념으로서 쓰일 수 있는 <단위 행태>unit attitude에 대한 고찰을 중점적으로 담고 있는 글이다.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단위 행태>는 인간 사회의 양태를 이해함에 있어서도 사회학적 지평에서 기본 단위 개념으로 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인간 사회를 파악함에 있어 <사회>society라는 인류 공동체의 활동들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사회학적 지평의 원자적 단위를 나는 <단위 행태>unit attitude라고 부를 것이다.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가 형이상학적 지평이라는 존재론의 원자적 개념이라고 한다면, 본인이 제시하는 <단위 행태>는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형이상학적 사태를 그 기본 얼개로 이미 깔고서 인간 사회활동을 고찰하는 사회학의 지평에서 쓰일 수 있도록 마련해 본 창의적인 응용 개념에 속한다. 이른바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에 <사회학적 상상력>sociological imagination을 덧입혔다고 보면 되겠다.  그리고 이러한 단위 행태가 연속체를 이루면서 어떤 한 사람이라는 인격체를 형성하는 사태를 나는 <실재적 개인>real individuality이라고 부른다. 나 자신이 제시하는 <단위 행태>는 사회학에서 구조와 행위를 연결하는 핵심 용어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된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기존의 대부분의 사회학 연구들은 존재론과 우주론이라는 형이상학의 지평에까지 치밀하게 고찰되지는 못한 채로 정초된 점이 있는데, 그런 점에서 우리는 바야흐로 화이트헤드의 과정 형이상학에 기반한 채로 이를 새롭게 창조적으로 응용해보려는 <새로운 사회학>에 대한 그림들을 구상해볼 수 있다고 하겠다. 창조적 문명을 열어가는 화이트헤드 철학의 모험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 KCI등재

        초자연주의 신앙에 대한 재고찰과 대안적인 신앙 모델 모색 - 한국개신교의 반지성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강길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5

        This paper presents anti-intellectual cases of Christianity (Protestantism) in Korea. This cas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kinds: superstitious behaviors, prejudice and aversion of non-Christian culture, Creationism and Intelligent Design groups. The question we have to ask here is anti- intellectualism’s problems of Christianity. I think that the central problem of anti-intellectualism of Christianity in Korea is the faith of super- naturalism. Especially, Creationism and Intelligent Design groups conflicts scientific theories. In the sense that, paradoxically these groups shows anti-intellectual aspects. I think that the cause of anti-intellectualism is the faith of supernaturalism. Consequently, the faith of supernaturalism is incompatible with the naturalism of modern science. From this viewpoint, we should make up some counter-plan for it. Finally, at this writing I propose a new model of developmental religious faith. 이 글에서는 한국개신교 내의 반지성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반지성주의 요인에는 초자연주의에 대한 종교 신앙이 핵심 원인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논하고 있다. 먼저 한국개신교의 반지성주의적 사례들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보는데 1) 초자연적인 신의 개입을 믿는 미신적 행태 2) 비기독교 문화에 대한 편견과 반감 3) 자연과학 진영과의 충돌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을 거부하는 세 번째 경우에선 창조론과 지적설계론을 내세우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입장이 현대 자연과학의 이론보다 훨씬 더 지성적이고 과학적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 매우 역설적인 반지성주의 사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의 자연주의를 무신론적인 것으로만 간주하는 오도된 이해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맥락에선 여전히 초자연주의 신앙관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점에서 볼 때 자연주의에 기초된 현대 과학 진영과의 충돌은 불가피하다고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선 그에 대한 대안으로 발달론적인 신앙 유형이라는 새로운 신앙 모델도 함께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