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동산 등기에 대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및 법적 쟁점

        전희정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1 No.1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is required to be accurate and quick, and real estate contracts need to be in writing.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hould reflect the correct transaction, and identities of parties need to be authenticated.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cannot be equated with the distributed ledger registration system of simple data. Because real estate is considerably valuable to individuals or businesses, its registration and transfer process are more complex than any other transactions of goods. Therefore, government tries to ensure the safety of transactions through various stages.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would be much more efficient if blockchain technologies are applied in a way that cost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real estate would be reduced, or that transparency would be secured. Blockchain technologies may be cut out for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They may authenticate identities of the parties through digital signatures based upon an asymmetric encryption. Information uploaded on a block is immutable because blockchain technologies apply the merkle tree system. If someone tries to edit a specific information on the block, he or she needs to edit information stored on more than half of nodes in a P2P network. When blockchain technologies are applied to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legal system in order to reflect property rights. Secur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requires that genuine information be recorded. Blockchain technologies authenticate not that all information has not been edited at all, but not been edited since it was upload.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real estate system through blockchain technologies be finally managed by the real estate registry office. Blockchain technologies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because they w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gistration and transactions. They would make it possible to buy and sell real estat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distanc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ntinue to discuss the optimal legal and technical methods to take advantage of blockchain technologies. 토지 등록은 단순한 데이터들의 분산원장 등록 시스템과 동일시될 수 없으며, 개인이나 기업에게 있어서도 상당한 자산가치를 가지는 재산에 해당하므로 토지 등록 및 이전과정에 대하여 블록체인시스템이 적용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부동산 거래 및 부동산 관리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세계 각 국에서는 부동산 공부시스템에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스마트 자산으로서의 부동산을 갖추고 블록체인 시스템 상에서 거래가능하도록 준비되고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한 토지 등 부동산 재산권의 보장을 위한 제도적 구조를 전환하기 위하여 해당 선결과제로 1) 현재의 등기부 시스템에 의한 부동산의 권리 표상이 진정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에 관한 논의와 2) 블록체인 시스템에 기록되기 전에 해당 거래가 진정성 있게 성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을지 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부동산공부 시스템 하에서는 등기 제도와 등록 제도가 구별되어 있고, 상호 보완적 관계로 별도 기록물로 보관되고 있는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정리된다면 해당 정보의 일원화도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더욱이, 토지 등록 분야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기술적 해결책이 주요 블록체인, 즉 보안, 무결성 및 투명성의 장점으로 간주되는 효과를 얻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는 전제조건으로, 해당 부동산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진정한 것인지, 시장참여자는 이를 진정한 것으로 신뢰하고 참여하면 책임지지 않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도록 부동산 등기부의 공신력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결국 블록체인기술은 부동산 공부시스템의 효율성과 명확성을 향상시키는 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거래의 효율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시간과 거리,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는 스마트 계약에 의한 재산권 거래 및 보장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통일한국에서 북한지역 부동산공부시스템을 준비한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따라서 토지 등록의 주요 기능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이 제공하는 가능성을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법적, 기술적 방법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교실목표구조, 학업사회비교 정서, 자아존중감 간 경로 분석 연구: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전희정,유혜린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실목표구조, 학업사회비교 정서, 자아존중감 간 관계를 알아보았다. 지방 소재의 A 여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2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실목표구조가 학업사회비교 정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정적, 부적 영향력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고 경로모델을 검증하였다. 가정된 경로 모델은 변인들의 관계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모델은 자아존중감 변량의 29.8% 그리고 상향대조비교 정서 변량의 14.5%를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교실목표구조 중 숙달목표구조가 지각될수록 상향동화비교 정서가 증가하였고, 반면 상향대조비교 정서는 감소하였다. 수행회피목표구조가 지각될수록 상향대조비교 정서, 하향동화비교 정서, 하향대조비교 정서가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수행회피목표가 지각되는 교실 환경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학업사회비교 정서를 경험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더하여 상향대조비교 정서가 자아존중감에 가지는 부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학업사회비교 정서를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 경로를 부트스트랩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함의를 교육환경에 비추어 논의하였으며,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classroom goal structure, social comparison-based emotions, and self-esteem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16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 metropolitan city. The current study tested a path model that encompassed seven hypotheses. The proposed model was supported as a valid way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the mastery goal structure was perceived by students, the more the upward assimilative social comparison emotions increased. The more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structure was perceived, the more the upward-contrast, the downward-assimilative, and the downward-contrast social comparison emotions increased. In addition,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pward-contrast social comparison emotions on self-esteem were confirmed. Finally, the pathways for the indirect effects of classroom goal structures were partially support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light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 KCI등재

        서울지역 산업체 급식소의 운영관리 실태조사 및 평가 : 1 . 생산직과 사무관리직간의 운영형태 , 급식비 , 영양사 업무를 중심으로 1 . The Types of Foodservice System , the Menu , the Food Price , and Role of the Dietitian for the White and Blue Color Group

        전희정 한국조리과학회 199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9 No.3

        This is a study on the types of foodservice system, the menu, the food price, and role of the dietitian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at 106 enterprise located in Seoul industrial foodservice. Which were evenly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white color and the blue color. The results are below ; 1. Most institutional foodservice was enterprise under direct management. The meal was usually supplied three times in a day for the blue color and one time in a day for the white color. 2. Non-selective menu was set for the two groups. Generally, food was purchased through middleman by a phone, and food was storaged in room temperature. 3. Level of the role of dietitian was very low at budget making. A survey of 34 kinds of documentation prepared by foodservice department showed 50 percent participation of the dietitian. Documentation on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foodservice, kitchen service employees and official paper handling was made in greater volume for the blue color than white color. 4. Nutritional education of feeding groups was presented in most cases only for 50 percent of them once a month.

      • KCI등재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전희정,이정상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3 No.1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ult working wom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ing adult women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258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bil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ult employed wome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취업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대인관계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심리적 부적응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부적응 간의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부적응의 영향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

        전희정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1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honetic complexity in disfluent eojeols of adults who stutter. Therefore,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including stuttering-like disfluency (SLD) or other disfluency (OD)] eojeols was compared using two speaking tasks. Methods: Twenty-one adults who stutter performed a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a conversation task. Those speech samples were divided into eojeols, and each eojeol was classified as a “fluent eojeol” if it was perceptually fluent, an “OD eojeol” if it was produced with ODs, or an “SLD eojeol” if it was produced with SLDs. The index of phonetic complexity (IPC) and the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were measured to compare phonetic complexity between the tasks and the types of eojeols. Results: The IPC was significantly the greatest in the SLD eojeol regardless of task. The IPC of the fluent eojeol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OD eojeol. The SLD eojeol also showed significantly the greatest PMLU among the types of eojeols, and the fluent eojeol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PMLU than the OD eojeo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PCs and PMLUs for each eojeol no matter the task. Conclusion: When producing eojeols, greater phonetic complexity can trigger SLDs in adults who stutter, supporting the psycholinguistic aspects of stuttering.

      • KCI등재

        산업체 단체급식소의 마늘소비실태와 조리별 함유량 조사

        전희정,배현주 한국조리과학회 199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3 No.2

        대구·경북 지역 초등학생들의 김치에 대한 의식 및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의 57.7%는 김치를 가능하면 먹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였고 26.1%는 반드시 먹어야 한다고 응답하여 83.8%가 김치를 섭취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김치를 영양식품(57.3%), 전통식품(22.9%)으로 인식하는 비율도 높아 김치의 우수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2. 김치종류별 인지도는 배추김치(83.0%), 깍두기(65.0%), 나박김치(82.2%), 총각김치(58.4%), 깻잎김치(43.2%), 부추김치(39.1%)의 순으로 높았고 어머니들도 배추김치(92.2%), 총각김치(85.8%), 깍두기(83.8%), 나박김치(82.2%), 부추김치(77.1%), 깻잎김치(75.6%)의 순으로 인지도가 높아 초등학생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3. 김치에 대한 선호 실태는 매우 좋아한다가 22.8%였고 좋아한다가 32.7%로서 55.5%의 초등학생들이 김치를 좋아하고 있었다.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김치는 배추김치(74.0%), 깍두기(56.6%), 총각김치(49.0%), 나박김치(46.9%), 오이소박이(17.5%)등이었고 배추김치 중 배추의 줄기부분(47.6%)을 가장 좋아하였다. 숙성 정도는 적당히 잘 익은 김치(43.9%)와 갓 담은 김치(41.9%)를 선호하였다. 4. 김치를 재료로 하여 만든 음식으로는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김치전, 김치비빔밥, 김치김밥, 김치만두 등의 순으로 좋아하였다. 5. 어머니의 지도형태와 초등학생의 김치에 대한 의식 및 선호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자주 먹도록 권유하거나 조리 방법을 바꾸어 주는 것이 먹이려고 강요하거나 전혀 간섭하지 않는 것보다 좋은 영향을 미쳤다. 6. 김치를 싫어하는 이유는 매운 맛, 양념 냄새를 지적하였고 생강, 청각, 마늘, 미나리, 파 등의 부재료는 싫었하였다. 7. 김치에 대한 바램은 김치 맛을 되도록 덜 맵고 달콤하게 해 달라는 요구가 많았고 배, 오징어, 귤, 사과, 오이 등의 부재료를 김치에 첨가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basic knowledge of Kimchi an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Kimchi intake. We researchers have done statistical analyses of 808 questionnaires complet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on thei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Kimch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bout 80.2% of the children regarded Kimchi as one of our nutritious and traditional foods, and 83.8% of the subjects had an affirmative opinion of Kimchi intake. The most well known Kimchi is as follows: Baechu Kimchi, Kkaktugi, Nabak Kimchi, Chonggak Kimchi, Kkaennip Kimchi and Buchu Kimchi. The children preferred the peculiar and refreshing taste of Kimchi. Their preference of Kimchi is in the following order: Baechu Kimchi, Kkaktugi, Chonggak Kimchi, Nabak Kimchi and Oi Sobagi. And the children also preferred the stems of the cabbage. The children preferred properly fermented and freshly prepared Kimchi. Their favorite ingredients were red pepper powder, Korean radishes, pickled anchovies, sesame leaves, garlic and scallions. The children wanted Kimchi that is less hot and more sweet. The ingredients children wanted to add to Kimchi are pears, cuttlefish, oranges, apples and cucumber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 연구

        전희정,서동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4 주관성연구 Vol.0 No.66

        The study aimed to explore social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survey using the Q method was conducted targeting 31 social workers working at welfare centers, as a result, identifying three distinct types among respondents. Type 1 is the ‘Proactive Responsive Type’. The active involvement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as well a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is essential for effective response.to address the challenges po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ype 2 is the ‘Change-averse Type’. The type that expresses concerns abour the difficulties in adaption to the changes brough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mphasizes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vulnerable and marginalized groups is often referred to as advocating for increased focus on vulnerable populations. Type 3 is the‘Site-focused improvement-oriented Type’which recognizes the urgency of addressing current and potential issues stemming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immediate action to enhance the present situ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ailored improvement strategies were sought to respond to the accelerating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social welfare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