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형 단일추진제 추력기를 이용한 추진시스템 지상연소시험

        김수겸(Su-Kyum Kim),채종원(Jong-Won Chae),원수희(Su-Hee Won),전형열(Hyong-Yoll Jun),이재원(Jae-Won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달탐사선 추진시스템의 모사를 위해 다수의 200N급 대형 단일추진제 추력기를 이용한 추진시스템 연소시험이 수행되었다. 추진시스템의 클러스터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시험 장치에는 로드셀, 밸브 구동장치 및 데이터 계측장치가 설치되었다. 본 논문은 달탐사용 추진시스템 모사를 위한 클러스터링 시험장치 소개 및 지상 연소시험 결과에 대해 기술고자 한다. Propulsion system firing test was performed using 200N class monopropellant thruster with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in order to demonstrate lunar explorer propulsion system. In order to verify clustering performance, test equipment was composed with four load cells, valve driver and DAQ system. In this paper, the clustering test setup and test results will be introduced.

      • KCI등재

        우주비행체 추진기관 기술 현황 및 전망

        김수겸(Su-Kyum Kim),채종원(Jong-Won Chae),원수희(Su-Hee Won),전형열(Hyong-Yoll Jun)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8

        우주비행체 추진기관은 로켓엔진의 일종으로 인공위성, 우주탐사선 등의 임무수행을 위해 사용되며 인공위성 자세제어 및 궤도조정을 위한 수요에 따라 1950년대 말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주비행체에 사용되는 추진시스템은 발사체와 달리 상대적으로 긴 기간의 임무수행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추진제의 안정성 및 추진시스템의 내구성이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최근에 우주추진 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친환경 추진과 전기추진만으로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로 국내에서도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추진기관의 국내외 현황 및 주목받는 기술들을 나열하고 이에 따른 개발 전망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Spacecraft propulsion system is a kind of rocket engine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end of 1950s for attitude control and orbit maintenance of satellite. Since the spacecraft propulsion system has to be us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fore, stability of propellant and life of thruster could be very important factor for propulsion system design. Recently, green propellant propulsion and all electrical propulsion system have became very important issue, and we also need a development according to well organized plan.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the development status, key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prospect of spacecraft propulsion system.

      • 30N급 하이드라진 추력기 DM 개발

        김수겸(Su Kyum Kim),원수희(Soo Hee Won),감호동(Ho Dong Kam),이준희(Jun Hui Lee),이재원(Jae Won Lee),전형열(Hyong Yoll Jun) 한국추진공학회 2015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달탐사를 위해 30N급 하이드라진 추력기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30N급 추력기 DM은 초기 설계를 검증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으며 성능 검증은 진공 시험장치를 수명 검증은 지상시험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DM 모델에 대한 시험은 요구조건의 50% 정도가 수행되었으며 아직까지 성능저하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향후 추가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DM 개발 결과 및 시험 결과를 정리하였다. A development of 30N class hydrazine thruster for lunar exploration is on going by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Development model was manufactured to verify preliminary thruster design and firing test was performed at vacuum and atmospheric condition. In this paper, 30N hydrazine thruster DM design and test results will be presented.

      • 지상용 200N급 하이드라진 추력기 개발 및 시험

        김수겸(Su-Kyum Kim),원수희(Su-Hee Won),채종원(Jong-Won Chae),한조영(Cho-Young Han),이종률(Jong-Ryool Lee),이재원(Jae-Won Lee),전형열(Hyong-Yoll Jun)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달탐사 및 행성탐사를 위해서는 순간적인 가/감속을 위해 높은 추력을 가지는 대형추력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선행 연구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지상용 200N급 하이드라진 추력기 개발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상추력 기준으로 200N급의 하이드라진 추력기 지상모델을 설계/제작하였으며 연소시험을 통해 정상적인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0N급 추력기의 설계 및 시험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For interplanetary missions including lunar exploration, large thrust is necessary for instant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spacecraft.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se missions, KARI have performed a development of large size hydrazine monopropellant thruster ground model. A 200N hydrazine thruster ground model was designed and verified by hot firing test during this study. In this paper, the thruster design and test results will b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