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 원추절제술과 관련된 자궁적출술에서 조직병리와 절단경계면의 침범여부에 기초한 잔류병소의 예측에 관한 연구

        윤영민 ( Yun Yeong Min ),이주열 ( Lee Ju Yeol ),전현아 ( Jeon Hyeon A ),김홍배 ( Kim Hong Bae ),이근영 ( Lee Geun Yeong ),강성원 ( Kang Seong W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원추절제술 후 남은 자궁경부에서 잔류병소의 예측인자로 원추절제 경계면의 침범상태와 자궁경부 종양의 심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원추절제술 후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14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잔류병소의 예측인자로 환자의 나이와 출산력, 원추절제 검체의 조직병리정도와 절단면 침범상태가 분석되었다. 결과 : 절단면 양성의 이환율 LSIL 0%, HSIL 15%, CC-Ⅰa1 43.3%, CC-Ⅰa2 85.7%였다. 원추절제술 후 자궁적출술 검체에서 잔류병소 발생율은 LSIL 0%, HSIL 23.3%, CC-Ⅰa1 35.5%, CC-Ⅰa2 100%였다. 잔류병소는 양성 절단면인 경우에서 음성 절단면인 경우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양성 절단면의 경우 잔류병소에 대한 양성 예측율은 LSIL 0%, HSIL 22.2%, CC-Ⅰa1 57.6%, CC-Ⅰa2 100%였다. 양성 절단면의 경우 8.3%에서만이 자궁적출술에서 더 진행된 병변을 보였다. 음성 절담녀의 경우 잔류병소에 대한 음성 예측율은 LSIL 100%, HSIL 70.5%, CC-Ⅰa1 81.4%, CC-Ⅰa2 0%였다. 결론 : 원추절제술 양성 절단면과 잔류병소의 발생율은 자궁경부 종양의 심도에 따라 증가한다. 양성절단면인 경우 음성 절단면인 경우보다 잔류병소와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음성절단면이 잔류병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신하지는 못한다. 또한, 양성 절단면이 항상 잔류병소의 존재와 지속성을 지적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원추절제술 후 자궁적출술은 양성 절단면을 가진 고등급 자궁경부 종양이나 자궁경부암인 경우, 동시에 다른 자궁의 병변이 있는 경우나 지속적 추적관찰이 불가능한 경우의 환자에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redictive factors for residual lesion after coniz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neoplasia. Methods : we performed retrospective study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2002) and reviewed 146 patients who had undergone cervical conization followed by subsequent hysterectomy. The age and the parity of patients, the histopathology and the status of resection margins of cone specimens were analysed as predictive values of residual lesions.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of positive cone margins were 0%, 15%, 43.4%, and 85.7%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n=3),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n=60), Cervical cancer stage Ⅰa1 (CC-Ⅰa1) (n=76) and Cervical cancer stage Ⅰa2 (CC-Ⅰa2) (n=7). The prevalence rates of positive residual lesions in post-cone hysterectomy specimens were 0%, 23.3%, 35.5%, and 100% respectively in those with LSIL, HSIL, CC-Ⅰa1, and CC-Ⅰa2. Residual lesion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found in patients with positive cone margin (56.3%) than in those with negative margin (21.4%) (P value=0.000026). Positive predictive values of margin status for the presence of residual lesions were 0% (LSIL), 22.2% (HSIL), 57.6% (CC-Ⅰa1) and 100% (CC-Ⅰa2).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margin status for the absence of residual lesions were 100% (LSIL), 76.5% (HSIL), 81.4% (CC-Ⅰa1) and 0% (CC-Ⅰa2). Only 8.3% (4/48) of patients with positive cone margin had more advanced residual lesions. 9.2% (9/98) of patients with negative margins had invasive residual lesion. Conclusion : The prevalence rate of positive cone margin and residual lesion increased with high severity of cervical neoplasia. Patients with positive cone margin had significantly higher chances of having residual lesion than those with negative margin. Free cone margin does not ensure the absence of residual lesion in the remaining cervix. Positive cone margin does not invariably indicate the presence and persistence of more severe residual lesion. Subsequent hysterectomy may be reserved for the patients with invasive cone pathology, concomitant morbid uterine condition, or not reliable for continuous follow-up.

      • KCI등재

        질식자궁적출술 후 질식초음파로 발견된 질단부혈종과 수술 후 경과에 관한 연구

        허진숙 ( Heo Jin Sug ),이우영 ( Lee U Yeong ),전현아 ( Jeon Hyeon A ),김홍배 ( Kim Hong Bae ),이근영 ( Lee Geun Yeong ),강성원 ( Kang Seong W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질식자궁적출술 후 질식초음파로 발견된 질단부혈종이 수술 후 이환율의 예측인자가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12월부터 2001년 5월까지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에서 질식자궁적출술을 시행한 418명의 환자를 전향적으로 연구 관찰하였다. 질식자궁적출술 후 3일이나 4일째 질식초음파를 통해 질단부를 검사하였다. 질단부혈종의 유무와 열성이환율, 혈색소 변화, 수혈의 필요성 여부와 입원기간 등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 질식초음파로 검사한 418명의 환자 중 103명 (24.6%)에서 질단부혈종이 발견되었다. 이 군과 315명의 질단부혈종이 없는 군을 비교하였다. 열성이환율 (22.3% vs 7.6%), 수술 후 혈색소 변화 (2.39 g/dL vs 1.58 g/dL), 수혈의 필요성 (10.7% vs 1.3%)과 입원기간 (8.6일 vs 6.2일) 등이 질단부혈종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질식자궁적출술 후 질식초음파를 통해 발견되는 질단부혈종은 열성이환율의 증가, 혈색소의 감소, 수혈의 필요성, 입원기간의 연장과 관계된다. 이러한 질식초음파는 이학적 검사를 통해서는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수술 후 질단부혈종의 진단을 촉진할 수 있다. Objective : To assess whether ultrasound detection of vault hematoma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post-operative morbidity following vaginal hysterectomy. Methods :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418 consecutive cases of vaginal hysterectomy was performed between December 2000 and May 2001. The transvaginal sonographic examination of vaginal vault in the first postoperative week (3rd or 4th day) after vaginal hysterectomy was done. Routine observation and clinical assessments were made by established management protocol : febrile morbidity, hemoglobin drop, need for transfusion, length of stay in hospital. Results : Of the 418 scaned patients, 103 (24.6%) had a vault hematoma. This group was compared with the 315 patients without hematoma. Significant increases in febrile morbidity (22.3% vs 7.6%), postoperative hemoglobin drop (2.39 g/dL vs 1.58 g/dL), need for blood transfusion (10.7% vs 1.3%) and length of hospital stay (8.6 days vs 6.2 days) were seen in the hematoma group. Conclusion : Ultrasound detection of vault hematoma following vaginal hysterectomy is a common finding associated with increased febrile morbidity, hemoglobin drop,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longer hospital stay. Transvaginal sonography may faciliate the diagnosis of posthysterectomy vault hematoma, which are not readily detected by pelvic examination.

      • KCI등재

        질식분만의 경험이 없는 비자궁탈출증 환자에서 질식자궁적출술과 복식자궁적출술에 관한 비교

        이주열 ( Lee Ju Yeol ),윤영민 ( Yun Yeong Min ),전현아 ( Jeon Hyeon A ),김홍배 ( Kim Hong Bae ),이근영 ( Lee Geun Yeong ),강성원 ( Kang Seong W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목적 : 전통적 금기 사항인 질식분만경험이 없으면서 자궁탈출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질식 자궁적출술과 복식자궁적출술을 비교 분석하여 질식자궁적출술의 안전성과 용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2년간 본원에서 시행한 전자궁적출술중 질식분만 경험이 없는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질식자궁적출술 98명 복식자궁적출술 84명을 중심으로 환자 특성, 적응증, 수술후의 합병증 등에 대해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검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vaginal hysterectomy and abdominal hysterectomy for a non-prolapsed, benign uterus in women without vaginal delivery.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in Hallym-university hospital analysed 182 total hys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