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위험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다차원성 모형검증 연구

        전학열,최중진,김청송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위험행동의 보호 및 위험요인의 다차원성을 가정하고 있는 부합-통제가설을 심리적․환경적 위기에 직면한 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위험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관계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위험요인에 따라 탄력성이 다르게 작용하는가를 확인한 결과 희망과 생활역량이 충동성과 위험행동 간의 관계를 이중 매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동일한 위험요인 수준에서는 보호요인의 누적이 위험요인의 영향을 상쇄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보상모델(compensatory model)을 입증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 환경적 위험요인의 정도에 따라 탄력성 및 취약성요인들의 기능이 긍정 혹은 부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그리고 탄력성과 취약성을 구분해야 할 이론적인 유용성과, 2) 보호요인이나 위험요인의 작용은 탄력성이나 취약성의 개입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다차원성 가설이 지지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rehend the multidimensional model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risk behaviors of youth. In this study, 62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ere asked to administer to the following scales: Risk Factors Scale, Barratt Impulsiveness Scale-Ⅱ, Sensation Seeking Scale (V), K-DHS, Life Competence Diagnostic Scale, Risk Behaviors Scale, and Impulsivity act on risk behaviors. As a result, sensation-seeking was found to have an independent effect, acting as a mediate variable. Despite that risk factors existed, life-competence bumpered on the risk behaviors of adolescents. Therefore, life-competence had an effect on risky behavior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dverse environments. Hope and life-competence were verified as dual-mediators between impulsivity and risk behavior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umulative compensatory model was fit for explaining the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at risk. In the case of low levels of risk, hope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but not at the high level of risk. However, life-compet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sensation-seeking and risk factors, acted in high-level risk environments. In conclusion, the multi-dimensional model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youth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previous single-dimensional model. These outcomes suggest that a more tailored-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moderating the risk behaviors of at-risk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위험행동에 대한 취약성과 탄력성의 영향

        전학열,최중진,김청송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ole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that may amplify the impact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youth’s risk behavior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cales were administered to 62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Risk Factors Scale, Barratt Impulsiveness Sclae-Ⅱ, Sensation Seeking Scale(V), K-DHS, Life Competence Diagnostic Scale, Risk Behaviors Scale, and Impulsivity act on risk behaviors. The results verified that life competency of youth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risk factors and risk behaviors of youth.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exist risk factors, when the youth has high level of life competency, the frequency of risk behaviors can be lowered in half. In case of hope, it moderated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risk behaviors.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vulnerability works differently depending on risk factors, it was tested if vulnerability has a role as mediating variable between risk factors and risk behaviors. The result suggested that impulsivity of youth has a mediating effect. That is, even with risk factors, when the youth has a low level of impulsivity, he(she) would attempt less risk behaviors. This means that youth with low impulsivity has an ability to moderate the impact of risk behaviors. Also, it is not the sensation seeking nature of youth that has a moderating role in between risk factors and risk behaviors but risk factors that do moderate in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risk behaviors. This means that youth with sensation seeking nature would more likely attempt risk behaviors in environments with full of risks.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위험행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영향을 증폭시키는 개인의 안정된 특성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은 청소년의 취약성과 탄력성이 위험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위험요인에 따라 탄력성이 다르게 작용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위험요인과 위험행동 간에 탄력성이 중재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생활역량의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위험요인이 있더라도 생활역량이 높은 청소년은 위험행동을 하는 빈도가 반감되었다. 희망의 경우 위험요인과 위험행동에 대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에 따라 취약성은 다르게 작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험요인과 위험행동 간에 취약성이 중재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충동성은 위험요인을 조절하는 중재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위험요인이 있더라도 충동성이 낮은 청소년은 위험행동을 하는 경향이 적게 나타났다. 이것은 충동성이 낮은 청소년들이 위험행동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며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감각추구성이 위험요인과 위험행동을 매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위험요인이 감각추구성과 위험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감각추구성이 높은 청소년들이 위험 환경에 처하는 조건에서만 위험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

        전학열,김청송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2

        The Emotion Management Program was composed with Mindfulness Meditation and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The two approaches was chosen to help the participants aware their emotion more clearly, reducing conflicts and establishing problem solving skills on social setting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 Management Program on social anxiety and investigate the repeated measure mediated effects of anxiety sensitivity and alexithymia on social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 Management Program directly reduce social anxiety among in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alexithymia maintain a role of mediating effect and anxiety sensitivity are not mediated during therapeutic process. And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y, sex, clinical samples, and protective factors for adolescent who experience social anxiet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불안심리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인문계 고교 2학년으로서 남녀 각각 25명씩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은 마음챙김명상과 해결중심 단기치료를 결합한 방식으로 정순중과 김유숙(2006)의 프로그램을 청소년들에게 적용한 것이다. 효과는 불안민감성(ASI), 감정표현불능증(TAS-20K), 그리고 사회불안(SAS-A)척도로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에 반복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정서조절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대기자 청소년들에 비해 불안민감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감정표현불능증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차 변인으로 보이는 불안민감성은 매개효과가 치료 전·후에 유지되지 않았지만, 감정표현불능증은 치료 전·후에 매개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과 임상 군에 대한 비교연구의 필요성 및 사회불안에 대한 다양한 보호요인들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