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 강도가 림프구 아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태원,박성태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1

        전태원, 박성태. 운동 강도가 림프구 아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43-54,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강도의 운동이 혈중 림프구 아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7명의 건강한 성인남성들(연령: 25.6±1.5세, ??O_(2)max: 56.0±2.7 ㎖/㎏/min)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통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4가지 운동 강도, 즉 ??O_(2)max의 50%, 65%, 75%, 85%에 해당하는 운동 속도와 운동 시간을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트레드밀에서 최대하 달리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림프구 아형들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완주정맥에서 안정 시, 운동 직후, 회복기 90분 째에 각각 혈액 15ml씩을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즉시 운반ㆍ분석하였다. 운동에 따른 전체 림프구 및 림프구 아형의 수는 운동 직후에 안정 수준 보다 증가하여 회복기 90분 째에 감소하였다. 각 면역 세포수는 운동 강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85% 강도는 운동 직후 시점에서 다른 강도들보다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림프구와 NK cell은 안정 시에 비해 운동 직후 증가하여 회복기 90분 째에 안정 시 수준이하로 감소하였다. 운동에 따른 T4 림프구 증가보다 T8 림프구의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나, T4/T8 은 운동 직후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O2max의 50~85% 정도의 최대하 운동에 의해 순환 혈액의 면역세포의 증가 현상이 나타나며, 특히 운동 직후 시점에서 고강도 운동은 중강도 운동 보다 더 큰 증가를 수반한다. Jun, T.W., Park, S.T.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ies on the Lymphocyte subpopulations. Exercise Science, 13(1): 43-54,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intensities on the change of circulating lymphocyte subpopulations. 7 healthy young males(age : 25.6±1.5, ??O_(2)max: 56.0±2.7 ml/kg/min) participated in four trials. At each trial., subjects ran on the treadmill at the respective intensities corresponding to 50%, 65%, 75%, 85% of ??O_(2)max. Blood was obtained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at 90 min after exercise to measure lymphocyte subpopulations(CD3, CD4, CD8, CD16). Circulating lymphocyte count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p<.01) and decreased(p<.01) in recovery 90 minutes. At most of intensities, Relative proportions of the lymphocyte and NK cell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p<001, p<.001) and decreased below baseline level at recovery 90-min(p<.01), particularly magnitude of decrease to baseline appeared most greatly at 85% intensity. In conclusion, Immediately after exercise, suppressor T cells increased more than helper T cells, so the Th/Ts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p<.01). These results suggest exercise at low or moderate exercise intensity as well as below 400kcal of energy expenditure to avoid the immunosuppression.

      • KCI등재후보

        최대운동 중 체내 지질과산화물질의 생성에 관한 연구

        전태원,이왕록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전태원, 이왕록. 최대운동 중 체내 지질과산화물질의 생성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277-284, 2002. 본 연구에서는 점진적 최대운동 중 지질과산화물질(Lipid Hydroperoxide)의 생성량과 그 추이를 확인하여 운동 중 산화적 손상이 야기되는 특정 운동강도의 존재 유무를 고찰하였다.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는 지질과산화물질의 하나로 알려진 Lipid Hydroperoxide를 분석하였으며 실험은 대사질환 병력이 없는 건강한 대학원생(28.2±2.6)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실험과 본 실험으로 나누어서 S대학교 운동생리학 실험실과 E 의과대학 미생물학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사전 실험은 트레드밀을 이용한 점진적 최대운동 부하검사를 3회 실시하여 각 피험자의 최대산소섭취량 및 환기역치를 산출하였다. 또한 3차례의 사전 실험에서 획득한 각 피험자의 최대산소섭취량 50%, 60%, 70%, 80%, 90% 및 100% 강도를 설정하여 본 실험에서 운동시점(운동강도) 결정 시 이용하였다. 본 실험은 점진적 최대운동 시, 사전실험에서 설정된 각 피험자의 특정 운동 강도에서(최대산소섭취량의 50%, 60%, 70%, 80%, 90% 및 100%)에서의 운동 시 혈액을 채취하여 지질과산화물질(Lipid Hydroperoxide)을 LPO-560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8.0 ver.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점진적 최대운동의 각 운동단계별 지질과산물질 생성량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피검자의 평균환기역치는 최대산소섭취량의 60.8±13.4%로 나타났다. 그러나 점진적 최대운동 시운동강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체내에서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질(Lipid Hydroperoxide)의 생성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운동중 산화적 손상의 하나인 지질과산화가 유발되는 특정 운동강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Chon, T.W., Lee, W.L. The Change and Amount of Upid Hydroperoxide During the progressive maximal exercise test. Exercise Science, 11(1): 277-284,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and amount of Lipid Hydroperoxide during the progressive maximal exercise and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certain exercise intensity resulting in the high amount of lipid hydroperoxide as oxidative demage. The subjects were 10 graduate students(28.2±2.6yr) without any metabolic diseas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the exercise physiology Lab. of S university and the microbiology Lab. of E medical school. The pretest was executed for 3 times. In the test, VO_2max, VT, LT and 50%, 60%, 70%, 80%, 90% ,100% of VO_2max were determined by treadmill running(Bruce protocol). In the head test, the blood was sampled at 9 times of the determined exercise intensity steps during the pretest Then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Lipid Hydroperoxide by LPO-560 assay. After the analysis, Mean and SO were determined by SPSS 8.0 ver. and One-way ANOVA was applied as statistic, the significant was 5%. The results were shown that VT was 60.8±13.4% of VO_2max.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ce in the change of lipid hydroperoxide of the whole exercise intensity step. Therefore, it seemed that there was no certain exercise intensity resulting in some high amount of lipid hydroperoxide as oxidative demage.

      • KCI등재

        Algorithm for Reducing the Effect of Network Delay of Sensor Data in Network-Based AC Motor Drives

        전태원,안정렬,이홍희,김흥근,노의철 전력전자학회 2011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11 No.3

        Network-based controls for ac motor drive syst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is paper, an ac motor control system is implemented by a motor control module and three sensor modules such as a voltage sensor module, a current sensor module, and an encoder module. There will inevitably be network time delays from the sensor modules to the motor control system, which often degrades and even destabilizes the motor drive system. As a result,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network delayed ac sensor data. An algorithm to reduce the effects of network time delays on sensor data is proposed, using both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the sensor data. The algorithm is applied to a vector controlled induction motor drive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with experiments.

      • KCI등재

        장년층 활동성 생활자의 효율적인 피로회복방법 연구

        전태원,이병근 한국운동과학회 1997 운동과학 Vol.6 No.1

        장년층 활동성 생활자의 효율적인 피로 회복방법 연구. 운동과학, 제6권 제1호, 73-84, 1977.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하운동후의 안정,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회복이 젖산, 심박수, 산소섭취량, 구강온도, 코티졸 및 프로락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남성 9명(47±2.2세)이었으며, 자전거 에르고미터에서 50% V˙O₂max의 강도로 30분간 운동을 실시하고 3가지 방법으로 회복을 취하였다. 통제집단은 최대하운동이 끝난 후부터 안정휴식을 취하였고, 고온침수욕 집단은 20분(5분 휴식 포함) 동안 고온침수욕(40±1℃)을, 사우나 집단은 사우나를 실시하고 이후에는 안정회복을 취하였다(건구온도 85℃, 상대습도 21%). 젖산과 산소섭취량은 회복처치후에만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심박수와 구강온도는 회복처치후와 회복 15분에서만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코티졸의 경우 회복 30분에만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 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P<0.05). 프로락틴의 경우 회복처치후 및 회복 30분 모두에서 고온침수욕 및 사우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고온침수욕과 사우나욕은 모두 인체의 대사작용을 증가시켜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ive methods of fatigue recovery on the active old aged man. Exercise Science, 6(1); 73-84, 197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LA, HR, V˙O₂, cortisol and prolactin during rest, bath and sauna recovery after submaximal exercise. Total of nine healthy males were recruited in the study(47±2.2yrs). After 30 minutes exercise of 50% V˙O₂max, they were took three recovery methods. After the exercise, the control groups were took a resting recovery. The bath groups were took a bath recovery(40±1℃) for 20 minutes(included rest for 5 minute) and a resting recovery of the other time. The sauna groups were took a sauna recovery for 20 minutes(dry temperature 85℃, relative humidity 21%).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ath, sauna group and control group on LA and V˙O₂ at the end of recovery treatment onl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ath, sauna group and control group on HR and oral temperature at the end of recovery treatment and 15 minutes of recovery.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ath, sauna group and control group on cortisol at 30 minute of recovery, and on prolactin at the end of recovery treatment and 30 minute of recovery. As a result, the bath and sauna treatment were the effective method in recovering from fatigue with increasing metabolic reaction of body.

      • KCI등재후보

        흰쥐의 피부조직에 있어서 Cyclohexane의 독성

        전태원,조현국,윤종국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8 No.2

        To evaluate the skin toxicity of topical cyclohexane application (25mg/cm2) wa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rat skin for four days. On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the light micrographs, neutrophils and engulfed neutrophils are seen, and many cytoplasmic processes were appeared in proliferated layer whereas in the dermis area, increased numbers of fibroblast, accumulation of neutrophil and lipid droplets are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applying the cyclohexane to the rat skin led to the remarkable rise of cutaneous xanthine oxidase activity and similar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content and declined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remarkably decreased activity of aniline hydroxylase (AH) was appeared in skin as little as scarcely determined. Furthermore, the applying the cyclohexane to skin led to the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y of hepatic AH and alcohol dehydrogen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xygen free radical and intermediate metabolite of cyclohexane may be responsible for structural changes in skin by cyclohexane application to rat skin.

      • KCI등재

        최대하 운동의 강도에 따른 혈중 지질 과산화와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

        전태원,박성태,강현주,엄우섭,이동기,박익렬,전병환,김은경 한국운동생리학 2004 운동과학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정 운동량을 소비하는 다른 강도의 최대하 운동에 따른 혈액의 지질 과산화과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7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들(연령: 25.6)1.5세, VO₂max: 56.0±2.7 ㎖/㎏/min)이 피험자로 선정되었고, 운동 강도를 4가지로 구분하여 이에 해당하는 운동 속도를 산출한 후 일정 운동량(400㎉)을 소비할 수 있도록 운동 시간을 개별적으로 정하여 트레드밀에서 달리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별 운동 순서를 무선할당 및 배정 하였고 1주일 간의 간격을 두어 실험하였다. 혈액은 안정 시운동 직후, 회복71 90분 째에 각각 10ml씩 전완주정맥에서 채혈하여 즉시 원심분리한 후 분석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지질 과산화 분석은 혈청 Malone dlaidehyde(이하 MDA)를 분석하였고. 항산화 효소 활성은 적혈구에서의 giulalhione peroxldase(GPx) and superoxlde dlsmutase(SOD)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혈첨 MDA 농도는 운동 직후에 안정시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며(p<.05), 회복기 90분째 안정시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적혈구 GPX 활성도는 운동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적혈구 SOD 활성도는 전체적으로 운동 직후에 안정 시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회복기 90분 째에 약간 증가하지만, 안정 시 수준 보다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p<.05). 따라서 400㎉ 정도를 소비하는 최대하 운동은 운동 강도와 관계없이 일정 운동량에서 혈액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지만 회복기 90분 이내에 안정 상태로 회복시키며, 적혈구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자극할 만큼 강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intensities on the change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7 healthy young males(age : 25.6±1.5, V˙O₂max: 56.0±2.7 ml/㎏/min) participated in four trials. At each trial., subjects ran on the treadmill at the respective intensities corresponding to 50%. 65%, 75% and 85% of V˙O₂max. They exercised for different duration so that energy expenditure(400㎉) was equal to all subjects. The order of the trials was randomized and separated by one week. Blood was obtained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at 90 min after exercise to measure the serum malondialdehyde(MDA) level.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iGPxi and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ies. serum MDA lev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exercise(p<.05) and recovered at 90 min after exercise(p<.01). Erythrocyte SOD activity de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comparison to baseline(p<.05) and increased just a little at 90min after exercise but appeared lower activity than at rest(p<.05). Erythrocyte GPx activity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roughout every tim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bmaximal exercise, which expend on 400㎉, induced the oxidative stress of the blood independent of exercise intensity but recovered into rest level within 90 minutes. And the exercise of this type does not stimulate activity of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s

      • KCI등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PWM 인버터의 적응 히스테리시스 전류제어 기법

        전태원,최명규 전력전자학회 1998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3 No.4

        본 논문은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PWM인버터의 스위칭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적응 히스테리시스 밴드 전류제어 방식을 제안하였다. 신경회로망의 지도신호로 중성점전압을 고려한 적응 히스테리시스 밴드 식을 유도하고, 이 전류제어에 적합한 신경회로망의 구조 및 학습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전동기의 동작 상태에 관계없이 스위칭 주파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며, 전류의 과도응답 특성의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The adaptive hysteresis band current control method using neural network is proposed to hold the switching frequency of PWM inverter constant at any operating points of ac motor. The adaptive hysteresis band equation is derived as the teaching signal of neural network. and then the structure and learning algorithm of the neural network a are sugges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witching frequency of PWM inverter is held constant at any operating conditions of ac motor and the proposed method has good transient performance of stator cur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