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가족친화제도를 중심으로

        전춘애,김민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9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and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4th and 7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Participants comprised 252 worki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4th wave) and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stage (7th wav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2.0.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marital conflict, emotional support, and the implement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dditionally,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cent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stage.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 KCI등재
      • KCI등재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교육지원활동과 도움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전춘애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1

        This study is based on Korean students, ranging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Specifically, it examined how their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the children's perception to such support activit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demographic variables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in this study,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self-rating surveys done by 929 students(3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300 middle school students, 269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erceived school-related support activities and controlling activities perform mor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ame is for sons more than daughters, groups of higher grade than groups of middle and lower grade. In the case of making a home-learning environmen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hild's age and grade. Also, groups whose father's educational level is graduating college or lower, tend to show less activities that form a home-learning environment and controlling activities, compared to that of graduates of university and even higher level. In contrast, groups of higher economic level tend to have more activities that form a home-learning environment and controlling activities. In case of school-related support activities,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level. Second, parents' activities to improve child's grades and activities that form a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perceived most helpful in groups of highe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ho are in highest grade groups were perceived school-related support and controlling activities to be helpful to themselves. Meanwhile, as to the perception of helpfulness of activities that make a home-learning environmen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hild's age and grade. As to the perception of helpfulness of grade-beneficial activities, activities that form a home-learning environment and controlling activities, were perceived parental support to be most helpful to groups with the highest economic level. In the case of school-related support activities, interaction effect appeared both between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level, and between mother's employment condition and economic level. These results show that regarding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s the age of the child increases, the content of the support activities have to change. Also, a support system for underprivileged families of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economic level. Second, parents' activities to improve child's grades and activities that form a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perceived most helpful in groups of highe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ho are in highest grade groups were perceived school-related support and controlling activities to be helpful to themselves. Meanwhile, as to the perception of helpfulness of activities that make a home-learning environmen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hild's age and grade. As to the perception of helpfulness of grade-beneficial activities, activities that form a home-learning environment and controlling activities, were perceived parental support to be most helpful to groups with the highest economic level. In the case of school-related support activities, interaction effect appeared both between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level, and between mother's employment condition and economic level. These results show that regarding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s the age of the child increases, the content of the support activities have to change. Also, a support system for underprivileged families of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economic level should be constructed by the government. 본 연구는 자녀의 교육열이 상당히 높은 우리나라의 초 · 중 ·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 의 자녀교육지원활동과 이러한 교육지원활동에 대한 그들의 도움인식정도가 자녀의 인 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정환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 을 위해 92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중학생, 고등학생보다, 아들이 딸보다, 그리고 학업성적이 상위 집단의 자녀가 중간과 하위집단의 자녀보다 그들 부모가 여러 교육지원활동을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아버지 학력이 전문대졸업 이하인 집단이 대학졸업과 대학원졸업인 집단보다, 그리고 경제수준이 하위인 집단에서 다른 집단보다 가정학습환경 조성활동과 통제활동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생, 성적이 상위인 집단, 그리고 경제수준이 상위인 집단의 자녀가 부모의 교육지원활동에 대해 자 신들에게 가장 많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 독립변인들 간의 (자녀학년×성적, 부학력×경제수준, 모취업유무×경제수준)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프로그램 현장에서 자녀의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지원활동이 직접적이기 보다 자녀의 자율성 등 발달적 특성에 근거하여 지원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함을 부모에게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리고 아버지의 학력과 가정경제수준이 낮은 가정을 위한 국가차원의 교육지원 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전춘애,박철옥,이은경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adolescents' demographic, psychosocial, family environmental, and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629 males and 807 females) of middle school which are located in Seoul. We analyzed t-test and ANOVA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Internet Addiction depends on the variable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to comprehend the relative influences between these variables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is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family economic status, self-esteem, control of anger, self-control, others-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parents' rearing attitud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peer and teacher's support). Also, the Internet Addiction is affected by numerous variables such as adolescents' gender, economic status, self-control, others-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father's caring, father's control, mother's caring and mother's contro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tensively the variables which to predict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s and to examine the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the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청소년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 가정환경 특성, 사회 환경적 특성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차이가 있는지와 이러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11개 중학교 남학생 629명과 여학생 807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가정경제수준, 자아존중감, 분노조절, 자기 통제력,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모의 양육태도 및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친구 지지, 교사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성, 경제수준, 자기 통제력,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 아버지 돌봄, 아버지 통제, 어머니 돌봄, 어머니 통제 변인들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관련 변인들을 광범위하게 탐색하여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들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성 인식 정도

        전춘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7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에 의한 대상 어린이집의 관찰을 통해 보육시설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이들 보육시설에 자녀(만 1세~만 4세)를 맡기고 있는 어머니 206명을 대상으로 보육만족도와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아동의 연령, 어머니의 특성(교육수준, 직업), 가정수입에 따른 보육만족도와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중요성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척도에 근거하여 연구 대상이 되었던 3개의 어린이집을 관찰한 결과에 의하면, 3개의 어린이집은 상당히 높은 질적 기준을 갖춘 보육시설임이 입증되었다. 2. 어머니들은 보육시설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설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M=4.45)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들은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 모두가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인성과 자질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의 아동에 대한 사랑과 민감성이 반영된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이 질이 높은 보육시설을 형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4. 아동의 연령, 어머니의 특성(교육수준, 직업), 가정수입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만족도는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보육료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만 2세 이하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만 3세 이상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보다 보육료에 대해 더 불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 대 아동의 비율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3세 이상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2세 자녀의 어머니보다 교사 대 아동의 비율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아동의 연령, 어머니의 특성(교육수준, 직업), 가정수입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직업지위가 낮고 수입이 적을 때 보육료를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부모의 중요성 인식은 보육시설의 실태와 보육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였고, 보건복지 부에서 정한 보육료와 교사 대 아동의 비율에 대해 더 많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