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윤식의 1970년대 시론(詩論) 연구

        전철희 춘원연구학회 2024 춘원연구학보 Vol.0 No.28

        본고의 목적은 김윤식의 시론을 개괄하는 것이다. 김윤식은 신비평의 세례를 받으며 1960년대에 연구를 시작했다. 1970년대에 그는 문학의 사회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을 함께 살피려 했고, 방법론적 모색의 결과 문학사회학적인 장르론에 안착했다. 김윤식은 시가 개인의 정감을 담은 것이고 소설은 사회적 전망을 표현한 것이라는 이론적 전제 아래, ‘시혼’을 강조한 김소월이 한국 서정시의 기원이 된 경위를 설명하고 또한 ‘시정신’에 관한 박용철의 논의가 갖는 의미를 고찰했다. 그런데 김윤식이 볼 때, 박용철은 시의 성취 여부가 시인의 정신에 달려있다는 점을 강조했을지언정, 작가의 어떤 정신이 어떻게 표현되어야 하는지를 논하지는 못했다. 이후의 시인과 평론가들 또한 박용철의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계승했다. 그 결과 한국의 주류시단은 문학이 제대로 된 정신을 표현할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지 못했다. 이상으로 요약한 김윤식의 시론은 당시의 상황에서 매우 독창성을 가진 것이었다고 평가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utline Kim Yun-sik's poetics. Kim Yun-sik began his research in the 1960s, receiving the influence of new criticism. In the 1970s, he attempted to examine both the social and artistic aspects of literature, and as a result of his methodological study, he came to accept literary sociological genre theory. Kim Yun-sik explained how Kim So-wol, who emphasized 'Si-Hon', became the origin of Korean lyric poetry, under the theoretical premise that poetry contains personal emotions and novels express social perspectives, and also the meaning of Park Yong-cheol's discussion on 'poetry spirit'. was considered. However, Park Yong-cheol only emphasized that the achievement of a poem is determined by the poesie, and did not specifically discuss what the writer's spirit should be. Afterwards, many poets and critics also inherited Park Yong-cheol's perspective. As a result, the work of examining whether the poesie is properly expressed in Korean poetry has almost disappeared. Kim Yun-sik's poetic theory summarized above can be evaluated as having great originality i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 KCI등재

        약소국 혁명 서사의 한 기원 : 신동엽의 「금강」을 중심으로

        전철희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beginning of the narrative about the popular uprising in Korea by analyzing Shin Dong-yup's Geumgang. Around the 1960s, South Korean intellectuals set out to re-evaluate past resistance uprisings. After meaning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s a popular uprising based on the spirit of anti-feudal/anti-foreign power, they tried to realize modernization by inheriting the spirit of this movement. On the other hand, Geumgang copie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s a struggle to protect the noble spiritual values. Through this, Shin Dong-yup was able to present the task of moving toward a total revolution in the face of modern civilization, rather than being satisfied with the pursuit of a realistic alternative to ‘modernization’.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revolutionary histories abroad, the narrative form of Geumgang is tragic. Western intellectuals' records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American Revolution, and the Russian Revolution tend to highlight the achievements of the revolution through romance-type narratives and to prove human subjectivity and the possibility of radical transformation. And Geumgang, through tragic narrative, evoked the grim truth that even a just struggle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could be defeated due to objective circumstances, and implied that the world system that blocks the independent revolution of a weaker country can still exist in the present (Cold War era). This work exemplifies the fact that Koreans, who have lived on the fringes of the world system, may remember the revolution in a different way than intellectuals in ‘developed countries’. 본고의 목적은, 신동엽의 「금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 민중항쟁을 복기하는 작업이 시작된 양상을 정리하는 것이다. 1960년대 무렵 남한의 지식인들은 과거의 저항적 봉기를 재평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들은 동학농민운동을 반봉건/반외세의 정신에 입각한 민중항쟁으로 의미화한 후, 이 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근대화를 실현시키고자 했다. 반면 「금강」은 동학농민운동을 고결한 정신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투쟁으로 모사했다. 이를 통해 신동엽은 ‘근대화’라는 현실적 대안의 추구에 만족하지 않고 현대문명에 맞선 총체적 혁명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할 수 있었다. 한편 해외의 혁명사들과 달리 「금강」의 서사형식은 비극적이다. 프랑스 혁명, 미국 혁명, 러시아 혁명에 대한 서양 지식인들의 기록은, 로맨스 형식의 서사를 통해 혁명의 성과를 부각시키고 인간의 주체성과 급진적 변혁의 가능성을 증명하려는 경향이 있다. 반면 「금강」은 비극적 서사를 통해 후진국의 정당한 투쟁조차 객관적 상황 때문에 패퇴할 수도 있다는 냉혹한 진실을 환기시키고, 약소국의 자립적 혁명을 가로막는 세계체제가 현재(냉전시대)에도 엄존할 수 있음을 암시했다. 이 작품은 세계체제의 변방에서 살아온 한국인들이 ‘선진국’의 지식인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혁명을 기억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예증한다.

      • KCI등재

        재벌집 막내아들 의 정치적 무의식

        전철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2 No.-

        web novels have often been read as reflecting social ideology or readers’ desires. However, the task of tracing and criticizing the traces of ideology in a specific narrative work, although it is a theoretical practice that deserves support, lacks academic productivity. This paper analyzed the web novel The Youngest Son of a Chaebol House by referring to Frederic Jameson, who discovered ideological class struggles in narrative works. This work contrasts the talented and moral character Jin Do-joon with the incompetent and corrupt chaebol family. Their conflict structure denounces an unfair society where classes are hereditary and expresses the desire for a world where everyone can demonstrate their abilities. This work also carried out a fundamental critique of hereditaryism by portraying “casino capitalism,” in which the rise and fall of an individual is determined by “luck” rather than “ability.” However, The Youngest Son of a Conglomerat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 ‘good capitalist’ hidden in an overseas private equity fund steps forward to punish the political and economic evils of Korean society. This development is naive, unrealistic and pernicious. However, this limitation cannot be attributed to the responsibility of the artist or the work. Today, those who point out inequality problems are not moving forward with demands for an alternative system, even if they admit that the cause of the problem is capitalism (neoliberalism). In such a discursive terrain, vague pessimism and irresponsible optimism are bound to prevail. “The youngest son of a conglomerate family” reveals today’s discursive fix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imagine an alternative. 지금까지 웹소설은 사회적 이데올로기 내지는 독자들의 욕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특정한 서사작품에서 이데올로기의 흔적을 추적하고 비판하는 작업은, 마땅히 지지받아야 할 이론적 실천일지언정 학문적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고는 서사작품에서 이념적 계급투쟁의 자취를 발굴했던 프레드릭 제임슨을 참조하여 웹소설 재벌집 막내아들 을 분석했다. 이 작품은 유능하고 도덕적인 인물 진도준과 무능하고 부패한 재벌일가를 대조시킨다. 이들의 갈등구도는, 계층이 세습되는 불공정한 사회를 고발하고 모든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세계에 대한 염원을 표현한다. 이 작품은 또한 ‘능력’보다는 ‘운’에 따라 개인의 흥망성쇠가 결정되는 “카지노 자본주의”를 그려냄으로써 세습주의에 대한 근원적 비판을 수행했다. 그런데 재벌집 막내아들 은 해외 사모펀드에 숨은 ‘착한 자본가’가 나서서 한국사회의 정치/경제적 적폐를 처단한다는 결말로 이어진다. 이 전개는 순진하고 비현실적이며 해악적이다. 허나 이 한계를 작가나 작품의 책임으로 돌릴 수는 없다. 오늘날 불평등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들은 문제의 원인이 자본주의(신자유주의)라는 점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대안적 체제에 대한 요구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런 담론적 지형에서는 어정쩡한 비관주의와 무책임한 낙관주의가 팽배해지기 마련이다. 재벌집 막내아들 은 대안을 상상하기 힘든 오늘날의 담론적 고착상황을 현시한다.

      • KCI등재

        카프 이후에 관한 연구의 궤적

        전철희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3 No.-

        본고의 목적은, 카프 출신 작가들이 1935년부터 1945년까지 펼친 행보에 관한 학문적 논고들을 통시적으로 복기하는 것이다. 1980년 무렵 김윤식은 전향의 한국적 특성에 대한 거시적 개괄을 시도했고 몇몇 문학인의 ‘내면 풍경’을 재구했다. 또한 1980년대의 평자들은, ‘카프 이후’의 문학을 진보적 문학운동의 계보 속에 넣으려 했다. 1990년대 무렵 인문학계에서는 ‘근대성’과 ‘주체’ 개념을 둘러싼 논쟁이 있었고, 그런 시대적 분위기는 임화와 김남천의 ‘탈근대적’인 모습을 재발견하게끔 유도했다. 2000년 전후에는 동양론(신체제론, 근대초극론)과 ‘친일문학’을 둘러싼 논의가 펼쳐졌다. 2010년대 이후에는 학계의 공동관심사가 되었다고 할 만한 새로운 담론이 산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래도 임화와 김남천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됐다. 요컨대 카프 이후에 관한 연구는 시대마다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전개된 셈이다. 과거의 연구들을 참조하면서 더욱 총체적인 연구를 도모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chronically review the academic papers on the activities of KAPF writers from 1935 to 1945. Around 1980, Kim Yun-sik attempted a macro overview of the Korean characteristics of conversion and evaluated of the several authors. And critics in the 1980s attempted to place ‘post-KAPF’ literature within the genealogy of progressive literary history. Around the 1990s, there was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subject’ in the humanities field, and the atmosphere of the times led to the rediscovery of the ‘post-modern’ aspects of Im Hwa and Kim Nam-cheon. Around 2000, discussions surrounding new system discourse, modern transcendence discourse is happening. After the 2010s, no new discourse that could be said to have become a common interest in academia has been produced, but research on Im Hwa and Kim Nam-cheon has expanded into various fields. In short, research on the post-KAPF era has developed in slightly different ways in each era. There is a need to pursu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while referring to pas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