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성 폐쇄성 말초동맥질환 후 발생한 만성 허혈성 말초신경병증 1예 : A case report

        전재용,심영주,류기형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68세 남자 환자가 6년 동안 지속되는 좌측 종아리 통증, 절뚝거림, 감각 이상, 및 작열감을 주소로 전기진단 검사를 위해 내원하였다. 진찰에서 좌측 후 경골 동맥과 족배 동맥 맥박의 촉지 소실과 좌측 대퇴 동맥의 맥박이 감소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전기진단 검사 소견은 좌측 요천추부 신경총병증 및 우측 심비골 및 천비골 신경병증을 시사하였으며 혈관 조영술에서 좌측 총 장골 동맥과 우측 대퇴 동맥에서 폐쇄 소견이 관찰되었다. 저자들은 만성 폐쇄성 말초 동맥 질환으로 인해 양측 하지의 만성 허혈성 말초신경병증이 발생한 증례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68-year-old man visited in our laboratory for electrodiagnostic examination. He had suffered from left low leg pain claudication, paresthesia and burning sense for six years. Physical examination showed a loss of pulsation in the left posterior tibial and pea dorsalis artery and decrease strength of pulsation in the left femoral artery. Electrodiagnostic examinations revealed lumbosacral polyneuropathy of both lower extremity. Angiography revealed occlusion of left common iliac artery and right femoral artery. We report a rare case of ischemic peripheral neuropathy of both lower extremities as a result of chronic peripheral occlusive arterial disease.

      • 식물검역선충 분리 자동화 기계 사양 개발

        전재용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식물검역선충 검사는 선충분리[직접검경→침지→체법→변형베르만깔대기법→해부현미경 검경]와 종 동정[해부현미경검경→표본제작→광학현미경검경, 해부현미경검경→분자생물학적 종 동정]으로 이루어진다. 선충분리는 깔대기법으로 식물체를 검사할 경우 시료양의 변화를 수용할 수 없으며, 여름철 고온기 부패로 선충 검출이 되지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지법을 도입하여 해결하였으나, 높은 선충 검출율로 높은 검역처분이 가능하였졌으나,체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따라 분리효율이 차이나고, 작업과정이 힘들어서 작업과정을 표준화 및 노동력절감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화 표준화를 위한 매뉴얼 체법 기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작업과정에서 선충의 비산을 막으면서 선충을 쉽게 다룰 수 있는 노즐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매뉴얼 체법기계와 노즐을 도입한 식물기생선충 분리 자동화 장비 사양 개발을 추진하였다. 최종적으로 [투입, 부유, 분리,수집, 보관, 세척, 모니터링 및 제어부]로 구성된 무인자동화 선충분리 시스템의 사양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관절부 척골신경병증의 전기생리학적 중증도

        전재용,이종민,심영주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08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0 No.1

        Objectives: To determine the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severity and the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of ulnar neuropathy across the elbow (UAE). Methods: Seventeen patients (20 cases) with documented UA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1 were included (12 male, 5 female, 42.6±10.97 years). We evaluated the clinical severity using the Dawson’s Classification. The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was based on nerve conduction studies. The scale used was as follows: mild, slowing of the ulnar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across the elbow and normal ulnar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 (SNAP) and 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 (CMAP); moderate, slowing of the ulnar MNCV across the elbow and a reduced amplitude or the absence of ulnar SNAP; severe, slowing of the ulnar MNCV across elbow and the reduced amplitude or absence of ulnar CMAP. Results: The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and Dawson’s clinical severity were classified into three scales. Three cases were classified as mild, 10 cases as moderate and seven cases as sev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degree of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and the clinical sever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ur assessment method of electrophysiological severity was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severity of UAE.

      • 식물검역 해충 형태와 분자생물학적 진단기술 개발 현황 및 과제

        전재용,이부자,허재명,조장용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식물검역에서 규제는 종(species)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종을 알아야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동정은 검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하여 검출되는 해충 종 동정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형태적인 분류동정방법이다. 그리고, 현재 보조적으로 분자생물학적인 진단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1차 식물검역기술개발종합계획 수행과정에서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과 식물검역기술개발사업을 통하 여 고해상도의 영상자료를 곤충 딱정벌레 446종, 애완용곤충 309종, 노린재목 377종 등 PIS(Pest Information System) 영상자료 구축을 통한 형태분류동정 자료를 확보하였다. 곤충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는 870종의 나비목과 과실파리과 등의 DNA 바코드를 확보하고 53종의 진단키트를 개발하였다. 이중에서 바코드를 통한 진단법이 확립된 것은 금지급 26종, 관리급 190종, 기타 379종이 확립되었다. 선충은 뿌리썩이선충과 9종의 염기서열과 5종의 종특이프라이 머, 뿌리혹선충 10종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다. 애완용곤충은 외국산 사슴벌레과 63종, 한국산 사슴벌레과 7종, 외국산 장수풍뎅이과 24종, 한국산 장수풍뎅이과 1종의 DNA 바코드 염기서열 확보하였다. 2015년에 제2차 식물검역기술개발종합계획에 해충 분류동정 연구는 추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세부추진계획 로드맵로 구체화하여 외부 검토의견 수렴중에 있다. 계획에 금지급 60종, 관리급 1,480종과 규제비검역 2종의 검역해충 대부분 종들의 형태동정과 바코드 매뉴얼 보완 및 표준 표본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 식물검역과 씨스트선충

        전재용,나강문,전명승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씨스트선충과(Heteroderidae)의 선충은 한국의 식물검역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규제하는 선충 금지급 6종중Globodera 2종, 관리급선충 43종중 5종(Heterodera 4종, Punctodera 1종)으로 뿌리혹선충과(Meloidogynidae) 관리급9종, 뿌리썩이선충과(Pratylenchidae) 금지급 2종, 관리급 5종(Nacobbus 1종, Pratylenchus 4종), 나선선충과(Hoplolaimidae)관리급 9종(Helicotylenchus 1종, Hoplolaimus 3종, Rotylenchulus 1종, Rotylenchus 2종, Scutellonema 2종)와 함께 식물검역에서 가장 중요한 분류군이다. 하지만 식물검역과정에서 씨스트선충은 1999년 이후 현재까지 8,174회 선충 검출되는과정에서 단지 30회만 검출되었다. 이것은 씨스트선충 검사 방법이 식물검역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우리나라에 유입되어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사탕무씨스트선충은 원산지가 유전자분석 방법으로 네덜란드와 독일에분포하는 유전자형으로 밝혀졌으며, 같은 포장에 동시에 검출된다. 이들 나라는 사탕무씨스트선충과 클로버씨스트선충이 모두 분포하며, 우리나라로 피트모스 수출이 많은 나라이다. 이제 식물검역에 씨스트선충 검사를 위한 새로운검사방법 도입을 검토할 시점이다.

      • KCI등재

        일부 농촌 주민의 주관절부 척골신경병증 유병률 및 위험인자

        전재용,류기형,심영주,임현술 대한재활의학회 2005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29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lnar neuropathy at the elbow (UNE) in a rural district in Korea. Method: Among the 578 residents in a rural district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examination, 450 (116 male, 334 female) adults were randomly selected. A symptom questionnaire and electrodiagnostic studies were used to diagnose UNE.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related factors, work-related factor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normal and UNE group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UNE. Results: Subjects with UNE were 29 (6.4%), symptom without electrodiagnosis findings 23 (5.1%), asymptomatic subjects were 379 (84.2%). Diabetes mellitus, repetitive heavy lifting were risk factors of UNE.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UNE was 6.4% in a rural district and these data suggest that medical conditions like diabetes mellitus and physical factors like repetitive heavy lifting are risk factors of U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