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에서의 뉴스 리터러시 수업의 방향 모색 : 댓글을 중심으로

        전자배 ( Chun¸ Jab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As the online news media environment has brought new opportunities to react to news information, people can shift their role from news recipients to news users; posting news comments marks this change. Although news comments spaces function as public spheres, social problems related to news comments have been on the rise: problems with online malicious news comments, news comment manipulation, and so on.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social psychology and social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with news comments and suggests news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news comment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an instructional model using the Inquiry Design Model (IDM), a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based on the C3 framework developed by the NCSS. Through this effort in social studies, adolescents will grow into informed online news users, thus allowing our society to maintain a more mature online public sphere.

      • KCI등재

        온라인 뉴스 댓글이 사회문제에 대한 청소년의 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전자배 ( Chun¸ Jab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With the advent of online news media, reading news comments has become an ordinary experience for news users. Adopting the theory of social influence and attribution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whether news comments affect adolescents when establishing their own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irst, adolescents are likely to perceive public opinions about social problems following the news comments which were displayed under the article. They use news comments as a heuristic to infer public opinion. Second, perceived public opinion influences one’s opinion about the cause of the social problems in the case of external attribution conditions. Third, perceived public opinion affects adolescents when deciding their own opinion; this leads them to support the solutions which are in line with the perceived public opin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news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critical reading of news comments. Also, by dealing with online news comments in class, social studies tried to help adolescents be better informed citizens and to enlarge their perspectives toward social problems.

      • KCI등재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이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유능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전자배(Chun, Jab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양상 및 동아리활동과 협업능력 간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5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를 유형화한 결과, 4개 집단(교내․외 동아리 참여군, 교내 동아리 참여군, 교외 동아리 참여군, 참여저조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중 참여저조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교내·외동아리활동의 참여에 있어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자아유능감, 협업능력 점수는 교내·외 동아리 참여군이 가장 높았으며, 교외 동아리 참여군, 교내 동아리 참여군, 참여저조군의 순으로 감소했다. 또한, 자아유능감, 협업능력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동아리활동이 자아유능감을 매개하여 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기할만한 점은 교외 동아리활동만이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교내 동아리활동은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원인 탐색, 동아리활동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교외 동아리활동 참여만이 청소년의 자아유능감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내 동아리활동과 지역사회, 청소년단체와의 연계 및 개별적 책무성을 고려한 동아리활동의 설계를 본 연구의 실천적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기조는 유지하되,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를 장려하는 정교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club activitie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ub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abilities. The dataset of the 1st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as used and 2,526 adolescents were selected. First, adolescents can be classified into four-groups (in/out school clubbers, in-school clubbers, out-school clubbers, and low participators); low participators made up the highest percentage.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conomic status of families across club activities were detected. Third, in/out school clubbers show the highest score in terms of self-competence and collaborative abilities, followed by out-school clubbers, in-school clubbers, and low participator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etence was identified. Interestingly, self-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 of out-school club activities on collaborative abilities, not in-school club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connection club activiti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youth groups and highlighting the individual accountability of each club member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이슈에 대한 온라인 공간 속 청소년의 의견표명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전자배(Chun, Jab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의견표명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 연구 Ⅴ」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학생 1,26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은 사회이슈에 대하여 온라인 공간에서 소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행동경향은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이슈에 대해 지식이 많을수록, 친구와 사회이슈에 관한 대화 빈도가 높을수록, 교실 속에서 다양한 의견이 교환된다고 인지하는 청소년일수록 온라인 공간 속에서 사회이슈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외 단체활동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일수록 사회이슈에 대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이슈에 대한 의사소통에 청소년들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가 요청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사회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이해와 참여를 돕는 실제적인 교육적 방안이 실행되고, 다양한 의견이 존중되는 안전한 공론장의 형성이 필요하다. 또한, 교외 단체활동 참여가 민주시민으로의 성장에 이바지하는 유의미한 통로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및 시민사회단체에의 청소년 참여를 장려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의 생각과 목소리는 민주사회의 발전에 원동력이 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 속에서 청소년들의 목소리도 함께 오고가며 더 나은 방향을 찾아가는 민주사회로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opinion expression behaviors about social issues. In this article, the 2018 Survey on Youth Competencies Index,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and a total of 1,266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are less likely to express their opinion about social issues. Second, adolescents are likely to express their opinion when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more knowledge about social issues, talk frequently with parents and friends about social issues, and think the classroom climate for discussing social issues to be an open one. Third, social organization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adolescent opinion expression behaviors about social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rmation of safe public spheres and practical education regarding social issues are suggested. In addition, it is worth emphasizing that youth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and civil society groups is something that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청소년의 사회 참여 활동 현황 분석

        김서현(Seo hyun Kim),강병희(Byung hee Kang),전자배(Jabae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디지털 미디어는 개개인이 공적 시민으로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였으며, 청소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오가며 사회 참여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청소년의 사회 참여활동 현황을 살펴보고,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민주 사회 형성을 위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6,15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 참여활동의 양상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사회 참여활동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들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사회 참여의 유형 중 교내 활동에 주로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이 사회 참여 활동을 하게 된 경로는 부모, 친구, 교사의 권유, 사회 문제를 다루는 학교 수업의 순이었다. 셋째, 청소년은 사회 참여 활동이 시민으로서 개인의 긍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을 통한 사회 참여 활동 의사가 더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 사회 참여 활동의 문제점으로 흥미 및 재미 부족, 집단 편가르기 및 혐오표현 등의 문제 양상을 지적하였다. 결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청소년 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사회 참여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 문제를 소재로 한 수업 실천, 학생 주도성에 기반한 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운영, 디지털 시민성과 연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사회 참여활동이 활성화되어, 청소년이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고 민주 사회 발전을 이끄는 주체가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lowering the barriers for adolescents to par-ticipate as members of society. adolescents can participate i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line and offlin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and to seek the directions forward to let them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Focusing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this study observes its benefits and drawbacks and suggests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Methods This study conducts an online survey of 6,15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This survey consists of questions asking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and offline spher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ir thoughts related to it. Th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First, adolescents were mainly participating in school activities among th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econd, adolescents usually engage i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rough recommendations from parents, friends, teachers, and school classes dealing with social issues. Third, adolescents perceived tha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led to individual civic growth. Fourth, adolescents tend to participate i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rough online rather than offline in the future. Fifth, the problem of curren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was a lack of interest and fun, and social problems such as group conflict and hate speech. Conclusions The results described here could highlight a need for youth participation programs based on school curricula, and student agency, practicing classes dealing with social issues, and strengthening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adolescents are expected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