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관리와 자기효능감이 혈액투석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전영희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if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of diabetic nephropathy hemodialysis patients were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modialysis-related symptom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254 patients based at 3 University hospital hemodialysis centers and 7 hemodialysis clinics from September 2017 to November 2017.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s with stable economic condition and no complications from diabetes, the higher patient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led to lower hemodialysis related symptom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financial support, a management process needs to be set up to prevent complications from diabetes, and disease-specific patient self-management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patient’s self-efficacy. 본 연구는 당뇨병성 신증 혈액투석환자들의 자가관리와 자기효능감이 혈액투석 관련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3곳의 대학병원과 7곳의 개인병원에서 25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제상태가 안정되고 당뇨합병증이 없을 경우, 자가관리와 투석 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환자의 혈액투석 관련 증상이 낮았다. 이에 경제적인 지원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당뇨합병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며, 질병 특이적인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지키(古事記)』사호비코(沙本毘古)(沙本毘古)의 반란이야기를 통해 본 호무치와케(本牟智和気)황자 이야기

        전영희 대한일어일문학회 2019 일어일문학 Vol.82 No.-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the Kojiki is to consider the Sahobiko rebellion story and the Homchiwake prince story. In previous studies these two stories have been interpreted separately. It rebellion story of Sahobiko was one of the rebellion story, prince story of Homuchiwake was a story there is a problem not solv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prince story of Homuchiwake has, tried to contact with the rebellion story of Sahobiko. Then I saw a new issue. It was the resignation of the throne inheritors of the rebels. Moreover, he had resigned after carrying the debt that the Tenjin's descendant Emperor had. This is not found in the prince story of Homchiwake alone. When you see it with the Sahobiko rebellion, it starts to appear.

      • KCI등재

        성학대 피해 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

        전영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07 美術治療硏究 Vol.14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성학대 피해 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미술치료가 성학대 피해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행동과 자존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K시의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만 9세의 성학대를 받은 여아로 2006년 12월 28일부터 2007년 3월 15일까지 총 19회기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부모용 문제행동 평정척도와 자존감 척도, 그리고 자화상과 동적 가족화(KFD)를 통한 투사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치료 사전․사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미술치료가 성학대 피해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둘째, 미술치료가 성학대 피해아동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가정에서의 자존감이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는 성학대 피해 아동이 겪는 외상 후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외상 이전의 모습으로 회복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겠다.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미술치료의 중재 효과와 함께 아동의 정서적 바탕이 되는 화목한 가정이 성학대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로부터 아동의 회복을 가속화시킴을 알 수 있으며,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이 앞으로 오랜 기간 겪게 될 침투적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to check if art therapy can help reduce the post traumatic stress of a child who was victimized from sexual abuse and, in particular, what effects art therapy can bring onto the child's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caused by th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study subject is a nine year old girl, third-year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who was sexually abused previously. She had a total of 19 art therapy sessions from December 28, 2006 to March 15, 2007. The measurement tools are Standard Rating for Problem Behavior (Parent Version), Measurement for Self-Esteem, Projection Tests through Self-Portrait and KFD, and Comparativ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child victim's problem behavior caused from her post traumatic stress. Second, art therapy helps improve the victimized child's self-esteem, especially her self-esteem at hom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an art therapeutic treatment for a sexually abused child would help the abused victim recover herself by reducing her PTSD through art therapeutic sessions. This study suggests also that not only the intervention of art therapy but the continuous parental and family support will help the child with sexual abuse to overcome her intrusive thoughts, including obsessive and compulsive thinking or behavior, that she has to deal with for a long time.

      • KCI등재후보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정신지체 중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전영희,공마리아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at what effect has group art therapy with artistic activitie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on improvements in social skills of the mild mentally retard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special middle school in G city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mail-2, femail-1) who had shown lack of social skills with sluggish communication skills. The sessions were held for 60 minutes twice a week for 13 weeks from 2003. 9. 9 to 2003. 12. 16. Main purpose of the group art therapy was to look into what effect has group art therapy with artistic activitie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on social skills such as the cooperation, self-expression, and self-regulation as subcategories with sub-questionaries. I made the questionaries(20 questions) used to evaluate their social skills which were made by Kin Hyang-Ji who refered to Social Skills Intervention Guide which was made by Gresham and Elliott(1991). These were examined by Dr. Gong Maria and Lee Dal-Yup to check propriety for this study. The levels of the value make points from 1 to 4 by each standards of "superior, normal, below normal, bad". These points were offered by trained observers. The conclusions were following; First, group art therapy with artistic activitie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had a positive effect on mild mentally retarded students. Second, what effect has group art therapy with artistic activitie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on self-expression of mild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ird, what effect has group art therapy with artistic activitie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on self-regulation of mild mentally retarded students. But, there still remain needs to study further for the uses of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as remedial sources for not only mentally retarded child but also other objects. 본 연구는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 미술치료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G시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정신지체 중학생 3명(남아 2명, 여아 1명)으로 측정도구는 Gresham과 Elliot(1991)가 제작한 사회적 기술중재 프로그램(Social Skills Intervention Guide)을 기초로 김향지(1996)가 수정하여 만든 사회적 기술중재 프로그램 내용을 한국재활복지대학의 공 마리아 교수와 대구대학교 이달엽 교수로부터 문항 내용의 타당도에 관한 검증을 거쳐 하위영역 ‘자기주장’을 ‘자기표현’으로 수정하고 ‘협력’에 6개 문항, ‘자기표현’에 6개 문항, ‘자아통제’에 8개 문항, 총 20개 문항으로 만든 ‘사회성행동척도’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총 26회기의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매 회기마다 체크리스트를 통한 변화를 기록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개개인의 차이는 있으나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과정중에 재료와 필요한 도구를 교환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규칙이나 지시에 따를 수 있고 정해진 시간 내에 과제를 마치려고 노력했으며 정리정돈을 스스로 하게 되어 서로 협력하는데 효과가 있었고 둘째,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대상학생 모두 구부렸던 자세가 펴지고 표정이 밝아지고 서로 눈을 맞추면서 감정을 주고받으며 소리내어 함께 웃고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말소리가 점차 커지면서 필요한 것을 스스로 요구할 수 있게 되어 ‘자기표현’을 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웃옷을 머리에 뒤집어 쓰지 않게 되었고 부적절한 소리도 없어졌으며 미술활동중에 다른 집단원 앞에 있는 재료나 도구를 가져갈 때는 시선을 맞추고 웃으며 동의를 구하거나 언어적으로 동의를 구하고, 미술재료를 독점하거나 고집을 피우지 않게 되어 이들의 ‘자아통제’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 미술치료가 특수하교 중등부에 재학중인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 현실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치원생들의 자기개념과 행동발달 및 학습관심에 미치는 영향

        전영희,조옥귀 한국현실치료학회 2015 현실치료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현실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자기개념과 교사들이 평가한 행동발달 및 학습관심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의 7세반 원아를 대상으로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10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 후에 행동발달 관찰척도, 자기개념 검사, 학습관심 및 창의성 발달검사를 시행하였다. 자료는 이원변량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행 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아의 자기개념이 향상되었다. 둘째,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아의 행동발달이 향상되었다. 셋째,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아의 학습에 대한 관심과 창의성이 향상되었다.

      • KCI등재후보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적용에 의한 홍익정치 실현방향

        임기추 바른역사학술원 2021 역사와융합 Vol.- No.9

        본고는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적용에 의한 홍익정치 실현방향 설정을 시도하였다. 첫째 홍익인간 사상 현대적 적용의 전제조건인 성통·공완수행의 방법과, 법령·제도 및 사회규범 준수 등 재세이화의 주요 실천의무 등을 고찰하였다. 둘째, 법령·제도적 결정권자가 홍익정치관련 당사자와 이해관계자 간에 개인·집단 등 상대관계의 이해 속에서 홍익인간의 관점 및 가치의 추구를 통해, 누구든지 모두 이익이 되는 홍익정치상 적용원칙 및 결정원칙을 모색하였다. 셋째, 개인·사회·민족·국가 등 홍익인간 관점 및 경제적·비경제적 가치의 지향측면과 법령·제도와 규범 등 재세이화의 실천 적용을 고려한 홍익정치 실현 방향으로, 국내 현안문제에 대한 전략목표 및 추진전략 구상내용을 포함하도록제시하였다. 본고의 시사점으로 우선, 홍익인간 사상에 의한 현대적 실천방법의 고찰과 홍익인간의 범주별 상대관계 이해의 반영에 따른 인간이념 관점에서의 실현 가능성을 보인 점이다. 다음, 홍익정치 실현과 관련한 전략목표 및 추진전략을 포함한 실현방향 설정을 시도함으로써, 앞으로 경제·사회·문화·통일등의 영역에서도 적용 및 모색해 볼 수 있는 지평을 넓혀준 점에 큰 의의가 있을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