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조절 관점에서 본 불성사상

        전여정 ( Jun Yeo-j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Today, as various social problems are highlighted due to the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 there is an imminent need to prepare diverse measures for the emotional control. 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regarding whether the Buddha-nature thought is available as the means for emotional control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emotional control suggested by the psychology. First of all, after investigating the definition that explains an emotion, it tri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 and list of emotions that fall into each category with the introduction of two categorie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necessity of emotional control and the content about an important process recognition. Above all, it is remarkable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performs the function of emotional control through the cognitive methodology. The teaching purpose of the Buddha-nature revealed by The Buddha-nature Theory (佛性論) is the very theoretical basis demonstrating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is capable of functioning as the method for the effective emotional control.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right understanding regarding the Buddha-nature abolishes the effects of five misconducts(五種過失) and creates the effects of five merits(五種功德). This fact is not different from the goals of emotional control which psychologists know. The latter purposes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 and enhance the positive one. Therefore, in theory, the elimination of the effects of five misconducts accords with the reduction of the negative emotion, and the creation of the effects of five merits does with the increase of the positive one. Consequently, the Buddha-nature thought is largely useful as the method of emotional control owing to its capability of decreasing the negative emotion, and effectively fostering the positive on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such a basic research as searches the methodology for the therapeutic approach.

      • ‘불성사상’에 함의된 심리치료요인

        전여정(Jun, Yeo-Jung) 한국불교상담학회 2019 불교상담학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불성 사상에 내재된 주요 치료기제가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은 불성사상을 치료영역에 도입시켜 활용하고자 할 때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접근방향성에 대한 탐색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껏 불성사상의 치료요인은 개인의 긍정성을 증대시켜 주는데 있다고 주로 이해되어 왔다. 개인의 부정성(번뇌)에 대한 분명한 인식 또한 불성사상의 중요한 치료요인이라는 점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therapeutic mechanisms inherent in Buddhahood. This process can also be referred to as an exploration of the approach direct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hen introducing the Buddha s statue into the treatment area. Until now, the main cause of the treatment of immortality has been understood to be to increase the affirmation of the individual. Efforts have been made to reveal that the clear perception of individual negativity is also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in immortality.

      • KCI등재

        마음챙김 명상의 심리치유 효율성을 위한 접근법 제언 -심리치료 기제를 중심으로-

        전여정 ( Yeo Jung Ju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5 No.-

        최근 마음챙김 명상을 치유목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심리학자들은 그들의 치유지평을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마 음챙김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현상은 불교명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연구가 되어진다는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동시에 우려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그들의 시도는 마음챙김을 어떻게 개념화 한 후 진행되었으며, 또 마음챙김의 어떤 치유적 요소에 주목하 면서 이를 치료기제로 적용하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마음챙김 연구자들 은 자신들의 치유목적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음챙김 기능만을 선택하여 활 용하는 경향성이 있다. 이런 경향은 마음챙김 본래의 의미나 맥락과는 무관하 게 치료적 접근이 진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심리학자들이 규명하는 마음챙김에 대한 정의는 마음챙김의 어떤 요소를 본질로 이해하는지 확인 하는 과정에서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정의들은 마음챙김을 통해 자기 컨트롤 작용이나 심리적 치유, 자기향상 등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암묵적으로 표현한 시도에 지나지 않다. 이는 마음챙김 명상이 무엇을 위해 행해지는 것인가 라는 본질적인 요소는 제외된 듯하다. 같은 맥락에서 현재 마음챙김의 치료 범주 양상도 검토해 보았다. 이 검토과정에서는 현재 활용되는 마음챙김 명상이 기존 심리치료에서 다루고 있는 치료범주와 크게 구분되지 않다는 점 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한층 더 근원적인 심적 문제해결 방책의 일환에서 활용 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활용 가능함을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시도되고 있는 마음챙김 명상의 치유적 기제를 조망해 보았다. 치유적 기제는 치료 효율 성과도 관련되는 부분이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마음챙김 치료기제 또한 치료 수단으로 충분히 유용하다. 하지만 근원적인 치료방책을 위한 일환으로 ‘무아 적인 자기이해’ 가 치료기제로서 지니는 가치를 검토해 보았다. 그러한 치료적 의미를 지닌 ‘무아적 자기이해’가 치료치료 기제로서 보다 분명한 자리매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make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as a healing therapy among the practitioners. Psychologists, especially, have adopted and utilized it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their own horizons on the expertise of healing, which is quite inspiring from the fact that a new insight and research on buddhist meditation have been evolving. At the same time, however, it attracts some concerns. There are some doubts about the process on how various meanings of Mindfulness Meditation are conceptualized and what elements a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on-site practices. In addition, some researchers tend to make use of only certain elements of Mindful Meditation they regard to be appropriate for their practices. This tendency may result in curative practices irrelevant to its original purpose and context. This study looks the elements of meditation that practitioners today understand to be essential in their definition of Mindful Meditation. Most answers were an attempt at tacit expressions defining the purpose as self-control,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elf-enhancement, overlooking the essential purpose of Mindful Meditation. A review on the range of its application shows that the widely used meditation methods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at of psychotherapy. Against that background, the need for utilizing Mindful Meditation a means of more radical treatment and its feasibilit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Lastly, this paper surveys curative mechanisms of Mindfulness Meditation that are widely in use. These mechanisms are directly related to treatment effectiveness. While the currently used mechanisms are valuable as effective therapy, I propose ‘Understanding Selfless Ego` as another mechanism in part of a more fundamental treatment measure by discussing its effectiveness and suggesting its applic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