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계를 넘어서는 위반의 움직임 – 결핍과 과잉 현상을 중심으로 살펴본 제바르의 프랑스어의 실종

        전승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4 외국문학연구 Vol.- No.93

        Our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gressive movements generated by the gaps and excesses revealed in Assia Djebar's La disparition de la langue française, and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se movements. As the first female author from the Maghreb elected as a member of the French Academy, Djebar criticizes French as a political language, but presents French as a creative language used to express the ancient Arabic dialect. This French, as a language transcending nationality and a result of the transgressive movements permeating the text, can only be discreetly found on the periphery rather than at the center. The Disappearance of the French Language, the title of this novel, seems to evoke absence and immobility, but actually expresses lack and mobility. The "Retour" as the title of the first part of this work composed of three parts, indicates the initial stage of Berkane's return. The protagonist's stay in France, viewed as an exile, deepens his sense of lacking identity and belonging. Furthermore, bidding him farewell, Marise, embodying excess as Berkane's lover, urges him to return home. The lack and excess themselves lead to violating Berkane's inner prohibition. Berkane, who could not resist choosing exile, is ultimately physically sent back to his homeland. Then, the second step allows Berkane to return to his mental homeland through his lack of sexuality and Arabic dialect, which is the language of love. Nadjia facilitates Berkane's true return, but this protagonist disappears due to the French language. This disappearance,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lack, pushes Marise and Nadjia to recreate Berkane from their own inner selves and support the stateless movement. The writer Djebar thus conveys the possibility of hope to the world and literature by proposing a movement that continuously and clandestinely transgresses the tyrannical and hierarchical system. 우리 연구는 앗시아 제바르의『프랑스어의 실종』에 드러나는 결핍과 과잉에 의한 위반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마그레브 출신 여성작가로서는 최초로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된 제바르는 그녀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소설『프랑스어의 실종』에서 정치적 언어로서 프랑스어를 비판하고 창작과 사랑의 언어로서 시원(始原)의 아랍어 방언을 표현하는 프랑스어를 제시한다. 이 프랑스어는 국적을 위반하는 언어로서 중심이 아닌 주변에 은밀히 존재할 수밖에 없는, 텍스트를 관통하는 위반의 움직임의 결과물이다. 소설『프랑스어의 실종』의 제목은 외연적으로는 부재와 정체를 드러내지만 실제로는 결핍과 역동을 표현한다. 총 3부로 구성된 이 소설의 제1부의 제목은 “귀환”으로서 베르칸의 1단계 귀환을 보여준다. ‘망명’으로 표현되는 주인공의 프랑스 체류는 소속감과 정체성의 측면에서 심화되는 결핍을 양산한다. 게다가 과잉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는 베르칸의 연인 마리즈는 이별을 선언하며 그를 알제리로 돌아가도록 부추긴다. 이 결핍과 과잉는 망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베르칸의 내면의 금기를 결국 위반하게 만들어 그가 물리적 귀환을 이루도록 이끈다. 그리고 2단계 정신적 귀환이 이뤄지는데 이는 베르칸의 성적 결핍과 사랑의 언어로서의 아랍어의 결핍이 그 동력이 된다. 나지아는 베르칸의 귀환을 완성시키지만 그는 프랑스어로 인해 실종되고 만다. 이 실종은 결핍의 한 양상으로 마리즈와 나지아로 하여금 내면의 베르칸을 양산하여 무국적(無國籍)적 위반의 움직임을 지속시키게 만든다. 그렇게 작가는 위계적이고 전제적인 체제를 지속적으로 은밀하게 위반하는 움직임으로 인류와 문학에 희망을 전한다.

      • KCI등재

        민간 중심 상권활성화가 기성시가지 건축물 용도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천 개항로 일대를 중심으로

        전승화,나인수 한국도시부동산학회 2022 도시부동산연구 Vol.13 No.2

        Recently, the number of new stores created by young businessmen and their class has been increasing area since the Gaehang-ro project. It can be seen that this study created a trend of change from the opening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an area where the influx of people was limited, centering on the retail industry.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uses, and the majority of them have changed their uses from vacancies to restaurant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general restaurants that opened due to the project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distribution of restaurants penetrates into the alley, forming an alley commercial district.

      • KCI등재

        사뮈엘 베케트의 『첫사랑』에서의 돈과 빈곤의 글쓰기

        전승화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8

        Le but de cette recherche est de montrer comment l'argent, qui est un thème essentiel de quatre premières nouvelles de Beckett, Premier amour, L'Expulsé, Le Calmant et la Fin, contribue à l'écriture de la pénurie, reflétant l'esthétique de Beckett, dans Premier amour. Cette démonstration se propose donc, d'une part, de présenter le mouvement de l'amoindrissement et l'orientation du mouvement vers le pire que cette écriture de la pénurie produit, en se fondant sur les études correspondantes de quelques critiques beckettiens et sur nos analyses générales à propos de ceux de les quatre nouvelles de Beckett, et d'autre part, d'examiner le rô̂le de l'argent qui participe à la structure littéraire de la pénurie qui se forme à travers l'héritage et la prostitution, deux sortes de manières de se procurer de l'argent. Pour ce qui concerne l'argent hérité, il s'agit de la parodie de l'économie du don, surtout théologique et philosophique, qui exige qu'on donne sans contrepartie pour réaliser l'amour altruiste et la justice sociale, de la révélation de l'inutilité et du néant de l'argent hérité, et de la réalisation du vrai art à travers la subversion de la culture traditionnelle comme cette sorte d'économie. Quant à la prostitution, l'analyse psychanalytique fait savoir que l'argent peut s'identifier à l'excrément et que la prostitution peut ê̂tre défini comme un signe d'amour désignant toujours le manque insatiable.

      • KCI등재

        “이해하려는 자는 이해하리라”- 사뮈엘 베케트와 폴 엘뤼아르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는 프랑스의 삭발식 -

        전승화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2 프랑스어문교육 Vol.76 No.-

        본 연구는 프랑스 해방기에 있었던 숙청 작업의 일환인 삭발식을 살펴보고, 레지스탕스 활동가로서의 사뮈엘 베케트와 폴 엘뤼아르를 소개하고, 이 삭발식을 주제로 한 엘뤼아르의 시 「이해하려는 자는 이해하리라」를 분석하며, 베케트의 작품 『그게 어떤지』에 나오는 “이해하려는 자는 이해하리라”가 엘뤼아르의 시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로 레지스탕스 활동가들의 주도로 시행된 삭발식은 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 독일에게 패한 프랑스가 해방을 맞이하면서 대독협력 프랑스 여성들에게 가한 물리적ㆍ심리적ㆍ상징적 폭력이다. 레지스탕스 활동가였던 엘뤼아르는 「이해하려는 자는 이해하리라」를 통해서 남성 중심 사회에서 약자인 여성에게 가해진 비극으로서 삭발식의 야만성을 고발하고 정의, 사랑과 평등을 기반으로 한 프랑스인의 진정한 연대를 주장한다. 세계대전에서 중립국을 선언한 아일랜드에서 떠나 프랑스에서 레지스탕스 활동을 했던 베케트는 그의 가장 실험적인 소설에서 엘뤼아르의 시어를 인용하여 삭발식을 암시하면서 인간의 소통 불가능성, 이해 불가능성, 또 삶의 부조리한 특성 등을 드러낸다.

      • KCI등재후보

        언택트(Untact) 산업 확산의 이론적 배경과 전망

        전승화,김정호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20 신산업경영저널 Vol.3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ntact industry' which is rapidly emerging as a new growth strategy in the post-corona era, and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spects of this phenomenon.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t defines the 'untact industry,' which has not yet been clearly defined academically and looks at the related services, technologies, and major companies involved. Nex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oliferation of untact services is explained by 1) the government's intense lockdown and shutdown policies, 2) the rapid adoption of untact technology among individual members of the society, and 3) human needs and values for health and safety. Also, the paper considers the technical implications of the 5G era and the prospects for new untact services that will lead to a big-bang disruption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untact industry, which has not undergone much academic research yet, and by explaining why the untact industry has become a mainstream economic phenomenon and why it will continue to dominate in the 5G era. The paper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many companies seeking to accelerate digital transformation and develop new untact services as well as to policymakers who want to foster the untact industry as a core element of the ‘Korean New Deal’ policy.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언택트 산업’이 무엇인지를 정리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론적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아직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언택트 산업’을 정의하고 관련 서비스와 기술 및 주요 기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언택트 서비스 확산의 이론적 배경을 1) 정부의 강력한 봉쇄·격리 정책, 2) 언택트 기술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빠른 수용, 3) 건강과 안전에 대한 인간의 욕구와 가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후 5G 시대의 도래로 인한 기술적 함의와 향후 빅뱅 효과를 가져올 언택트 서비스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을 맺었다. 그동안의 언택트 서비스 관련 연구는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특정 산업이나 특정 고객군을 대상으로 하는 니치 서비스 측면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단숨에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급부상한 언택트 산업이 향후에도 주류 경제현상으로 자리잡을 수밖에 없는 이론적 배경과 함께 5G 시대의 기술적 특징을 분석하여 언택트 산업의 전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언택트 서비스 확장을 꾀하는 많은 기업들과 ‘한국형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 아이템으로 언택트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 당국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뮈엘 베케트의 『그게 어떤지 COMMENT C'EST』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중첩, 얽힘과 연속

        전승화 한국불어불문학회 2019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20

        Le but de cette recherche est de montrer le caractère particulier de l’écriture de Samuel Beckett et sa supériorité en examinant la superposition, l’entremê̂lement, et la continuation à travers l’intertextualité de COMMENT C’EST. Le narrateur de cette œuvre fait de la citation le texte qui consiste en paragraphes et fragments, sans aucune majuscules ni ponctuation, normalement et grammaticalement, contribuées à organiser une phrase. La citation donne en général l’autorité à l’explication que l’on offre, par laquelle il peut convaincre efficacement que son explication est crédible et fiable. Telle est alors une façon dont le discours scientifique établit la notion instable et l’ordre despotique. Dans COMMENT C’EST, la citation que le narrateur révèle est presque pareille à celle du discours scientifique, dans la mesure où elle se prétend exacte sans aucune faute. Mais subvertissent la citation de cette sorte, le clivage du moi du narrateur soi-disant ‘je’, ses fautes, son manque d’attention et de mémoire, la pluralité de voix et leurs mensonges. Cette subversion signifie aussi l’effondrement du mythe que les sciences de progrès et d’intelligence ont construit. À partir de ce moment-là, le rô̂le de la citation y change, si bien qu’elle témoigne l’intertextualité et en fait quelque mouvement qui affranchit librement toutes les sortes de barrières et de limites. À part la citation qui est examinée dans le domaine sémantique, il y en a plusieurs dans ce texte : la superposition et l’entremê̂lement entre l’aspect poétique et celui théâ̂tral qui empê̂chent d’en définir seulement le genre comme roman, l’intertextualité entre le texte et son titre, qui le reflète au niveau de sa forme et de son contenu, et dont l’effet phonétique rend diverse la possibilité d’interprétation, le rapport intertextuel entre L’IMAGE et un épisode qui est inscrit dans COMMENT C’EST, et etc. Tous cela désigne l’écriture de Beckett, visant vers la réalisation de l’art vrai, et son univers littéraire, s’étandant sans fin et se perpétuant à travers cette intertextualit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