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수직적 브랜드확장 시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전달자의 전문성이 확장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성률,허종호,김종수 한국방송광고공사 2006 광고연구 Vol.0 No.72

        소비자의 구전정보 수용효과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구전정보 방향성 관련 연구는 부정구전정보가 긍정구전정보에 비해 소비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해 대체로 일치된 연구결과를 보여 왔다. 하지만 수직적 브랜드확장 상황의 경우 소비자들은 모브랜드와 관련된 정보들을 근거로 확장제품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사전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사전태도는 확장제품과 관련된 구전의 정보처리과정과 의사결정과정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 브랜드확장 상황에서의 구전정보 수용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확장제품에 대한 구전정보의 방향성(긍정구전정보 vs. 부정구전정보)이 확장제품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수직적 브랜드확장의 방향(상향확장 vs. 하향확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수직적 브랜드확장의 방향과 구전정보의 방향성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확장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가 전달자의 전문성 정도(높은 경우 vs. 낮은 경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분석결과, 확장제품에 대한 구전정보의 방향성(긍정구전정보 vs. 부정구전정보)이 확장제품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수직적 브랜드확장의 방향(상향확장 vs. 하향확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향확장의 경우에는 긍정구전정보에 비해 부정구전정보가 소비자의 확장제품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하향확장의 경우에는 부정구전정보에 비해 긍정구전정보가 소비자의 확장제품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직적 브랜드확장 방향과 구전정보 방향성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확장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는 전달자의 전문성이 높은 경우에 비해 낮은 경우에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다공성 세라믹과 제올라이트를 활용한 수질정화미디어블럭의 효과 연구

        전성률,구본학,Jeon, Sung-yool,Koo, Bon-hak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0 No.5

        Preeminent water treatment plans are essential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of aquatic biotopes. Previous studies have not been sufficient to provide cost-effective maintenance method since they focused only on the purification of deteriorated water that requires a continuous supply of clean water. This study proposes an economical method of water quality maintenance using water treatment media block constructed vertically using porous ceramics, zeolite, and river pebble. The water treatment media block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urification area because it functions as a purifier within the ecological pond which can maximize the biotope are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treatment media block, we longitudinally tracked the change of water quality indicators (pH, TDS, COND, DO, T-P, T-N, COD) suggested by Water Environment Standards,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We compared the water quality of one control (A: general ecological pond composition method of the laminated structure) and two experimental groups (B: a combination of aquatic plants and a water treatment media block, C: a water treatment media block only).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water treatment media block is an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 to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of the ecological pond for a long time. The water treatment media block will be a great help in providing a better aquatic biotope space for aquatic insects and fishes living in clear water.

      • 기술집약적 시장에서의 수직적 브랜드확장 시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확장제품 평가에 관한 연구 : 지각된 적합성과 브랜드확장 방향의 조절효과

        전성률,허종호 서강대학교 경영연구소 2005 서강경영논총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확장제품의 광고유형(정교화 광고 vs. 관련성 광고)에 따른 효과를 수평적 브랜드확장(horizontal brand extension) 상황에서의 모브랜드와 확장제품간의 지각된 적합성(perceived fit)만으로 연구범위를 한정시켰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제품군간의 상대적 기술수준 차이가 존재하는 기술집약적 시장에서의 수직적 브랜드확장(vertical brand extension)시 확장제품의 광고유형 효과가 모브랜드와 확장제품간의 지각된 적합성과 브랜드확장 방향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확장제품의 광고유형: 정교화 광고 vs. 관련성 광고) X 2(지각된 적합성 정도: 높음 vs. 낮음) X 2(수직적 브랜드확장 방향: 하향적 vs. 상향적) 집단간 실험설계(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를 적용하여 각각의 실험상황에 있어서 정교화 광고와 관련성 광고 중 어떤 광고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높이는데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모브랜드와 지각된 적합성이 낮은 제품으로 하향적 브랜드확장이 이루어진 경우나 모브랜드와 지각된 적합성이 높은 또는 낮은 제품으로 상향적 브랜드확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존의 수평적 브랜드확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정교화 광고가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높이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적합성 정도가 높은 제품으로 하향적 브랜드확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존의 연구에서 확장제품에 대한 광고유형으로 정교화 광고가 효과적인 것으로 단정지었던 것과는 달리, 오히려 관련성 광고가 확장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높이는데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구매자와 판매자의 용의가격 차이에 제품유형과 소비자의 목적지향성이 미치는 영향

        전성률,주태욱,조효령 한국마케팅학회 2008 ASIA MARKETING JOURNAL Vol.10 No.1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izability of the existing research in an on-line auction situation which suggests that there exist a gap between buyer's willing-to-pay price(WTP) and seller's willing-to-sell price(WTS) about the same product due to the endowment effect and consumers' loss aversion propens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identifies and examines the potential moderating factors for the effect such as product type and consumer's goal orientation based on existing theories about consumers' gain-loss heu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WTS is consistently higher than WTP, and that such gap gets more pronounced when the target product is hedonic vs. utilitarian and when consumers have prevention goals vs. promotion goals. Lastly, limita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소유효과(endowment effect)와 손실회피(loss aversion)성향에 기인한 판매자의 판 매용의가격(willing-to-sell price: WTS)과 구매자의 지불용의가격(willing-to-pay price: WTP) 간의 차이에 관한 기존 연구를 최근 점점 더 소비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새로운 유통경로인 온라인 경매라 는 거래상황에서 재검증하였으며, 동시에 이러한 판매자와 구매자의 용의가격의 차이에 조절적 영향 을 주는 요인으로, 이득(gain)과 손실(loss)에 대한 소비자들의 휴리스틱적인 성향과 관련된 기존 연 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제품 유형(product type)과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목적 지향성(goal orientation)이라는 추가적인 조절변수들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기존연구와 마찬가지로 판매자들이 제시하는 용의가격(WTS)이 구매자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용의가격(WTP)보다 높았으며, 이 두 가격의 차이는 거래되는 제품이 소비자의 입장에서 실용 적인(utilitarian product) 가치를 갖는 제품일 때보다 쾌락적인(hedonic product) 가치를 갖는 제품일 때, 또한 거래에 참여한 소비자가 향상 목적(promotion goal)을 가지고 있을 때보다 예방 목적 (prevention goal)을 가지고 있을 때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메세나 활동이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따뜻한(warmth) 이미지와 능력(competence)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성률,박혜경,김경호 한국문화경제학회 2015 문화경제연구 Vol.18 No.3

        기업들은 메세나 활동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이를 후원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사회공헌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메세나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후원 기업의 특정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메세나 활동을 통해 형성된 후원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개선이 브랜드 충성도에는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연구 역시 부족하다. 본 연구는 메세나 활동을 통해 후원 기업의 따뜻한 혹은 능력있는 이미지가 향상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효과가 브랜드 충성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메세나 활동에 대한 평가는 소비자가 메세나 활동을 얼마나 진정성 있게 지각하는지와 메세나 활동 자체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가 메세나 활동을 진정성 있다고 느낄수록 후원 기업의 따뜻한 이미지와능력있는 이미지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세나 활동 자체에 대한 태도 역시 따뜻한 이미지 및 능력있는 이미지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원 기업에 대한 따뜻한 이미지와 능력있는 이미지는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제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문화예술활동 후원에 대한 당위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케팅 실무 담당자들에게는 메세나 활동을 후원하는 것이 기업의 특정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특히 따뜻한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목표로 하는 기업의 경우 그 효과가 더욱 강력할 것이라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고객 보상 프로그램에서 중간 보상물의 위치가 소비자의 프로그램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표현 방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성률,주태욱,강호일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광고연구 Vol.0 No.83

        오늘날 고객 보상 프로그램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된 판촉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아진 고객 보상 프로그램으로 인해 그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고객 보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중 매개물(multimedium)이 제공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을 보상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즉, 고객 보상 프로그램에서 중간 보상물의 위치가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노력에 대한 메시지 프레이밍 방법과 중간 보상물의 구제적인 제시 여부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발생시키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고객 보상 프로그램에서 중간 보상물이 전반부에 위치하는 경우, 후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보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들의 참여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중간 보상물의 위치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중간 보상물까지 남아있는 노력에 대하여 메시지를 프레이밍 시키는 경우보다 이미 달성한 노력에 대하여 메시지를 프레이밍 시키는 경우에 줄어드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중간 보상물의 제시 방법에 있어 중간 보물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중간 보상물을 제시하는 경우 중간 보상물의 위치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중 매개물이 제공되는 보상 프로그램에 있어 중간 보상물의 위치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와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변수를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고객 보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확장시켜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Customer Reward Programs(CRP) have become so popular thesedays that they can be found easily in our daily fives. Accordingly,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CRPs because of its excessive popular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CRP in which multiple interim rewards are offered to more actively motivate consumers to participate the promotion program. Especially, the present research looks into the effects of the placement - earlier or later - of an interim reward on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RP. We als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how consumer's effort is framed and how concrete and vivid the interim reward is presen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interim reward is offered, early in the program, peopl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when it is offered later. Second, there exist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interim reward placement and the message framing of consumers' efforts, In detail,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interim reward placement decreases when the promotional message is framed to focus on what the consumer has obtained so far rather than what's remaining to acquire the interim reward. Third, the Level of concreteness in presenting the interim reward is also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Specificall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interim reward placement decreases when the interim reward is described in much detail compared to when the interim reward is presented in more abstract terms,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proposed and [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비유사 확장 시 브랜드확장 유형이 목표확장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효과: 브랜드 컨셉과 목표확장제품 가격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전성률,허종호,장소희 한국마케팅학회 2007 ASIA MARKETING JOURNAL Vol.9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two types of brand extensions (sequential extensions vs. direct extensions) in dissimilar extensions and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two key variables - brand concept(functional brand vs. symbolic brand) and price of target extension product(low vs. high).The results from two experiments show that consumers evaluate the target extension product more favorably when brand is extended sequentially to dissimilar categories than when it is extended directly. However, the difference of target extension product evaluation between sequential extensions and direct extensions decrease when brand is symbolic and price of target extension product is hig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 are discussed and in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비유사 확장 시 확장제품에 대한 평가는 목표확장제품으로 직접확장하였을 경우보다는 순차적 확장을 하였을 경우 더욱 호의적이라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이러한 브랜드확장 유형(순차적 확장 vs. 직접확장)에 따른 확장제품평가의 차이가 브랜드 컨셉(기능적 브랜드 vs. 상징적 브랜드)과 목표확장제품의 가격(저가 vs. 고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두 차례의 실험을 통해 그 조절적 역할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비유사 확장 시 목표확장제품에 대한 평가는 직접확장보다 순차적 확장 시 더욱 호의적이었다. 하지만 브랜드확장 유형에 따른 목표확장제품의 평가차이는 기능적 브랜드보다 상징적 브랜드일 경우 현격히 줄어들었으며, 목표확장제품의 가격이 저가일 경우에 비해 고가일 경우 크게 줄어들었다. 즉, 브랜드 컨셉과 목표확장제품의 가격이 브랜드확장 유형의 주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