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춘추학과 경학방법론-『춘추고징』을 중심으로-

        전성건 ( Jeon Sung-k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춘추고징』의 역사적 의미를 탐구해보고, 그의 경학방법론을 체계화해보려는 시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춘추고징』은 춘추시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산의 주석 작업의 결과물이기는 하지만, 『춘추』라는 서물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왕조례 가운데 제례와 상례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고증에 방점을 두고 진행된 것이다. 이를 통해 그의 경학저술의 지향점이 왕조례를 포함한 국가례에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춘추고징』은 다산의 경학방법론의 시각에서 볼 때, 『상서고훈』과 짝을 이루어 살펴봐야 하는 작품이다. 『춘추고징』은 성현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고, 『상서고훈』은 성현의 말씀을 기록한 것으로, 각각이 고증과 훈고에 무게중심을 두고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훈과 고증은 좁은 의미에서 일종의 주석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그의 문헌학 전체 가운데 일부이기는 하지만 핵심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을 명실상부한 조선왕조의 체제개혁가로 부를 수 있다면, 그의 저술 『춘추고징』은 그의 경세학저술의 대표격인 『경세유표』로 이어지는 대표적 경학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hunchugojing written by Jeong, Yak-yong and systemizes his methodology of the chinese classics. The book is the commentary work on the historical fac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is is not focusing on the Chunchu itself but practicing ancestral and funeral rites in the dynasty. Therefore, Dasan said, “This Book has final target on the ritual system.” To sum up, this book ascertains historical truths of Chunchu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then current rites. Comparing Chunchugojing with Sangseogohun, we can verify his methodology of the chinese classics more cleary. While Sangseogohun which is on the teaching of the sages is the work obtained through the exegetical studies, Chunchugojing which is on the ritual practicing of the sages is the work obtained through the documental archaeology. Consequentially, Chunchugojing is the annotated book of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ritual practicing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n it, Dasan will find old proprieties for the Joseon dynasty’s reformation and development. In this regard, he must be a restoration man but also a reformer in the way that eastern thinkers usually seek old future for the present.

      • 포항 별록, 덕동으로 가는 길

        전성건 ( Jeon Sung-kun ) 안동대학교 지역사회발전연구소 2023 지역과 혁신 Vol.2 No.2

        본 연구는 포항에 위치한 덕동마을을 대상으로 그 역사와 문화를 기록한 것이다. 포항의 해양 문화와 견줄만한 대륙 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답사를 통해 직접 덕동마을을 방문하여 마을의 풍광과 건축물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기록하였다. 덕동마을은 조선의 대학자 회재 이언적의 동생 용재 이언괄의 4대손인 이강이 경주 양동마을에서 50리 떨어진 곳에 거처를 정하고 360여 년간 대를 이어 살면서 여강이씨 집성촌이 된 곳이다. 또한 포항 자금산 아래에 위치한 유일한 반촌으로 아름다운 풍광을 지닌 것으로 유명하다. 용계정과 애은당, 그리고 여연당 등이 유명하다. 용계정은 1546년 농포 정문부 선생의 별서로 건립되었으며, 그 앞의 섬솔밭은 몽유도원의 이상을 담은 원림을 이룬 듯한 풍광을 자랑한다. 애은당과 여연당은 세속의 명예와 이익을 떠나 자연의 아름다움을 통해 이치에 맞게 살려는 마음을 담은 듯한 전통 고택이다. This study records awareness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Deokdong Village, located in Pohang. Through the field trip, I visited Deokdong Village, looked at the scenery and architecture of the village, and recorded my impressions. Deokdong Village is the place where Lee Kang, the 4th generation descendant of Yongjae Lee Eon-gwal, the younger brother of Chosun's great scholar Hoejae Lee Eon-jeok, settled down 50 miles away from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and lived there for over 360 years, becoming the Yeogang Lee clan's village. It is also famous for its beautiful scenery as it is the only nobleman village located below Jageum Mountain in Pohang. Yonggyejeong, Aeeundang, and Yeoyeondang are famous. Pavilion named Yonggyejeong was built in 1546 as an annex to Master Nongpo Jeong Mun-bu, and the small pine field in front of it boasts a scenery that seems to form a garden that embodies the ideals of Mongyudowon. Aeeundang and Yeoyeondang are traditional old houses that seem to embody the desire to live sensibly through the beauty of nature, regardless of worldly fame and interests.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다산학(茶山學)의 경학적 원류 ; 다산(茶山) 사천학(事天學)의 외연(外延)과 실천성(實踐性)

        전성건 ( Sung Kun Jeon ) 한국실학학회 2011 한국실학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사천``의 실천방식을 ``개인적 구현``과 ``일가적 구현``의 두 측면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다산이 제공해주는 ``신도(神道)``와 ``인륜(人倫)``에 대한 논의와 연계하여, 다산의 학문과 사상이 결국 ``사천학``으로 귀결됨을 보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만 다산이 제시하는 사천학의 관점을 이론철학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걸음 더 나아가 실천철학의 측면, 즉 예학적 입장에서 검토함으로써, 그가 완성하려고 했던 사천학의 ``이념``과 그 이념의 실천적 ``구현``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즉 본 논문은 다산의 학문을 ``사천학(事天學)``으로 규정하고 있는 연구-사인(事人)과 사천(事天)의 틀을 통해 다산의 학문을 원시유학의 회복의 관점에서 살펴보려는 연구-를 적극 수용하되, 개별인간의 실천적 공부론을 예학의 구체적 예식(禮式)과 연동하여 재조명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다산이 주장하는 인륜(人倫)의 실천이, 인간과 상제의 소통을 개인적 차원에서의 도심(道心)의 발휘를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는 판단을 넘어 사친(事親)-사천(事天)의 조상제사를 기반으로 한 일가(一家)적 차원 혹은 더 나아가 일국(一國)의 차원에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다산은 천주학의 상제설과 영지설을 이용하여 유교적 제사의 의미를 강화시키고, 더 나아가 유교적 예치질서의 확립을 고양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비록 천자만이 상제에게 제사를 지낼 수 있는 권위를 지니고는 있지만, 결국 조상에 대한 제사를 통해서 개별인간들도 상제를 섬기는 데에 참여한다는 논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산의 학문과 사상을 ``사천(事天)``이라는 개념으로 수렴하여 규정할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to focus on Tasan`s discourse on shitian(事天).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aspects which are private and familial practice. While the former is on the way an individual privately experiences religious Being, the latter is on the way an individual publicly experiences religious Being. If considering confucian scholars are not only theorists but also practicers, it is obvious to read Tasan`s discourse on shitian through concrete world which is especially expressed by li(禮) in the premodern societies. Through this approach, we can analyse Tasan`s shitian into two parts which are zhonghe(中和)-reciprocity(忠恕) in the individual aspect and zhaohun(招魂)-fuji(부祭) in the familiar aspects expectedly. Tasan`s academic practicality is in the interpretation of spiritual Being who has personality and interacts with human-beings who has spiritual wisdom. In the long run, Tasan would strengthen confucian ancestral rites and boost the confucian system of social order by shitian and spiritual wisdom(靈知). And it is possible that an indivisual can participate in serving spiritual Being as confucian ancestral rites, although only an emperor does confucian ancestral rites in the premodern societi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fine Tasan`s studies and thoughts as a shitianxue.

      • KCI등재

        19세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 -정약용, 심대윤, 이진상을 중심으로-

        전성건 ( Sung Kun Jeon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2

        본 논문은 조선후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연구 대상으로는 정약용과 심대윤 그리고 이진상을 선택하였다. 조선예학에서 삼례서가 갖는 위상은 대체로 『의례』를 본경으로 하고,『예기』와 『주례』가 본경을 보완해주는 예서로 인식되었다. 이는 이른바 의리예학으로 알려진 주희예학을 조선예학이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의 의례문화는 가례문화로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조선왕조 사대부의 일상생활은 孝悌慈를 유교이념으로 하고 있고, 그것의 실현방식이 관혼상제라는 四禮의 家禮를 통해 실천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가례』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다. 주희의 저작이라고 알려진 『가례』는 未成書이자 未定說이기에 조선예학에서는 이를 해석과 고증 그리고 행례의 세 측면에서 보완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보완은 삼례서에 대한 입장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조선후기에는 『독례통고』나 『오례통고』 등 청대 고증학의 저서의 수용으로 인해 禮式에 등장하는 다양한 개념과 기물 등에 대한 훈고와 고증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학자들에게 고증학은 그 실천성에 있어 의문이 제기된다. 즉청대 고증학은 훈고와 고증의 장점은 있으나, 行禮의 관점에서 볼 때, 그 실천성은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예학의 주류는 역시 주희예학의 맥락 안에있는 의리예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리예학의 맥락을 잘 보여주는 인물로 한주 이진상을 거론하였다. 한주는 당대 家禮書의 총집류로 평가받는 퇴계학파의 상변통고 와 율곡학파의 『가례증해』의 議論을 推說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주는 리학적 담론에 사용되던 의리의 방법을 예학적 담론에 적용한 대표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백운 심대윤과 다산 정약용은 가례를 비롯한 주희예학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새로운 가례서를 작성하는 한편, 한주 및 조선예학자 일반과 달리 삼례서의 본경의 문제에 대한 다른 결론에 다다른다. 백운은 예기를 본경으로 삼아 禮經을 재구성하는 데에 이르고, 다산은 주례를 본경으로 삼아 체재개혁을 위한 禮式의 규범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처럼 조선후기는 삼례서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관점이 등장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n the diversity of the study on the three ritual books which are Record of Rituals[禮記], Zhouli[周禮] and Yili[儀禮] and documental archaeology which is an academic trend brought out in Qing dynasty influence in late Joseon dynasty. The subjects of study are Jeong Yakyoung, Sim Dae-yun are Lee Jin-sang. The respectively roles of three ritual books are as follows in Joseon dynasty. Yili is as a Fundamental scripture, Record of Rituals which be a kind of the book on the self cultivation or the core book among the three ritual theory books is as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Yili, and Zhouli is as a complementary books on Yili. Furthermore, three ritual books are related with interpretation of Zhuxi’s jiali[家禮] which is a unfinished and un determined book. Documental archaeology which is representative to ritual theory like Dulitongkao[讀禮通考] and wulitongkao[五禮通考] and so on in Qing dynasty had influenced ritual theory in Joseon dynasty. By the way, Joseon confucian scholars admitted an influence of documental archaeology but called into question on the practicability of documental archaeology. In this connection, a representative scholar is Lee Jin-sang. He accommodated documental archaeology and succeeded Zhuxi`` ritual theory which is so-called yli[義理] ritual theory. On the other hand, Jeong Yak-young and Sim Dae-yun criticized Zhuxi`` ritual theory respectively and accepted documental archaeology actively. Sim Dae-yun aggressively passed judgment on Zhuxi`` ritual theory and thought of Record of Rituals as fundamental scripture, while Jeong Yakyoung regarded Zhouli as fundamental scripture and negatively appraised on Zhuxi`` ritual theory.

      • KCI등재

        [특집,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생산체계 : 17~18세기 여주 이씨를 중심으로] ; 先祖(선조)의 善德(선덕)과 後孫(후손)의 記憶(기억)-驪州(여주) 李氏(이씨)의 家史(가사) 繼承(계승)을 중심으로-

        전성건 ( Sungkun J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0 No.-

        본 논문은 조선왕조의 지식사회로서의 모습을 다각도로 살펴보려는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재생산 체계에 관한 연구-17~18세기를 중심으로-≫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특히 여주 이씨[성호 가문을 중심으로]가 가문의 역사를 어떻게 정리하고 있고, 그 정리가 갖고 있는 가문적 특성이 무엇이며, 가문의 역사가 어떻게 체계화되고 구성되어 가문의 지식과 지식인 생산에 관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조선후기 여주 이씨의 家史의 전형으로 생각되는 『驪江世乘』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 이전과 이후의 맥락을 살펴보는 데에 연 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에 유의미한 자료로서 평가되는 『黃麗世稿』와 『驪江世稿』 및 『辛巳譜』와 『乙丑譜』 등을 주요 참고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여주 이씨의 가사 계승은 옥동 이서와 성호 이익의 두 인물을 전후로 하여 구분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이전의 성호 가문은 詞藻之家로서 명망을 얻고 있었기 때문에 주로 詩文을 통해 가사를 전달하였다. 이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앞서 언급한 「황려세고」와 「여강세고」이다. 물론 옥동 이서와 성호 이익 이전 인물들의 저술인 문집들 속에서도 역시 대개가 시문이 위주가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옥동 이서와 성호 이익 때부터 이른바 詞藻之家에서 詩禮之家로 가문적 전환을 모색하게 되었기에, 성호 가문에서의 가사 계승 또한 이 때를 기준으로 道學의 입장에서 진행되었으며, 그것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驪江世乘』이다. 『여강세승』 은 기본적으로 가문의 역사를 선조들의 문집, 사적, 족보 등을 모두 포괄하고는 것이기도 하지만, 文章 위주에서 義理 위주의 가문으로 변모하는 모습 또한 살 펴볼 수가 있는 여주 이씨의 문헌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n the good virtue of ancestors and the memory of descendants with Yeoju Lee`s family as its center as a part of the project called A Study on the Reproduction System of Knowledge and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Yeoju Lee`s family was an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in Joseon Dynasty and Korea. Its succession to family histor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its ancestral virtue and family motto was delivered to the descendants through traditional poem, which we call it prose brocaded with imagery. It gathered together into a systematic whole referred to the family literature and documents named Yeogang-Sego. Secondly, it established its family history based on the not only family documents, but also national history and official-unofficial history named Yeogang-Seseong. Yeoju Lee`s family history has a few peculiarities as in the fowlling. First, it holds fast to traditional poem and handwriting methods which is related to the social intercourse. Second, after this, it concentrates on the odes and rituals of neo-confucianism. It shows having self-rescue measures of the politically collapsing family by holding its bound in the late-Joseon dynasty.

      • KCI등재

        [특집,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생산체계 : 17~18세기 평산 신씨를 중심으로] : 신흠의 상수역학과 역사철학 - 邵易과 春秋를 중심으로 -

        전성건 ( Sung Kun J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조선의 지식사회로서의 모습을 다각도로 살펴보려는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재생산 체계에 관한 연구-17~18세기를 중심으로.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여기에서는 평산 신문의 일원 가운데 핵심 인물인 상촌 신흠의 상수역학과역사철학을 邵易과 春秋에 대한 그의 시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흠이 소역과 춘추를 대하는 관점은 심학정신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것은 中正한 마음을 학문 의 토대정신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천지만물의 보편적 이치인 一理를 파악하기 위해 요구된 것이다. 이를 대략적이나마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촌 신흠의 수학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그의 학문정신을 심학정신으로 규정하고, 그가 易學과 史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복희의 先 天圖를 역학의 원형으로 간주하는 신흠은 천지만물에 내재해있는 一理를 파악하 기 위해서는 中正한 마음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흠은 복희로 대표 되는 上古시대, 문왕으로 대표되는 中古시대, 그리고 공자로 대표되는 下古시대라 는 역사단계를 토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역사철학을 전개한다. 다음으로, 소옹 역학에서 一理가 도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현실세계 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묘사되는지, 신흠 자신이 임금에게 상주한 .陳言箚.를 구 체적으로 분석하여 검토해 보았다. 또한 .彙言.과 .求正錄. 등에 보이는 그의 상 수역학과 역사철학의 관점을 통해 그가 당대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 지 君子와 小人의 분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신흠에 의해서 마련된 학문전통인 상수역학과 역사철학을 기반으 로 한 易學과 曆法이 어떻게 후대로 전수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신흠의 아들인 樂 全堂 申翊聖은 신흠의 학풍을 계승하여 만년에 상수학 연구에 침잠하는 한편, .皇 極經世書東史補編.을 저술하여 상수학적 관점에서 단군에서부터 고려 공양왕 시 기까지의 역사를 정리해 인조에게 바치기도 한다. 신익성의 아들인 春沼 申最 또 한 .皇極經世書.의 圖說 관련 글과 .洪範皇極內篇.의 數義를 통해 상수학 중심의 가학을 잇는다. 또 華隱 申炅은 曆理에 정통해서 효종시기 역법의 교체과정에서 자문을 받기도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당대에 신흠 가문은 삼대에 걸쳐 상수 역학에 정통했던 것으로 인식되었다. This paper is on the universal principle and situatinal principle in the case of Shin-Heum. He put emphasis on the impartial heart-mind to the principles. Subjects of this study is Shaoyong’s I-Ching Learning, Chun-Chiu, and so on. Shaoyong’s I-Ching Learning is on the basic matter of universal principle and Chun-Chiu is on the basic matter of situatinal principle. We can examine that his learning spiri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ind-learning through his learning experience. He have learned the I-Ching, Chun-Chiu and so on since he was a little child. He applied mind-learning to the two books. The mind-learning is located between I-Ching and Chun-Chiu which are standard in the real world which is a lot of things to iron out. Shin-Heum was absorbed in finding out th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smological nature and finally discovered the universal principle and the Meaning of Number. Universal principle is a kind of natural law going through one and again the universal principle is divided into situational principle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numbers. We can understand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real world through comprehending to discover the meanings of numbers. In short, Shin-Heum’s viewpoint of world and history was formed by the cosmological law which is discovered not only in the nature, but also in the ancient chinese books of I-Ching and Chun-Chiu. Therefore the books is the exemplary standard for a person who is getting down to earth persistingly.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중용』 해석과 성리설의 이해

        전성건 ( Jeon Sung-kun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7 No.-

        본 논문은 대산 이상정의 『중용』에 대한 해석과 그 방법론을 통해 그의 성리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대산의 공부와 강학은 주로 사서(四書)와 성리서(性理書)를 위주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그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철학분야의 연구는 성리설을 주제로 한 것이 대부분이고 사서학(四書學)을 포함한 경학분야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산은 영남 퇴계학파에서 한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율곡학파라는 외부의 적에 대한 학술적 응전 및 학봉과 서애 학맥의 분화라는 내부의 분열을 봉합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혼륜설과 분개설의 관점을 균형 있게 조화시키고 있는 그의 성리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사실에서 그의 사서학에 대한 연구는 유의미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용』을 중심으로 대산의 경학해석방법 및 그의 성리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그의 사서학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다면, 그의 성리학에 대한 이해도 조금 더 깊이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aesan’s Neo-confucianism theor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its methodology. Daesan’s studies and lectures were mainly focused on four books and Neo-confucianism books. Therefore, most of his studies in the field of philosophy on his studies and ideas are based on the theme of Neo-Confucianism,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in the field of Chinese Classics, including Confucianism. Daesan can be said to have made a mark in Toegye School, which can be found in that it sealed the internal division of Hakbong and Seoae school, the academic response to the external enemy called Yulgok school. And it can be confirmed in his theory of rationality, which balances the views of comprehensive and separation explanation. In the above facts, his research on four books can be said to be a significant work.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examining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Daesa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Neo-confucianism theory, focusing on the Doctrine of the Mean If his research on four books is preceded,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can be made a little deeper.

      • 4차 산업혁명시대의 문화콘텐츠의 가치 : 유교를 중심으로

        전성건 ( Jeon Sung Kun ) 콘텐츠문화학회 2020 콘텐츠문화연구 Vol.2 No.-

        우리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라고 명명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과학기술이 진보하여 인간의 지능을 대체하려는 데에까지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인간의 평안과 행복을 위해 발전시킨 과학기술이 인간을 대체할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시작된 것이다. 인문학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자연을 대상화시키지 않는다는 조건 아래에서 인간의 가치를 찾아 보존할 필요가 있게 된 것이다. 사람의 무늬는 그렇게 지금 여기에서 요구된다. 모든 생명체는 시간과 공간의 자장을 벗어나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가 없다. 시간과 공간을 떠나서는 생명(生命)은 탈각되고 형체만 남게 된다. 인간(人間)은 말 그대로 사이적[間] 존재[人]이다.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과 만물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인간이다. 그러므로 독립적이기 보다는 의존적인 존재이다.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과학기술은 그러한 삶의 전제를 흔들어놓았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농후하다. 제1차 산업혁명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과학기술의 발전은 육체적 측면에서는 삶을 편안하게 만든 것이 사실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러한 발전에 따라 정신문화의 역할이 이제는 물질문명의 역할로 대체될 수도 있게 되었다. 문화콘텐츠산업 또한 그러한 자장 아래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인간의 복지와 안녕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어쩌면 지금까지 인문학은 그러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저항해왔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화살은 날았다. 사람의 무늬를 주체적으로 찾아야 하는 과녁에 도달하기를 바랄 뿐이다. 자신의 무늬를 찾았다면, 이제 이를 확대하여 가정의 무늬를, 사회의 무늬를, 세상의 무늬를 찾아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유교가치가 필요한 것도 이러한 범위 안에서 발견되고 실현되어야 한다. 인의예지(仁義禮智)와 효제충신(孝弟忠信)을 표제어로 하는 유교가치는 인류의 보편가치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렇다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정신의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하고, 그것이 표상화되어 있는 유교전통문화도 이해해야 한다. We live in an era we call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said that technology will go so far as to replace human intelligence. The fear that technology developed for the sake of human peace and happiness may replace human beings. That is why humanities is more important. Under the condition that nature is not targete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preserve human values. The human pattern is so required here. All living things cannot sustain life beyond the magnetic field of time and space. Apart from time and space, the lifeblood is decimated, leaving only the body. Human beings are literally pseudo-humans. It is man that exists between man and all things, between heaven and earth. Therefore, it is more dependent than independent. This is why we have to live together. But science and technology has shaken the premise of life,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continue to be. It may be true that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present have made it comfortable on the physical side. And with such developments, the role of spiritual culture may now be replaced by the role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was also formed under such magnetic fields. It aims to maximize human welfare and well-being by utilizing cultural resources. Perhaps so far, humanities have resisted such advances in technology. But the arrow flew. One can only hope to reach the target where one must find one's own pattern. If you have found your own pattern, it is time to expand it to find the pattern of your family, the pattern of your society, and the pattern of your world. What needs Confucian values should also be found and realized within this scope. The Confucian values under the title of "confucian loving, justice, rituals, and wisdom" hope to becom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If so, we should check what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spirit in it is, and understand the Confucian tradition culture in which it is represented.

      • KCI등재

        한주 이진상의 예설의 특징

        전성건(Jeon, Sung-kun)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본 논문은 한주 이진상의 저술인 『사례집요』의 대략을 살펴보고, 그의 예설 가운데 그의 예론을 대표한다고 판단되는 사종설과 심의설의 성격을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사례집요』는 그의 예학정신을 여실히 보여주는 저술로, 그의 생애 가운데 대략 25년간의 예학에 대한 연구 성과를 담지하고 있다.『사례집요』의 가장 큰 특징은 추설의 논리를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설은 일종의 추론방식으로 그가 심성론에서 다루고 있는 看法과 推法이 예설에서도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한주의 예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정치적 사례는 사종설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사종설은 17세기 예송논쟁의 발단이 된 예설로 장자의 명칭과 종통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해석이다.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장자에 대한 정의와 달리, 한주는 장자는 정실에게서 태어난 것과 종통을 계승한 경우 등을 모두 포괄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는 퇴계학파의 정치적 입장과 예학적 입장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주의 예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예학적 사례는 심의설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첫째, 한주의 심의설은 한주 당대에 시행된 의제개혁에 대한 반론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소매가 좁은 두루마기를 입으라는 의제개혁에 반대하여 유학자의 정통 의복으로 심의를 입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둘째, 『주자가례』를 비롯한 당대의 심의제도에 대한 비판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주자가례』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심의는 4폭의 상의와 12폭의 하상을 연결하여 만든 것인데 반해, 한주가 제시하는 심의는 모두 12폭으로 만들되 상의와 하상을 따로 만들었다가 다시 붙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인물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만들되 상의와 하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will examine Hanju Lee Jinsang’s Saryejipyo and investigate his two ritual theories; these two theories are “the theory of the four kinds of exceptions,” and “the theory of simui” both of which were current at the same time. Saryejipyo represents approximately twenty-five years of thought on ritual theor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thodologies in Saryejipyo is the inference used in his heart-mind theory. This paper will examine Hanju Lee Jinsang’s ritual theories on the basis of two issues: the political and the ritual. First, his theory of the four kinds of exceptions is related to the controversy over Confucian funeral rites. From this political standpoint, it is unique. The funeral ritual controversy revolves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tringer and the name of the eldest son. Hanju considers the name of the eldest son as both legitimate son and heir. Simui,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othing system, is unique from a ritual standpoint. His theory of simui has two strong points of view which oppose the state-led clothing reform and the contemporary routine clothing customs. The state-led clothing reforms ordered the wearing of a traditional overcoat with narrow sleeves; the contemporary custom comprised separating the shirt from the bottom. Hanju emphasizes wearing simui, the pieces of which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