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ARS 역학적 특성과 관리 원칙(II)

        전병철,Jeon, Byeong-Cheol 대한산업보건협회 2003 산업보건 Vol.187 No.-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발생하기 시작했던 급성호흡기감염을 '중증급성호흡지증후군(SARS)'으로 공식 명명하고 전 세계에 경보령을 발동, 각국에서는 경계령을 발동하여 환자 발생감시체제를 가동하였다. 또한 올 겨울 SARS가 다시 유행할 것에 대비해 철저한 대비책을 세워나가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WHO의 SARS 위험평가 분류에 의거 저위험지역에 해당되나 상반기 사스유행지역인 중국 등과 밀접한 교류가 많은 점을 감안하여 교점지역에 준하여 의료기관 중심 SARS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단계별로 감시체계를 전국 병원으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이에 편집실에서는 한동안 전 세계 초미의 관심사였던 SARS에 대해 정리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원고를 청탁하여 특별기고로 다루고자 한다.

      • 0.2 ${\mu}m$ Wide-Head T-Gate PHEMT 제작에 관한 연구

        전병철,윤용순,박현창,박형무,이진구,Jeon, Byeong-Cheol,Yun, Yong-Sun,Park, Hyeon-Chang,Park, Hyeong-Mu,Lee, Jin-Gu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9 No.1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dose를 갖는 이중 노광 방법을 사용한 전자빔 묘화 방법을 이용하여 0.2 ㎛의 wide-head T-게이트를 갖는 PHEMT를 제작하였다. 0.2 ㎛의 게이트 길이와 1.3 ㎛의 게이트 머리의 크기를 갖는 wide-head T-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PMMA/P(MMA-MAA)/PMMA의 3층 레지스트 구조를 사용하였다. 0.2 ㎛의 게이트 길이와 80 ㎛의 단위 게이트 폭 및 4개의 게이트 핑거를 갖는 PHEMT의 DC 특성으로 323 ㎃/㎜의 드레인 전류 밀도 및 232 mS/㎜의 최대 전달 컨덕턴스를 얻었다. 또한 동일한 소자의 RF 특성으로 40 ㎓에서 2.91 ㏈의 S/sub 21/ 이득과 11.42 ㏈의 MAG를 얻었으며, 전 이득 차단 주파수와 최대 공진 주파수는 각각 63 ㎓와 150 ㎓였다. n this paper, we have fabricated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PHEMT) with a 0.2 ${\mu}{\textrm}{m}$ wide-head T-shaped gate using electron beam lithography by a dose split method. To make the T-shape gate with gate length of 0.2 ${\mu}{\textrm}{m}$ and gate head size of 1.3 ${\mu}{\textrm}{m}$ we have used triple layer resist structure of PMMA/P(MMA-MAA)/PMMA. The DC characteristics of PHEMT, which has 0.2 ${\mu}{\textrm}{m}$ of gate length, 80 ${\mu}{\textrm}{m}$ of unit gate width and 4 gate fingers, are drain current density of 323 ㎃/mm and maximum transconductance 232 mS/mm at $V_{gs}$ = -1.2V and $V_{ds}$ = 3V.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same device are 2.91㏈ of S21 gain and 11.42㏈ of MAG at 40GHz. The current gain cut-off frequency is 63GHz and maximum oscillation frequency is 150GHz, respectively.ively.

      • KCI등재

        기획논문 : 1930년대 강우유임(江右儒林)의 소사동유(蕭寺同遊)와 유민의지(遺民意識)

        전병철 ( Byeong Cheol Je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1930년대 강우유림(江右儒林)이 행한 ``소사동유(蕭寺同遊)``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소사동유녹합편(蕭寺同遊錄合編)』에 수록된 창수록(唱酬錄)을 중심으로, 그들이 견지한 ``소사(蕭寺)`` 의 공간이 가 지는 의미,``소사동유(蕭寺同遊)``의 형식과 내용, 시대인지(時代認識)과 유민(遺民) 의지(意識) 등을 살펴보았다. 소사동유가 지닌 의의와 한계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경남유학사(慶南儒學史)에서 어떤 위치를 가지는지 평가해야 할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측면에서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 가이다. 먼저 경남유학사의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1930년대 소사동유는 각기 다른 당색과 사승을 가진 유학자들이 모여 함께 강론과 창수를 하였다는 점에서 19세기 강우유임(江右儒林)의 지리산 등반을 계승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시대적 측면에서 소사동유를 이해 보자면, 소사동유의 성격 및 참여인물의 성향은 ``탈정치 적 은둔유림``에 보다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들의 대응방식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정치 현실에 대해 소극적 이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무장투쟁을 감행하거나 계몽적 사회운동을 전개한 것만이 당시의 상황에 옳은 대응이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각자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지키면서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사명을 짊어지고 간 것이기 때문이다. 온 세상 의 어두움을 완전히 물리칠 수 있는 해와 달은 아니더라도, 어두운 밤의 등불처럼 자기만큼의 빛으로 그만큼의 어두움을 몰아내는 역할을 저마다 실천하고자 노력한 것이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Sosadongyu", which was performed by Confucian scholars in Gyeongnam during the 1930s. With a focus on the Changsurok contained in the "Sosadongyurok Happyeon", the paper looked into the meaning of the space of "sosa" to which they held fast, the type and contents of "Sosadongyu", and awareness of the times and the awareness of people without a country.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Sosadongyu may be view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how to evaluate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of Gyeongnam, and the other is how to understand this from the aspect of those times, namely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irst, in taking a look from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of Gyeonggnam, Sosadongyu may be evaluated as inheriting the Jirisan climbing of Confucian scholars in Gyenognam during the 19th century in that followers of Confucius with different partisan colorings and academic inheritance gathered together and preached and exchanged compositions of poems and prose. In understanding Sosadongyu from the aspect of those times, namely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haracter of and participants in Sosadongyu may be estimated to be closer to "non-political Confucian scholars in seclusion". From their way of responding to reality, it is hard for them to escape criticism that they were passive toward the situation and political reality of that time. Even so, it is not reasonable to conclude that only the decisive engagement in armed struggle or the waging of enlightened social movements were required for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each one took his/her mission as much as he/she could bear while keeping his/her faith and value. Even if they did not necessarily play a role as the sun or the moon that may completely lighten the darkness of the whole world, they tried to portray their roles of lighting up the darkness as much as they could just like a lamp in the darkness.

      • KCI등재
      •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진주편(晉州篇) 등재인물의 시기별 특징

        전병철 ( Byeong Cheol Jeon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嶺南人物考』는 정조(正祖)의 명으로 편찬된 인물지로서, 조선초기(朝鮮初期)로부터 정조대(正祖代)에 이르기까지 학자·정치가·문학가 등 영남과 관련이 있는 542명의 인물을 선정하여 수록했다. 그리고 채제공(蔡濟恭)이 책임자가 되어 주로 남인계(南人系) 학자들이 분담하여 편찬했다. 진주편(晉州篇)에는 총 42명의 인물이 등재되어 있으며, 조선초기 하연(河演)(1376-1453)으로 부터 조선중기 박태무(朴泰茂)(1677-1756)에 이르기까지 거의 300년 남짓의 시기가 설정되어 있다. 제1시기에 해당하는 사람은 모두 13명으로, 하연(河演)으로부터 강응태(姜應台)(1495-1552)까지이다. 이 시기의 인물은 문과 급제제가 9명이나 되며, 무과(武科)와 음사(蔭仕)로써 벼슬에 나아간 이도 각각 1명이 된다. 더욱이 하연과 하륜(河崙)(1347-1416)은 영의정(領議政)에까지 벼슬이 올랐으며, 정석견(鄭錫堅)(?-1500)은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고 강현(姜顯)(1485-1553)은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역임했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볼 때, 제1시기는 세 시기의 인물군 중에서 관료형인물(官僚形人物)이 가장 흥성했던 때라고 말할 수 있다. 제2시기에 해당하는 인물은 조식(曺植)(1501-1572)으로부터 진극경(陳克敬)(1546-1617)에 이르기까지 14명이다. 정두(정두(鄭斗))를 제외한 12명은 모두 조식(曺植)의 직전제자(直傳弟子)로, 등재된 인물이 거의 남명학파의 학자라고 말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 시기의 인물 유형은 문과 또는 천거로 벼슬에 나아간 이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산림에 은거하여 학문과 수양에 전념한 처사형인물(處士形人物)로 구분지을 수 있다. 그들에 대한 묘사는 주로 강개한 기질을 바탕으로 수양과 실천을 독실히 행한 측면과 불의에 맞서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는 강직한 성품과 저항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제3시기는 하수(河受)一(1553-1612)로부터 朴泰茂(1677-1756)까지이며, 모두 15명이다. 이 시기는 조식의 재전제자(再傳弟子)에 해당하는 학자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삶에서 특기되는 사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국난을 당하여 의병을 일으켜 충절을 다한 것이 중요한 행적의 하나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인조반정으로 인해 남명학파가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었으며, 이들의 삶을 서술한 전기자료에서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1536-1623)과 절교(絶交)하거나 애초에 좋게 여기지 않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Youngnaminmulgo> selected 542 scholars, politicians and literary men in Youngnam from the early Chosun to Jungjong`s era. Then, it was published by Namingye scholars under supervision of Jegong Chae. 42 people in overall were recorded in Jinjupyun for about 300 years from Yeon Ha(1376-1453) in the early Chosun to Taemu Park(1677-1756) in the middle of Chosun era. Thirteen people from Yeon Ha(1376-1453) to Eungtae Kang(1495-1552) were recorded for the 1st era. Among the people in this era, 9 passed Mungwa test and 1 person each entered government position through Mugwa and Eumsa. Moreover, Yeon Ha and Ryun Ha(1347-1416) were promoted up to Youngeuijeong while Seokkyun Jung(?-1500) served as Ejopanseo and Hyun Kang(1485-1553) served as Hyungjopanseo. From those featur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1st era is the time in which the government position seeking persons were prospered among three different type of person. 14 people in total from Sik Jo(1501-1572) to Keukkyung Jin(1546- 1617) belong to the 2nd era. 12 people except Doo Jung are Sik Jo`s Jikjeonjeja and thus are scholars of Nammyunghakpa. As for the type of persons in this era, few of them took government position through Mungwa and recommendation. However, most of them are none-government position seeking types who devoted themselves in study and self-discipline, retiring to hermitage in the mountain. Their devotion to self-discipline and fulfillment based on righteous spirit and upright character and resistance to injustice were portrayed clearly in here. The people belong to the 3rd era is 15 in total from Suil Ha(1553- 1612) to Taemu Park(1677-1756). This era is given a lot of weight on the scholars who are Jikjeonjeja of Sik Jo. Also,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bserved from their lives is that they raised army and fought to Japan and Choeng during national crisis of Imjinweran and Byungjahoran. Another thing is that Nammyunghakpa faced a crisis due to Injo`s coup d`etat. In other historical records, they were depicted negatively and recorded as if they ended the relationship with Inhong Jung the Naeam(1536-1623).

      • 래암정인홍(來庵鄭仁弘)의 회퇴변척(晦退辨斥)에 대한 반론과 변론 -『퇴계학설반대상소문(退溪學說反對上疏文)』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전병철 ( Jeon Byeong-cheol ) 남명학연구원 2019 南冥學硏究論叢 Vol.24 No.-

        이 논문은 『退溪學說反對上疏文』이라는 책을 통해 鄭仁弘의 晦退辨斥에 대한 논란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논의는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했다. 하나는 이 책과 『光海君日記』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여 실록을 편찬할 당시 어떤 자료가 삭제되고 생략되었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다른 하나는 『퇴계학설반대상소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회퇴변척에 대한 논란을 살펴보았을 때, 『광해군일기』의 편찬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파악하는 일이다. 『퇴계학설반대상소문』을 『광해군일기』와 대조한 결과, 실록에는 기사로만 적시하여 내용을 알 수 없던 상소문 중에서 전문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19건이 있었으며, 언급조차 되지 않은 상소문으로 8건이 더 있었다. 회퇴변척과 관련된 상소문 가운데 『광해군일기』에 생략되거나 기사로만 제시된 상소문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를 살펴보았을 때, 이러한 편찬 방법은 의도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었다. 광해군과 대북 정권이 주도한 정국이 잘못되었다고 인식시키기 위해 그들이 행한 훌륭한 측면은 생략하고 잘못한 일들은 자세히 기록하는 편찬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임금을 몰아붙이는 강경한 언사도 간단하게 기사로 처리함으로써 상황의 흐름이 전개된 구체적 실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한 측면이 역력하다. 특히 『퇴계학설반대상소문』에서 전문을 확인할 수 있는 李爾瞻의 상소문은 회퇴변척에 관련된 일련의 사태를 더 이상 악화시키지 않으려는 정치적 판단과 함께 정인홍의 심정을 잘 대변해주고 있는 내용인데, 『광해군일기』에는 하루 전인 4월 14일의 기사로 기록하면서 정인홍이 자신의 스승인 까닭에 동료 관원들과 함께 차자를 올릴 수 없다는 내용으로 간략하게 수록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러한 검토 내용을 토대로 말한다면, 『퇴계학설반대상소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회퇴변척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당시의 정황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process of dispute on ‘Hoetoe Byeoncheok (晦退辨斥)’ of Jung In-hong (鄭仁弘) through the book of 『Sangsomun in Opposition to the Academic Theories of Toegyeo (退溪學說反對上疏文)』. The discussion was processed in two directions. On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this book and 『Diary of King Gwanghae-gun (光海君日記)』 to confirm what data of the time to compile the actual records was omitted and deleted. The other is the find out how the compilation of 『Diary of King Gwanghae-gun』 was made when looking at the controversy on ‘Hoetoe Byeoncheok’ with the focus on the contents of 『Sangsomun in Opposition to the Academic Theories of Toegyeo』. As a result of contrasting 『Sangsomun in Opposition to the Academic Theories of Toegyeo』 with 『Diary of King Gwanghae-gun』, there were 19 data that could be confirmed with the full context from those Sangsomun (memorials to the king) that did not fully disclose the contents since the actual records indicated for article. When looking into the fact of what contents were contained in the Sangsomuns that were presented only the articles or deleted from 『Diary of King Gwanghae-gun』 of Hoetoe Byeoncheok related Sangsomuns, this type of compilation method was understood to have the intentionality. In order to imprint the fact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led by King Gwanghae-gun (光海君) and Daegul (大北) regime, it used the compilation method to record in details about what they had done wrong, but omitting the aspect of what they done great. In addition, it processed in simple article for the rigid remarks to corner the king in a way of clearly showing the aspect of unable to find out the detailed status deployed for the flow of situations. In particular, the Sangsomun of Yi Yi-cheom (李爾瞻) that could be confirmed of its full context from 『Sangsomun in Opposition to the Academic Theories of Toegyeo』 had the contents well representing the mind set of Jung In-hong together with the political decision not intending to worsen a series of Hoetoe Byeoncheok related developments, and in 『Diary of King Gwanghae-gun』, it was recorded in article of April 14 with the method of succinct record with the contents that it could not submit along with the colleague government employees since Jung In-hong was his teacher. Speaking based on such a review content, it is possible to assess its implication that it was the turning point to find out in details for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of occurring around Hoetoe Byeoncheok through the analysis on 『Sangsomun in Opposition to the Academic Theories of Toegye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잠(箴) 작품에 나타난 수양론

        전병철 ( Byeong Cheol Je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5 No.-

        16-17세기 초반은 南冥曺植(1501-1572)이 학파를 형성하고 그의 제자 및 재전제자가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시기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해 남명학파가 심각한 타격을 입고 학문적·정치적 활동에서 전면에 나서기 어려웠던 점을 생각할 때, 이 시기는 남명학파의 전성기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16-17세기 초반에 창작된 남명학파 학자들의 箴작품을 대상으로 그 속에 담긴 수양론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했다. 箴의 효용성에 주목해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수양의 실천 양상을 분류한 결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는 수양론의 핵심사상을 제기하여 그것에 따른 실천 의지를 촉구한 작품군이다. 이것은 보다 근원적·본질적 측면에서 자신이나 타인을 규계하는 것이므로, 치료 방법중에서 原因治療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특정한 병폐나 구체적인 실천 덕목을 적시하여 그것에 따른 수양 방법을 모색한 것으로, 어떤 증상에 대해 직접적인 처방을 하는 對症治療의 명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는 어느 시기나 어떤 사건이 계기가 되어 새롭게 전환하려는 시도를 할 때 지어진 작품으로, 이것은 주위 환경이나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병을 호전시키는 改善治療와 같다고 말할 수 있다. 3가지 유형 가운데 편수가 가장 많은 것은 對症治療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총 10편이 여기에 속한다. 原因治療는 5편이 있으며, 改善治療는 4편이다. 곽재우의 「調息箴」은 호흡법에 관한 내용으로 다른 箴작품의 일반적인 성향과 구별되어 기타로 분류했다.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 학자들이 창작한 箴작품은 총 20편인데, 비슷한 시기에 지리산권의 서부인 호남지역에서는 箴작품의 수량이 6편 정도에 불과하며, 그 내용도 2편이 임금을 위해 지은 官箴이고 나머지 4편은 경전을 해석하거나 전대의 작품에 차운한 것이다. 이처럼 호남지역의 箴창작 양상과 대비해 보자면, 남명학파 학자들의 箴작품은 수양의 내용 및 방법을 서술한 것이 매우 구체적이며 실질적이다. 따라서 16-17세기 초반 남명학파의 箴작품은 수양 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is the period that Nammyeong (南冥) Cho Sik (曺植, 1501-1572) formed a school and his disciples developed their activities aggressively. Considering the fact that Nammyeong School was seriously affected by Injobanjeong(仁祖反正) in 1623 and it could hardly take any initiative in academic·political activities, we can see that this period was the prime time of Nammyeong School. Accordingl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understand Suyangron(修養論) contained in Nammyeong scholars’ Jam(箴) works created during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opics and contents of those works focusing on Jam(箴)’s utility and classifying the aspects of practicing cultivation, it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the works’ group that presents the nuclear idea of Suyangron and enhances the will of practice for it. Since this is to regulate oneself or others in more fundamental and essential aspects, it corresponds to causal treatment among many kinds of treatment. The second one is to point out particular ills or detailed virtue items of practice and figure out a way of cultivation for them, so this can be classified as symptom treatment that gives a direct prescription for a certain symptom. The third one is the works’ group written when there was a particular period or event and it formed a chance for a transition, and this can be regarded as improving treatment to better surrounding environment or habits and cure the disease. Among the three types, the one including the highest number of works is that of symptom treatment, and there are total 10 works corresponding to this. Causal treatment has five works, and improving treatment includes four. Gwak Jaewoo(郭再祐)’s 「Josikjam(調息箴)」is about respiration methods and its general tendency is different from other Jam works’, so it is classified into others. There were total 20 Jam works created by Nammyeong scholars from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and in the similar period, there were only six pieces of Jam in Honam(湖南) area, the west of Jiri Mountain sphere, and about the contents, two were Gwanjam(官箴) written for the king, and the rest four were the ones to interpret scriptures or quote previous works. Comparing it with the creation of Jam in Honam area, we can see that Nammyeong scholars’ Jam works are very concrete and practical in terms of describing the contents or directions of cultivation. Therefore, Nammyeong School’s Jam works in the 16th to early 17th century is, in brief, characterized by their strong tendency to suggest methods of cultivation and enhance the will of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