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방실 ( Bang Sil Je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그림책을 읽고 집단토의를 하는 교수활동을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만 5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의 30명에게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의 30명에게는 같은 그림책을 읽어주기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의 여부의 집단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난 후의 정서지능은 토의활동을 하기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discussion acivities using picturebook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sixty 5-year-old children from H kindergarten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N=30) and compare(N=30) groups.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ities using picturebooks and the children of the compare group read to picturebooks used by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t-test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mean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ree areas-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Ⅰ)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Ⅱ) and regulation of emotion(Ⅳ)-the experimental group being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e group. but third area-utilization of emotional knowledge-wasn`t significant Secondly, in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emotional intelligence in only two areas,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regulation of emotion post -test being higher than that of pre- test. This discussion acivities using picturebooks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 '공정성'에 관한 연구

        전방실(Jeon, Bang Sil),임승렬(Lim, Seung Ryou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유아와 놀잇감등의 다양한 상호작용 중에서 공정성 판단의 준거와 구성요인을 관찰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의 S구에 위치한 K유치원 만 5세 지혜반 교사와 유아 22명으로 2012년 10월 24일부터 11월 24일까지 5주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참여관찰로 이루어졌다. 보조연구방법으로서 동영상 촬영, 각종 문서 수집 등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관찰일지, 교사와의 면담내용, 동영상촬영 전사본을 반복하여 읽고, 참여교사와의 해석과정(member checking)과 유아교육 전문가 1인의 협의와 동료 보고하기(peer debriefing)의 과정을 거쳤다. 결과로는 첫째, 만 5세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에서 놀잇감의 소유와 놀이 기회에서 나타나는 공정성 판단의 준거는 교사 또는 유능하고 힘센 또래의 권위, 유아 자신 등을 공정성 판단의 준거로 사용하였다. 둘째, 만 5세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에서 나타난 공정성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정성의 구성요인은 공평, 평등, 형평으로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igured at children's perception of fairness. The study of fairness the meaning and judgement criterion perceived by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five 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in K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during their free play for five weeks from October 24 to November 24, 2012. Their activities were videotaped, and all sorts of documents such as researcher's journal, interview data with the teacher and the transcript of the videotape,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were conducted, and there was consult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re gathered and analy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fairness judgment criteria were found during the free play of the five-year-old preschoolers: authority of the teacher or of a competent and powerful peer, the preschoolers themselves. Second, the types of fairness were found in the Free play of the five-year-olds consisted three factors: impartial, equal, balance.

      • KCI등재후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

        전방실 ( Jeon Bang Sil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2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5 No.-

        본 연구는 도덕적 판단력과 유아정서조절전략들이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있고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정서조절전략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 지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도덕적 판단력은 유아들이 갈등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주인공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 지를 유아 스스로 구분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며, 정서조절전략은 정서 유발상황에서 그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대처행동이나 표현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외현적인 의미로써 정의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의 성북구의 K 유치원과 H 어린이집, 종로구의 E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4,5세 유아 137명으로 2012년 10월 25일~2012년 11월 16일까지 4주 동안 실시되었다.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 도덕적 판단력에서는 성별, 연령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는 도덕적 판단력의 하위항목인 도덕적 영역과 정서조절전략의 회피지원전략이 낮은 정적 상관이 있었고, 도덕적 판단력의 하위항목인 인습적 영역과 정서조절전략의 무전략은 낮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 도덕적 판단력과 정서조절전략의 회피지원전략은 낮은 정적 상관이 있었고, 무전략은 낮은 부적 상관이 있어, 도덕적 판단력의 점수가 높을수록 회피지원전략이 높아짐을 알 수 있고, 도덕적 영역의 점수가 높으면 무전략이 낮아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stategies. The subjects were One hundred-thrity seven children(67 boys, 70 girls: age 3-5) in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computer program, SPSS/PC 18.0.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in moral judgment, sex, age differences did not appear. Second, children’s moral judgment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ment and moral area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low correlations strategy avoidance support. A descendant of the moral judgment was a low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ategy of non-conventional area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KCI등재

        유아 공정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전방실(Jeon Bang s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 공정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만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공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 공정성 증진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공정성 개념 인식하기, 공정성 개념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하기, 공정성 실천 행동하기, 공정성 행동 반영하기를 교육내용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공정성 증진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사고발달을 촉진하여, 공정성 인식 및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연령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가치와 태도에 관한 교육은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장기간에 걸쳐 진행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또래 유아들간의 생활과 삶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is to develop fairness improvement program and to figuure ou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 Go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of fairness improvement program of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ofessional committee were developed. The goal,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of fairness improvement program of young children were consistently systemized in four stages: perceiving fairness-> understanding fairness -> practicing fairness -> reflecting and internalizing fairness. Young children could perceive the concept of fairness consciously in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systematic fairness improvement program of young children, and they exerted themselve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in a fair fashion. However, in the practice of fairness, Young children showed some gaps between their thought and behavior, and showed their appliance of fairness in a confused state. When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could reflect and internalize fairness were provided. At the end of program, young children internalized the implications of fairness that, with delightful immersion, the rule agreed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procedure and interaction is important, and that it is important to apply fairness at an equality level while considering the situation.

      • KCI등재

        유아 공정성 그림 도구 개발 기초 연구

        임승렬(Lim, Seung-Ryoul),전방실(Jeon, Bang-s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가정, 유아교육기관에서 성인과의 관계, 형제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유아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그림 도구 개발의 기초연구이다. 유아 공정성 그림도구는 문헌고찰, 참여관찰, 전문가의 협의 등을 통해 선정한 유아의 생활과 연결된 딜레마 상황의 그림카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만 5세 유아 106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가산점을 포함한 7점 척도로 점수화하였다. 유아면접을 실시한 결과, 유아 공정성의 하위요인은 상호작용에 관한 공정성, 절차에 관한 공정성, 분배에 관한 공정성, 권위에 관한 공정성 요인으로 4요인이었으며,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 범위는 .65에서 .75로 공정성 그림도구 전체 신뢰도는 86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적합도 지수는 NNFI=.873, CFI=.962, RMSEA=.053으로 유아 공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로서 신뢰도와 모형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a pictorial fairness test for 5-year-old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6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eong Gi-Do. The Pictorial fairness Test for Children consisted of 14 items containing 4 factors: interactional, procedural, distributive justice and Auth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Cronbach a) ranged from .65 to .75. Seco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NNFI was .873, CFI was .962 RMSEA was .053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ictorial fairness Test for Children was reliable and valid.

      • KCI등재

        영아반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양상과 그 의미 분석

        임승렬(Lim, Seung-ryoul),전방실(Jeon, Bang-sil),곽한나(Kwak Hanna),조은비(Cho Eun-bi),김덕희(Kim Duk-hee),김영란(Kim Young-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영아반 하루일과에서 나타나는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고, 영아교사와 영아가 느끼는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충청남도 총 3곳의 어린이집 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3월 20일부터 2017년 5월 4일 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5월 4일부터 6월 1일까지 자료 분석을 위해 연구자들이 수차례에 거쳐 전사한 내용을 읽어나가며 분류분석, 범주분석, 주제별 분류를 하였다. 자료 분석과정에서 해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유 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동료검토 과정을 거쳤다. 영아반에서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양상은 주도적인 선생님, 영아와 조율하는 선생님의 모습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영아교사들은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과 실제 차이의 인식, 상호작용에 대한 어려움과 더불어, 다양한 딜레마 상황을 경험하고 있었다. 영아의 입장에서 살펴본교사와의 상호작용은 내편이 되어주는 좋은 선생님과 내 맘을 몰라주는 미운 선생님 으로 느끼기도 하였다. 영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위해서는 영아와 현장에 대한 맥락적 이해가 필요하며 영유아교육기관의 온화한 분위기, 영아교사가 상호작용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실제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looked at the interaction patterns of infants and teachers in the daily routine of the day and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of infant teachers and infants. Three of the total of seven children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urvey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For data analysis, researchers rea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ranscription several time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To enhanc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interpretations, the data analysis process was presented to two young persons in the course of the analysis and provided an objective view of the objective. As a results, The interaction patterns of infant - to - teacher interaction in the infant and toddler s curriculum were examined in terms of teacher s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and teacher s coordination with teacher - led teacher and infant according to educational staff. the interaction of infant teachers was viewed as a reflection of the infant s infant development and the teacher s guide(infant development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and their educational beliefs, respecting the infant s initiatives and guiding the infant to interact with the infant. The infant teacher was aware of many conflicts and difficulties, acknowledging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interact with the infant and the various daily routines of the day. In an interaction with a teacher in an infant perspective, the infant felt like a teacher and felt a teacher who helped me, and controlled me and felt my mind.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임승렬(Lim, Seung-Ryoul),전방실(Jeon, Bang-Sil)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나타난 유아와 교사의 변화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비연구를 포함하여 연구는 2019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9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반 교사 7명을 목적적 표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반성적 저널, 교육 계획안 및 일지, 연구자 노트에 나타난 자료를 분류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대범주와 하위범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과정으로는 놀이시간과 공간에 대해 주도적인 유아, 우리 반 주인은 바로 ‘우리들’로 인식하는 유아, 충분한 놀이로 행복한 유아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로는 내가 알던 놀이 vs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놀이, ‘실행-평가-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교사의 자율성 강조에서 느껴지는 책임감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으며, 교사에게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로 배움이 일어나는 놀이로 만드는 어려움, 동료교사와 협업 및 소통의 어려움, 학부모가 지향하는 교육과정과의 간극과 이질감으로 계속되는 유아교사의 고민을 분류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applying the revised 2019 Nuri program. The study, including preliminary studies,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19 to September 25, 2020. Seven teachers carrying out the revised 2019 Nuri program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s research data, in-depth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educational plans and dia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chil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meant young children who led the play time and space and the owners of their class recognized us as ‘we’ and happy infants with enough play. The paradigm shift in the teacher"s curriculum management was nomadicized she knew in the play vs. revised Nuri program 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s an ‘execution-evaluation-plan’, and the responsibility felt by the emphasis on teachers" autonomy.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concer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follows: with difficulties in making it play where learning takes place with the remaining homework of teachers, difficulties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teacher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gaps and differences with the curriculum pursued by the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