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전기 석탑의 특성 연구

        전민숙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5

        고려시대는 후삼국이 통일되고 불교를 사회의 이념으로 받아들이면서, 정치, 경제,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한다. 특히 개경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불교문화는 다양한 유형의 석탑출현에 영향을 주었다. 고려전기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이중기단에 삼층석탑과는 달리 오층 이상의 탑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유형이 여덟 가지로 나타나고 있어, 다양성을 문화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전기 불교의 대중화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석탑이 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려전기 석탑은先代와 마찬가지로 조탑경에 의해 건립되는 사례가 많으며, 비보사상과 다양한 계층에 의한 발원 탑들도 등장한다. 고려전기에는 전통적인 유형인 이중기단석탑, 단층기단석탑, 모전석탑, 사사자석탑이 지속적으로건립되고, 신유형으로 다각형석탑, 백제식결구형석탑, 청석탑, 석조아육왕탑이 출현한다. 이렇듯 탑의 다양한 유형을 통해 당시의 문화적인 허용의 범위를 느낄 수 있다. 고려전기 석탑은 양식의 흐름을 비례, 장엄, 부재의 구성, 옥개석, 체감률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기단과초층탑신의 비례체계와 기단에 나타나는 장엄, 간략화되어가는 부재의 구성, 옥개석과 옥개받침의 형태, 후기로 갈수록 점점 높아져가는 체감률 등을 고찰함으로써 양식의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다. 체감률이 상승함에따라서 기단은 좁아지고 세장해지며,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석탑을 건립하려는 의지보다는 탑의상징적인 모습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전기 석탑의 특징은 몇 가지로 나눠서 살펴 볼 수 있다. 지역적,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석탑들이 시기적으로 같은 양식을 공유하면서, 고려전기 석탑의 독창적인 모습을 갖춰나가기 시작한다. 지역적으로 건립되는 백제식결구형석탑과 다각형석탑,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청석탑과 사사자석탑은 고려전기 석탑이다양화되는 모습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단층기단석탑, 불상대좌식기단, 계단식기단의 증가와 탑신받침,삼단받침의 활용, 조합식 초층탑신의 등장 그리고 새로운 노반석의 등장은 고려전기 신유형 석탑의 등장에많은 영향을 미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치석수법, 화형안상, 겹우주의 표현, 문비의 표현을 통해서 당대의 다른 석조물과의 양식적인 공유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러한 모습은 금속공예품과도 연관성이 있어, 분야를 뛰어넘는 당시의 시대적인 분위기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고려전기 석탑은 建塔의 의지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불교 이외의 사상도 종합적으로 포함하고 있어, 時代史的으로도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현재 고려전기 유물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에서 고려전기 석탑은 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고려전기를 대변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북한의 탑들의 조사가 진행되어 고려시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Koryeo started to achieve significant development, accommodating Buddhism as a social integration philosophy, in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fter re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t has to be especially pointed out that Koryeo stupa type identifies itself with the notion of diversity. The early stage of the dynasty obtains eight types of stone stupas, which mostly were built in more than five-storey forms, whereas the stone stupa type of the previous era, the Unified Shinra, can be characterized as overwhelming majority of three-storey form with double stylobate.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early stage of Koryeo made a momentum of raising various forms of stone stupas on a nationwide scale. They were mainly built on the basis of building stupa sutras in the same manner with the previous period, and a prevalent idea of Bibo and diversity of patrons also influenced on stupa buildings. In this period, some classical stone stupa forms of double stylobate, of single stylobate, of four lions and of brick imitation were consistently raised, on the other hand, new forms of Baekje style assembling, of polygon, of blue stone(clay-slate) and of Asoka stone stupa were emerged. This study addresses the stone stupa type of the early Koryeo by means of proportion, ornament, composition of material, ceiling forms, diminishing rate and so on. Researches on proportion between stylobate and the first storey body, ornament in stylobate parts, simplification of material composition, forms of ceilings and bodies, and a trend of sharpen shape in later modes devote themselves into elaborating the history of stone stupa types in Koryeo. In associate with more sharpening shape, stupas tended to have narrow stylobate, that is, people chose ascending shape as a ideal form in sacrifice of stability in that era. Characteristics of stone stupas in the early Koryeo can be reviewed in several points. Identical type of the early Koryeo stupa is on the basis of sharing typical modes in regional and/or national scale and the same time zones. Both specific regional based stupa forms like Baekje style assembling and polygon ones and nationwide forms like blue stone and four lions stupas reflect the diversity of Koryeo stupa type. The increase of single stylobate, pedestal stylobate and step stylobate forms, utilization of body base, emergence of the assembling first storey body and Noban stone with decoration indicate new aspects of the early type. Moreover, it was introduced that assemble order,flower-typed An sang, and designs of double pillars and Munbi were commonly used in the contemporary stonewares as well. This kind of period-typical sharing was not limited in stonewares, but related to metal crafts in many ways,therefore, it is not hard to recognize that the types of forms were mutually and widely shared at that time. Stone stupas of the early Koryeo shows its typical identity as the conception of diversity. It shows the stupas were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many sorts of building goals and wishes from wide range of sponsors, and absorbed other various philosophical thoughts as well as Buddhism. It is highly expected that studies on stone stupas in Kaekyung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stupa types in the whole period of Koryeo would be elaborated.

      • KCI등재

        ‘執弓矢’ 호법신장상 연구

        전민숙 동악미술사학회 2019 東岳美術史學 Vol.0 No.26

        The iconograph of 'holding a bow and arrows' addresses to the posture of holding a bow and arrows. The initial appearance of the image could be traced back to the Buddhist drawings of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ārtha in Gandhāra in the Gandharan Region, in which the figure with holding a bow and arrows leads Siddhartha out of the palace. The icon of holding a bow and arrows in Green-glazed Terra-cotta laque with Guardian Pattern at Sachonwangsa Temple in Gyeongju is regarded as the eldest case in the East Asia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identification of personality in terms of characteristic and status in the Buddhist figures. Generally speaking, a set of eight figures on Buddhist Guardians could be defined as either Buddha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or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in the era of the Unified Silla.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s such as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Stone Seated Buddha the Pedestals of Cheongnyangsa Temple, Hapcheon and Gilt-bronze Octagonal Reliquary from excavated at Gwang-yang, Tokyo National Museum the iconograph are expressed and, also, a similar image is found in the sutra named AtabaguGuikshinjangsangbulldari-gyeong(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 interpreted into chinese version in the era of Yang Dynasty, in which it is obvious that a bow and arrows belongs to Gubanda(鳩槃茶). He is under the hierarchy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he is a member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From the late ninth century, the iconograph is expressed in the drawing of the Four Devas in China, spreaded into various areas of Buddhist arts in Goryeo Dynasty. The icon appears in the image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the Unified Silla, and from the late ninth and tenth century, it moves into the image of the Four Devas.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the major cases of the iconograph are discovered in buddhist stupas and monk stupas and expanded into other areas such as paintings and artificial crafts in the late period. There are four patterns of applying the icon to buddhist art objects in Goryeo Dynasty. The first pattern addresses to holding a bow and arrows with hans; the second is the image of tieing or hanging a bow and holding arrows in a hand, the third is the posture of drawing a bow, and the final pattern is holding a bow without arrows. The iconograph of holding a bow and arrows is frequently adopted in drawings of the Four Devas in Goryeo Dynasty, and considered a periodical style from the late ninth century in the East Ais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very initial articulation with highly possible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s discovered in Green-glazed Terra-cotta laque with Guardian Pattern at Sachonwangsa Temple in Gyeongju ‘執弓矢’는 활과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 무기를 들고 있는 상은 집궁시상이라고 일컫는다. 간다라지역의 불전도 가운데 유성출가상에는 집궁시상이 등장하는데 궁을 나가는 싯타르타 태자를 안내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도상은 이후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동아시아에서는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에 집궁시상(執弓矢像)이 출현한다. 사천왕사지 목탑의 기단부 면석으로 제작된 녹유신장벽전은 지금까지 사천왕, 팔부중, 신장, 신중상이라는 의견이 개진되었지만 정확한 도상에 대한 이름을 명명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상이 8구로 나타나는 도상은 불타팔부중과 사천왕팔부중으로 나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건립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과 합천 청량사지 석조여래좌상 대좌 그리고 국립동경박물관 소장 전 광양출토 금동사리탑 등에서 집궁시상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상들의 공통점은 갑옷을 착용하고 천의 자락을 날리며 화면을 구성하였지만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불타팔부중 가운데 삼면육비(三面六臂), 삼면팔비(三面八臂)의 도상의 특징을 가진 아수라(阿修羅)는 보이지 않는다. 경전 가운데 『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에서 활과 화살을 지물로 들고 있는 도상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양대(梁代)에 번역된 이 경전에는 구반다(鳩槃茶)의 지물이 활과 화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구반다는 사천왕팔부중의 하나의 권속이기에 사천왕팔부중일 가능성도 제시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집궁시상은 9세기 후반부터 중국에서도 사천왕의 존상으로 출현하며, 다양한 불교미술 분야에서 폭 넓게 나타나 시대양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집궁시상은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천왕팔부중의 존상으로 나타나다가 9세기 말 10세기 초에 사천왕의 존상 속에서 집궁시상이 표현된다. 집궁시상은 고려전기에는 승탑을 중심으로 출현하며, 후기에는 불화 또는 금강령과 같은 공예품에서 그 흐름을 찾아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집궁시상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활과 화살을 손으로 잡고 있는 자세, 두 번째로 활을 팔에 끼던지 걸고 다른 한 손에 화살을 든 자세, 세 번째로 활을 잡아당긴 자세 그리고 네 번째로 활을 생략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집궁시상은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양산 신흥사 대웅전 벽화까지 시대적으로는 천년의 시대를 아우르는 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천왕팔부중의 존상(尊像)으로 고려시대에는 사천왕의 존상으로 출현하면서 10세기부터 14세기에 가장 왕성하게 도상으로 채택되어 그 명맥을 이어나간다. 또 집궁시상은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까지 동아시아에 9세기 후반부터 출현하는 시대양식을 갖고 있으며, 이 상의 출발점은 사천왕팔부중일 가능성이 높은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이 그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에 관한 연구

        전민숙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4 중원문화연구 Vol.32 No.-

        고려시대 석탑은 오층이상의 다층석탑을 중심으로 건립되며, 백제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석탑을 계승하고 변형하여 새로운 유형이 다양하게 창출되었다.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은 단층기단에 오층석탑으로 고려식 단층기단 유형에 속한다.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서 현재의 위치가 아닌 8m정도 떨어진 곳이 원래의 석탑 위치였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석탑의 이동은기단부와 탑신부 부재의 파손을 통해서 도괴 된 후 재건 시에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은 고려시대 석탑의 건립기법인 홈파기식 결구법을 이용하여 건립되었다. 석탑의 기단면석은 엇물림 결구법으로 건립되었는데 기단저석 네모서리에 우주형태의 홈이 파여있어 부재간의 결구가 부자연스럽다. 따라서 기단면석은 두 가지로 추정해볼수 있다. 우주와 면석이 별석으로 제작되었을 경우와 ‘H’자형 결구법으로 결구를 하였을경우이다. 통일신라시대부터 건립된 단층기단 석탑의 특징은 기단저석의 층급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모습은 고려시대까지 이어져 내려온다.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기단저석의 각호각 층급 받침을 고려한다면 ‘H’자형 결구법으로 건립되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둘 수 있겠다. 석탑 옥개석 또한 홈파기식 결구법으로 상ž하면에 홈을 파서 탑신석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건립하였다. 이러한 결구법은 이형석탑인 청석탑의 주된 결구법으로 양식적 교류도 엿볼수 있다. 고려시대 석탑 가운데 ‘H’자형 결구법을 토대로 홈파기식 결구법으로 건립되는 석탑은11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청주 계산리 오층석탑의 옥개석의 둔중함과 옥개받침이 추녀의 끝까지 형성되어있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13세기로 편년을 도출할 수 있다. Stone pagodas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built mainly on multi-story stone pagodas of five stories or more, and various new types were created by inheriting and modifying stone pagodas from the Baekje and Unified Silla eras. Cheongju Gyesan-ri Five-story Stone Pagoda is a five-story stone pagoda with a single-story stylobate and belongs to the Goryeo-style single-story stylobate type. A recent excavation revealed that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stone pagoda was about 8 meters away, not its current loca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movement of the stone pagoda is highly likely to have occurred during reconstruction after it collapsed due to damage to the base and body members.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Gyesan-ri, Cheongju was built using the grooved joint method, which was the construction technique for stone pagoda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tone pagoda's stylobate was built using the interlocking joint method, and the space-shaped grooves are carv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stylobate, making the joint between members unnatural. Therefore, the stylobite can be estimated in two ways. This is when the space and myeonseok were made of star stones and when they were joined using the ‘H’ shaped joining method. The characteristic of the single-story stylobate stone pagodas built since the Unified Silla period is the level of the stone at the base of the stylobate, and this feature has been continued until the Goryeo period. Considering the support at each level of the stylobate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Gyesan-ri, Cheongju, we can give weight to the possibility that it was built using the ‘H’ shaped joint method. The roof stone of the stone pagoda was also built using the groove-digging method, by digging grooves on the top and bottom and inserting the pagoda body stones. This construction method is the main construction method of the blue stone pagoda, which is a heterogeneous stone pagoda, and also allows for a glimpse of stylistic exchange. Among the stone pagodas of the Goryeo Dynasty, stone pagodas built with a grooved joint method based on the ‘H’ shaped joint method began to appear in earnest from the 11th century. Considering the heaviness of the roof stone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Gyesan-ri, Cheongju and the fact that the roof support is formed all the way to the end of the ridge, it can be dated to the 13th centur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산화 stress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의 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

        김지현,김영아,이은영,정연주,전민숙,조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약학회 1995 梨花藥學會誌 Vol.- No.34

        산화 stress에 의한 세포내 산화 관련 효소인 SOD나 catalase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우선 SOD나 catal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세포내 Red Blood Cell에서의 SDO(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SOD와 catalase 표준품으로 SOD와 catalase의 농도와 양을 달리하여 SOD는 12분간, 파장 325nm에서 catalase는 240nm에서 30초동안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을 Abs/min-enzyme unit로 plot한 함수 SOD, catalase standard curve를 구하였다. 또 세포(적혈구)에서 SOD와 catalaser가 들어있는 lysate(세포질) 부분을 분리하였다. Lysate의 농도와 양을 달리하여 SOD 활성측정은 412nm에서 12분동안 catalase는 214nm에서 1분동안 흡광도를 찍은 후, 시간과 흡광도의 관계 그래프에서 Abs/min을 구해 앞서 SOD와 catalase 표준품으로 구한 SOD, catalase standard curve의 Abs/min-enzyme unit 함수에 대입하여 enzyme unit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SOD의 enzyme unit값은 약 0.4305 unit, catalase의 enzyme unit값은 약 0.1889 unit로 나타났다. 다음 실험에서는 oxidative stress를 가한 후 SOD와 catalase의 효소 활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K-562 cell을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둘로 나누어 한쪽은 diamide를 사용하여 oxidative stress를 가하였고 다른 한쪽은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여 처리한 뒤, 세포를 분쇄, 원심분리한 후 SOD와 catal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diamide 처리후 cell lysate에서의 효소 활성을 비교해 보면 SOD에서 효소 활성의 증가를 보였으나 catalase에서는 효소활성에 유의성이 없었다.

      • 산화 stress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의 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

        김지현,김영아,이은영,정연주,전민숙,조영미 이화여자대학교약학회 1995 梨花藥學硏究 Vol.- No.34

        산화 stress에 의한 세포내 산화 관련 효소인 SOD나 catalase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우선 SOD나 catal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세포내 Red Blood Cell에서의 SDO(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SOD와 catalase 표준품으로 SOD와 catalase의 농도와 양을 달리하여 SOD는 12분간, 파장 325nm에서 catalase는 240nm에서 30초동안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을 Abs/min-enzyme unit로 plot한 함수 SOD, catalase standard curve를 구하였다. 또 세포(적혈구)에서 SOD와 catalaser가 들어있는 lysate(세포질) 부분을 분리하였다. Lysate의 농도와 양을 달리하여 SOD 활성측정은 412nm에서 12분동안 catalase는 214nm에서 1분동안 흡광도를 찍은 후, 시간과 흡광도의 관계 그래프에서 Abs/min을 구해 앞서 SOD와 catalase 표준품으로 구한 SOD, catalase standard curve의 Abs/min-enzyme unit 함수에 대입하여 enzyme unit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SOD의 enzyme unit값은 약 0.4305 unit, catalase의 enzyme unit값은 약 0.1889 unit로 나타났다. 다음 실험에서는 oxidative stress를 가한 후 SOD와 catalase의 효소 활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K-562 cell을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둘로 나누어 한쪽은 diamide를 사용하여 oxidative stress를 가하였고 다른 한쪽은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여 처리한 뒤, 세포를 분쇄, 원심분리한 후 SOD와 catal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diamide 처리후 cell lysate에서의 효소 활성을 비교해 보면 SOD에서 효소 활성의 증가를 보였으나 catalase에서는 효소활성에 유의성이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