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월경태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문희(Jun, Mun Hee),홍세훈(Hong, S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월경태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37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규칙적 운동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월경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월경태도는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월경전불편감, 월경태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경전불편감(β= -.38, p<.001), 월경태도(β= -.22, p=.001), 규칙적 운동여부(β= .21, p=.002), 주관적 건강상태(β= -.20, p=.005)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0.60, p<.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41.9%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간호사의 월경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o identify effects of premenstrual distress and menstrual attitude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Methods Subjects were 137 clinical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3.0. Result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menstrual attitud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remenstrual distr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strual attitude. Significant predi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premenstrual distress, menstrual attitude, regular exercis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1.9%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Premenstrual distres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To increase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programs using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the clinical nurses.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improv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clinical nurses.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test its effect in the future.

      • KCI등재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전문희(Jun, Mun Hee),홍세훈(Hong, S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회복탄력성,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 재직 중이며, 3교대 근무를 하는 간호사 13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월경전불편감은 2.77±0.58점, 회복탄력성은 3.41±0.43점, 우울은 2.06±0.38점으로 나타났다. 월경전불편감은 월경주기의 규칙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경주기가 규칙적인 경우에 월경전불편감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회복탄력성은 나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0대가 30대 이상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은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Z=1.99, p=.023).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중재 개발 시 회복탄력성을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in shift work nurses. Methods A total of 132 shift work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for mediat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premenstrual di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were 2.77±0.58, 3.41±0.43, and 2.06±0.38, respectively. Resilie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Z=1.99, p=.023),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43%. Conclusions To decrease depression among shift work nurses in premenstrual distress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resilience and develop resilience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프리셉터십 교육과 수습교육 이수 단계에 따른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전문희(Jun Moon Hee),박혜자(Park Hy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가 프리셉터십 교육과 수습교육을 이수한 시점에서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극복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방법 간호학과를 졸업한 후 2개의 대학병원에 입사한 신규간호사 114명을 대상으로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4주 시점과 수습교육 종료 16주 시점에서 임상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극복력, 이직의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응 t-검정, Wilcoxon 순위부호검정, Spearman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습교육 종료 단계에서 임상수행능력과 전문가 패턴의 극복력 및 이직의도는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시점에서보다 높아졌다.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시점과 수습교육 종료 시점에서 각각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극복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프리셉터십 교육 종료 시점에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은 극복력(설명력 9.2%)과 사회적 지지(설명력 2.2%)이었다. 수습교육 종료 시점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 요인은 극복력(설명력 18.2%)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신규간호사의 직무역량 교육과 함께 사회적 지지와 극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ew nurses according to preceptorship and on-the-job training. Methods In this correlational study, 114 new nurses completed questionnaires of a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 social support, a resilience, and a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lcoxon-signed rank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fter on-the-job training, the scores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professional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increas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t the step of preceptorship, higher resilience (explained 9.2% of variance)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2.2% of variance) affected lower turnover intention. At the step of on-the-job training, resilience (explained 18.2% of variance) was a predictor of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 nursing program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could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turnover among new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