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을 대비한 빙상 영재 발굴 및 육성방안

        전명규,이미숙 한국체육정책학회 2015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3 No.2

        In order to successfully hos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nd bring happiness to the citizens, it is very important to gain gold medals in promising categories such as short track, speed skating. This study will mainly examine the environment of K university's ice rink that already records successful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short track and speed skating winter gold medallists. This study will also aim to review issues raised in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preparation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on-site baseline data for integrating opinions of winter sport experts, opportunities for discovering winter sport athletes and discriminating potential abilities. We propose a talent and identification program by mainly analysing long-term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such as winter olympics and world competitions, experience as a national team athlete, records of achievement in best players identified, and literature review includ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policy reports, and news article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the records of south Korea's winter spor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broken down by year. In chapter 3, the happiness of citizens sports marketing case will b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advertisement and economic ripple effect. Chapter 4 includes perspectives of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ice skating coaches preparing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nd suggests methods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article will define talents for skating by age, category, and sex. This should also be followed by theoretical research of the usefulness of sport giftedness assessment tool and the optimum sport discrimination methods.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K university ice skating athletes wit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op foreign countrie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곡선주로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분석

        전명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1 체육과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급 여자 선수 4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기력의 중요한 구간인 곡선주로에서 운동기술의 자세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차후 대표선수 강화훈련에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비디오를 이용한 3차원 동작분석법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글라이딩 구간은 푸시-오프를 하기 위한 준비기간이므로 가능한 한 제2 국면에서의 소요 시간과 글라이딩 길이를 줄이고 제3 국면, 즉 푸시-오프 구간의 시간과 글라이딩 길이를 늘리는 것이 효율적인 동작이라 여겨진다. 신체중심의 좌우전후의 합성이동변화는 U자 형태의 이동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글라이딩 구간인 제2 국면의 변위가 푸시-오프구간인 제3 국면의 변위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스케이트 날이 빙면에 착지된 직후 신체중심의 수직 변위가 낮아지는 현상은 피험자들이 자세를 낮추면서 링크의 안쪽으로 몸의 중심을 기울이는 동작으로 이러한 동작을 이용하여 구심력을 증가시키므로 자세를 최대한 낮추었다가 푸시-오프 구간에서 자세를 높이는 동작이 효율적인 동작이라 여겨진다. 신체중심의 합성속도의 변화에서는 네 피험자 모두 초기에 급속한 가속이 이루어지고 있고 왼발이 빙면에서 이탈된 이후에는 속도의 증감이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 관절각 요인의 경우 푸시-오프 마지막 부분에서 마찰력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효율적인 동작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의 새 출발기법에 대한 기술동작 분석

        전명규 ( Myung Kyu Jun ),김민섭 ( Min Sup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트 국가 대표선수 남자 2명과 여자 2명을 대상으로 새 출발기술 동작과 기존의 출발기술 동작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선수 개인특성에 맞는 기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다. 출발기술동작의 운동학적 분석요인은 글라이딩 시간과 거리, 푸시오프의 전경각과 무릎관절의 각도 변화, 신체중심의 추진각 그리고 푸시오프에 의해 신체중심의 증가된 속도에 따른 운동에너지와 파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글라이딩 시간과 거리는 각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새 출발기법(NT)은 기존출발기법(NT)보다 평균 글라이딩 시간이 비교적 짧아지거나 같은 반면에 글라이딩 거리는 길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단위시간 당 평균 진행변위는 NT가 TT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블레이드 착지와 이탈 이벤트의 평균 전경각의 차는 약 34° 이며, NT와 TT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TT와 NT의 푸시오프 무릎각은 블레이드 착지 이벤트의 평균 108.6°와 107.9°로 나타났고, 블레이드 이지 이벤트에서는 평균 142.6°와 136.3°로 나타났다. 이에 블레이드 착지에서는 두 비교대상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블레이드 이지에서는 NT가 TT보다 작은 각도를 보였다. 푸시오프에 따른 TT와 NT의 신체중심의 추진각(Pθ)은 평균 83.4∼85.4°로 나타났다. 푸시오프의 평균 파워는 각 대상자마다 다양한 크기로 나타났으며, TT와 NT의 평균파워는 M1이 7.1과 7.0(W), M2가 2.9와 5.8(W), F1은 2.8과 2.7(W) 그리고 F2는 6.2과 5.0(W)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w starting technique(NT) and the existing starting technique(TT) on the nationally ranked two male and two female players, and to grope the better starting technique sui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player. The analyzed kinematical factors were the gliding time and distance, the leaning angle during push-off, the change of knee joint angle, the propulsive angle of c.o.g, and the kinetic energy and power by the increased velocity of c.o.g during push-off. From thos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The gliding time and distance were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player, but the new technique indicated shorter or almost the same in average gliding time and longer in gliding distance than the existing starting technique(TT). The new technique showed longer in average progressive displacement per time unit. The difference of average leaning angle between blade end on and off event was about 34 degrees, but showed the similar pattern between two techniques. In the blade end on event, knee joint angle at push-off of the new and existing techniques were average 136.3 degrees and 142.6 degree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wo techniques in the blade end on event, but the new technique showed smaller angle in the blade end off event. The propulsive angles of c.o.g(Pθ) during push-off of the new and existing technique were average 83.4 degrees and 85.4 degrees, respectively. Average power during push off phase varied among players, and the average powers of the new and existing techniques were respectively 7.1W and 7.0W in M1, 2.9W and 5.8W in M2, 2.8W and 2.7W in F1 and 6.2W and 5.0W in F2.

      • KCI우수등재

        운동역학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스케이트 반력 변화에 따른 특성 분석

        전명규(MyungKyuJun),박광동(KwangDongPark),백진호(JinHoBack)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급 여자 선수 4명을 대상으로, 직선주로 활주 시 왼발 스케이트 반력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전문적인 기술의 특성을 규명하여 우수선수들의 훈련지도에 기초자료로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직선주로의 왼발 스케이트의 활주와 푸시-오프동작에서 스케이트의 앞·뒤 로드셀에 작용되는 일축방향의 힘과 기준좌표의 수직 ·수평성분의 힘을 분석하였다. 스케이트 반력분석을 통하여 얻은 변인들의 상대비교와 논의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1. 직선주로 활주 시 브레이드에 작용되는 반력은 오른발이 빙면에서 이탈되는 시기와 왼발의 푸시-오프 직후에서 최대값이 나타났으며, 최대값의 범위는 0.87∼1.45b.w.이며, 평균반력은 1.1b.w.로 나타났다.2. 브레이드의 앞쪽 로드셀에서 측정된 반력은 푸시-오프에서 0.59∼0.99b.w.의 최대값이 나타났고, 뒤쪽 로드셀에서 측정된 반력은 프레이트 활주 직후 왼발이 기울어지기 직전에서 0.37∼0.55b.w.의 최대값이 나타났다.3. 브레이드에 작용되는 힘의 성분에서, 수직반력은 수평반력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수직반력은 플래이트 활주 직후 왼발이 기울어지기 직전과 푸시-오프 구간에서 0.24∼0.78b.w.의 크기로 나타났고, 수평반력은 푸시-오프 시점의 전·후에서 0.11∼0.41b.w.의 크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etical characteristics of skating by left foot in straight track of reaction force changes acted on skate in straight in short track skating, to grope for the better skating techniques, and to give the basic data for training guidances on highly skilled skaters. In this study, 4 nationally ranked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were employed as the subjects.Therefore, based upon comparative analysis from variables from reaction force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1. In straight track, the maximum reaction force act on blade of skate indicated the moment of right foot take off and left foot push off and ranged from 0.87b.w. to 1.45b.w.. And reaction forces averaged 1.1b.w.2. Maximum reaction forces measured from the load cell attaching in front of the blade ranged from 0.59b.w. to 0.99b.w. at push off and maximum reaction forces from the rear blade ranged 0.37∼0.55b.w. just after the plate gliding.3. Vertical reaction force acting on blades was higher than horizontal force. Vertical reaction force ranged 0.24∼0.78b.w. at plate gliding and push off phase and horizontal velocity ranged 0.11∼0.41b.w. at the before and after push off moment.

      • KCI등재

        빙상선수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 관련성

        전명규(Myung Kyu Ju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2

        빙상선수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 관련성이 연구는 엘리트 빙상선수들의 셀프리더십, 자신감과 경기력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등록된 빙상 선수 전집으로부터 성별, 경력별, 종목별 그리고 집단유형별 특성을 고려 집락적 임의표집방법으로 전체 총 216명의 빙상선수가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변인별 수집된 자료는 정규성 검토를 거쳤으며, 측정에 사용된 검사지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방법과 신뢰도계수를 산출하였다. 변수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 및 독립표본 t검증과 다변량 회귀분석(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적용하고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의 관련성에서는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선수집단이 낮은 선수집단에 비해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이 높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과 스포츠 자신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셀프리더십의 건설적 사고전략 및 행동지향적 전략과 경기력 간에는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이 높은 선수들이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에서도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결과는 자기관리와 통제능력의 지표인 셀프리더십이 경기력향상과 중요한 인과적 관계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암시 한다. 셀프리더십의 구성개념 가운데 건설적 전략, 행동지향적 전략이 경기력과의 관련성이 있는 만큼 셀프리더십과 자신감의 하위요소들과 경기력 간의 인과적 관계규명을 위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tribution of self-leadership on sports confidence and perceived-performance among skating athletes.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 total 216 subjects were collected by using of cluster convenience sampling and utilized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wo steps. As first step,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were analyzed from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leadership showed high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ose of group with low level of self-leadership.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ports confidence, the contra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sports confidence.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behavior-focused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