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위지골 골절과 연관된 수지관절 강직의 치료 후 운동 범위와 통증척도 분석

        전동근,정민경,신동혁,최현곤,김지남,이명철 대한수부외과학회 202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6 No.4

        목적: 수지 근위지 골절에서 골편 전위가 동반된 경우 수술로 교정할 수 있으며, 이후 근위지간 및 중수지관절에서 강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수지관절 강직은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를 적절히 적용해야 완화할 수 있다. 복합적 치료 이후 관절 운동 범위와 통증척도의 변화를분석하여 보고한다. 방법: 2015년 3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수지 근위지골 골절 수술 후 수지관절 강직을 보인 환자 52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 후 운동 치료 방법으로 탄력성 저항 운동을 진행한 군(그룹 1, 24명)과 보조 수단 없이 수상 반대편 손을 이용해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진행한 군(그룹 2, 28명)으로 나누어 수술 후 5, 8, 12주에 운동 범위와 통증 정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근위지간 관절의 장기간 강직 후 발생한 백조목 변형을 신전건 조직체 부분 전위술로 교정하고 손 보조기를 이용한 능동적 운동을 진행하였다. 이처럼 수술과 운동 치료를 복합적으로 적용 후 운동 범위와 통증척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운동 범위와 통증척도에 대해 그룹 1이 수술 후 12주 시기에 그룹 2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고(p<0.05), 두 그룹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나은 결과를 보였다(p<0.05). 근위지관절이 과신전 상태로 고정된 백조목 변형에서는 수술 치료 이후 수지운동을 통해 운동 범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근위지골 골절에서 수술 치료로 골편 전위가 정복된 이후에 수지에 닿는 내재근과 신전건 조직체의 복합적인 작용에 따른 결과로 지간관절 또는 중수지관절에서 강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는 조기에 조절된 능동적 운동을 진행하여 교정할 수 있다. 관절 강직이 장기간 지속되어 운동 범위가 고정된 경우 건박리술을 포함한 교정 수술을 통해 운동 범위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Purpose: Proximal phalangeal bone fractures with displacement are treated using operative procedures. These fractures can cause stiffness of the interphalangeal or metacarpophalangeal joints, which can be relieved using various operative and nonoperative techniques. This study analyzed the range of motion (ROM) and pain after a combination therapy to treat finger stiffness following proximal phalangeal fractures. Methods: Fifty-two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procedures for proximal phalangeal fractures and showed finger stiffness from March 2015 to January 2021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patients in group 1 (n=24) performed elastic resistance exercises, while those in group 2 (n=28) underwent conventional exercise. ROM and pain score were measured at 5, 8, and 12 weeks postoperatively. Furthermore, a patient with a swan-neck deformity and intractable stiffness was treated using partial translocation of the extensor apparatus, and the postoperative outcome is presented. Results: Group 1 showed a larger ROM and less pain than group 2 at 12 weeks postoperatively (p<0.05). Patients in both groups exhibited notable improvements with regard to ROM and pain during the study period (p<0.05). In addition, the swan-neck deformity accompanying hyperextens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was significantly relieved. Conclusion: Proximal phalangeal bone fractures can lead to stiffness of the interphalangeal and metacarpophalangeal joints. Joint stiffness was relieved using an elastic resistance exercise protocol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Intractable stiffness showing a fixed joint angle can be treated with thorough tenolysis and corrective surgery

      • KCI등재

        DS/CDMA 저궤도 이동 위성 시스템에서 가변 스텝사이즈 조절 방식 폐루프 전력제어의 성능분석

        전동근,이연우,홍선표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1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a closed-loop power control scheme using variable step size decision method for DS/CDMA based-low earth orbit(LEO) mobile satellite systems in which the long round trip delay is a dominant performance degradation factor is evaluated. Because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LEO mobile satellite channel and terrestrial mobile channel, such as long round trip delay and different elevation angle,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in channel modeling based on the European Space Agency(ESA) measurement data. Since the round trip delay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gateway station via satellite) is typically 10∼20ms in low altitude satellite channels, closed-loop power control is much less effective than it is on a terrestrial channel. Thus, the adaptive power control scheme using a variable step size control is essential for overcoming the long round trip delay and fading due to the elevation angle. It is shown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signal to interference ratio(SIR) adopting a variable step size closed-loop power control scheme is much less than that of a fixed step size closed-loop power control. Furthermore, we have driven the conclusion that the measurement interval of power control commands is optimal choice when it is twice the round trip delay. 본 논문에서는 긴 왕복 지연시간(round trip delay)이 시스템 성능의 주요 제한 요소로 작용하는 DS/CDMA 기반의 저궤도 이동 위성 시스템에서 가변 스텝사이즈(step size) 방식을 적용한 폐루프(closed loop) 전력제어방식의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저궤도 위성 통신 채널은 지상의 이동통신 채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긴 왕복 지연 시간이나 앙각(elevation angle)과 같은 고유의 페이딩 효과를 반영하여야 하므로 ESA(Europe Space Agency)의 실측 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저궤도 이동통신 채널모델을 구현하였다. 통상적으로 저궤도 위성 시스템에서 위성을 통한 이동 단말기와 관문국사이의 왕복 지연시간은 10∼20ms이므로, 지상에서 사용되는 폐루프 전력제어의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고 미미하므로 긴 왕복시간 이나 앙각에 따른 페이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변 스텝사이즈 조절방식을 적용한 적응적인 전력제어 방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변 스텝사이즈 조절 방식을 적용한 폐루프 전력제어 방식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고정 스텝사이즈를 갖는 기존의 폐루프 전력제어 방식보다 왕복 지연시간과 앙각에 따른 신호 대 간섭비(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R)의 편차값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력제어 명령을 측정하는 구간이 왕복 지연시간의 두 배정도가 가장 최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후보

        Using DIRECT Wound Assessment to Predict Limb Salvage and Provide Prognosis of Diabetic Foot Ulcers

        전동근,권용석,배재현,이명철,Jee Nam Kim,Hyun Gon Choi,Dong Hyeok Shin 대한창상학회 2021 Journal of Wound Management and Research Vol.17 No.1

        Background: Many wound assessment systems including the Wagner classification and University of Texas (UT) grading system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The authors of this study applied the DIRECT (Debridement of necrosis, Infection control, Revascularization, Exudate control, Chronicity, and Top surface) wound coding system for initial assessment of diabetic foot ulcers (DFUs) to predict limb salvage and prognosis. Methods: From January 2016 to February 2020, a total of 169 first-time DFU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using the DIRECT wound coding assessment system. DFU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and scores in each component of the coding system according to final limb statu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The coding assessment’s ability to predict major amputation was compared to those of the Wagner classification and the UT grading system. Resul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complete healing (n=80, 47.3%), not healed (n=71, 42%), and amputation (n=18, 10.7%) groups. The mean values of each component of DIRECT assessment for the complete healing/amputation groups were D 0.86/1.56 (P<0.001), I 0.46/0.89 (P=0.001), R 0.65/0.94 (P=0.014), E 1.15/1.56 (P=0.049), C 0.69/0.89 (P=0.086), T 0.53/0.72 (P=0.13) and the sum was 3.140/4.741 (P<0.001).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the DIRECT, Wagner, and UT grading systems was 0.722, 0.603, and 0.663, respectively. Conclusion: The DIRECT coding system shows a greater association with prediction of amputation or complete healing, compared with the Wagner and UT wound classification systems. This more accurate wound assessment system will be helpful in predicting prognosis and planning treatments.

      • KCI등재

        IEEE 802.15.4에서 GTS의 확장개념에 관한 연구

        전동근,Jeon, Dong-Keun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3

        무선 통신 기술에 있어서 눈부신 발전은 서로 멀리에 있는 사람들 간에 통신을 가능케 했다. 최근에는, 저비용과 단순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을 이용한 근거리 음성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급속히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작은 지역에서 같은 무선 채널로 다중 이용자(multi-users)들이 통신하는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음성 기술들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이용자 음성통신을 가능케 하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단거리 무선 해결책으로서, 저전력, 저비용을 바탕으로 한 IEEE 802. 15. 4를 이용한다. 그러나, 원래 그 표준은 음성 통신을 위해 개발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음성 통신에 적당하도록 GTS의 확장 개념을 이용함으로써 원래의 운용계획을 확장한다. 제안된 운용계획의 용량과 타당성은 다양한 음성 압축비에서 양적 분석을 통해 평가된다. Remarkable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enabled communications among people who are far away from each other. In recent, the needs of local area voice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system based on low-cost and simple hardware are rapidly rising. However, since these applications require that the multi-users communicate on the same wireless channel in a small area, the existing voice technologies are not suitable for directly applying to these applic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a novel idea enabling multi-user voic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as a short range wireless solution, I employ the IEEE 802.15.4 based on low power and low cost. However, since originally the standard is not developed for voice communication, we extend the original scheme to be suitable for the voice communication by utilizing the extended concept of GTS. The capacity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scheme are evaluat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n various voice compression rates.

      • KCI등재

        Non-Parametric Texture Extraction using Neural Network

        전동근,홍선표,송자윤,김상진,김기준,김성철,Jeon, Dong-Keun,Hong, Sun-Pyo,Song, Ja-Yoon,Kim, Sang-Jin,Kim, Ki-Jun,Kim, Song-Chol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1995 韓國音響學會誌 Vol.14 No.e2

        본 연구에서는 화상에 있어서 패턴의 공간적인 특징을 추출하기위한 목적으로 신경회로망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적용한 신경회로망은 3중의 구조를 가지며, 그 학습방법으로는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동이나 회전과 같은 패턴의 변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화상으로부터 co-occurrence matrix를 구하여, 신경회로망의 입력패턴으로 사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종래의 대표적방법인 화소의 spectral 정보를 이용한 최대유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으로는 식별이 곤란한 시가지지역과 모래지역을 선정하여, 본 방법과 Haralick에 의하여 제안된 teture features를 이용하여 분류한 결과, texture features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67%~89%의 식별률을 얻었음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신경회로망을 사용한 방법으로는 80%~98%의 안정되고 높은 식별률을 얻었다. In this paper, a method using a neural network was applied for the purpose of urilizing spatial features. The adopted model of neural network the three-layered architecture, and the training algorithm is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Co-occurrence matrix which is generated from original imge was used for imput pattern to the neural network in order to tolerate variations of patterns like rotation of displacement. Co-occurrence matrix is explained in appendix. To evaluate this method, classification was executed with this method and texture features method over the city area and sand area, which cannot be separat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mentioned aboved. In the results of this method and texture features proposed by Haralick the method using texture features was separation rate of 67%~89%. On the contrary, the method using neural network proposed in this research was stable and high separation rate of 80%~98%.

      • KCI등재후보

        Ad hoc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 효율 전력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전동근,Jeon, Dong-Ke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6 No.6

        센서네트워크에서 주요자원문제는 에너지효율이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동적파워매니지먼트(DPM)이고, 두번째는 에너지효율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다. DPM에서 파워메니저 OS는 이벤트에 관한 CPU와 각 I/O의 올바른 파워상태를 조절하는데 있다. 그러나, OS는 각 네트웤프로토콜의 내적동작에 대해서는 크게 관계가 없다. 또한, 에너지효율 프로토콜은 전파 PHY의 파워세이빙에 주요하게 맞춰져있다. 더불어,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대부분작업은 통신에 관계되어져있다. 본논문에서, 센싱부와 에드훅 무선센스노드 사이에 관계된 통신작업에서 상호협력 매니지먼트(CPM)을 통해 원치않는 파워소비을 줄일 수 있는 효율 파워메니져를 만들었다. The major resource problem in sensor networks is energy efficiency. There are two major access methods to efficiently use energy. The first is to use dynamic power management (DPM). The second is to use energy efficient protocols. In DPM methods, the OS, the power manager, is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proper power state of CPU and each I/O with respect to the events, but the OS is not largely concerned about the internal operation of each network protocols. Also, energy efficient protocols are mainly focused on the power saving operation of the radio PHY. In addi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most of tasks are connected to communication. In such a situation, traditional power managers can waste unpredicted pow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fficient power manger that can reduce a lot of unwanted power consumption through cooperative power management (CPM) in communication-related tasks between each units, such as radio, sensing unit, and CPU, for ad hoc wireless sensor nodes.

      • KCI등재후보

        물리계층 정보와 릴레이 협력통신에 적용된 MAC 프로토콜 기반 물류 시스템연구

        전동근,Jeon, Dong-Ke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12

        물류창고 시스템에서는 물류의 입고/출고에 따른 재고현황의 변동이 잦고, 내용물에 따라 주위환경요소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재고현황 및 환경요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물류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제안되고 있는 RFID 기반의 물류관리 시스템은 RFID 리더 간 통신에 대해 통일된 국제규격이 없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앙집중방식 MAC 방식의 경우 클러스터 헤더의 이동이나 채널 상황의 영향으로 인해 이 시간동안 각 노드 간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채널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물리계층 정보를 이용한 와이미디어 MAC 프로토콜 기반의 릴레이 협력통신 방안에 대한 결과를 제안한다. In a warehouse, because there exist frequent changes of stock status and the quality of some contents a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fast and accurate management of the warehouse's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for Warehouse Management Systems.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a unified standard for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RFID nodes and centralized MAC schemes for RFID communications in previous studies have severe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Media MAC based RFID cooperative relay transmission scheme for warehous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Extended Concept of GTS in IEEE 802.15.4

        전동근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3

        Remarkable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enabled communications among people who are far away from each other. In recent, the needs of local area voice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system based on low-cost and simple hardware are rapidly rising. However, since these applications require that the multi-users communicate on the same wireless channel in a small area, the existing voice technologies are not suitable for directly applying to these applic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a novel idea enabling multi-user voic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as a short range wireless solution, I employ the IEEE 802.15.4 based on low power and low cost. However, since originally the standard is not developed for voice communication, we extend the original scheme to be suitable for the voice communication by utilizing the extended concept of GTS. The capacity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scheme are evaluat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n various voice compression rates.

      • KCI등재

        SI 열화학싸이클 황산분해공정의 Bench-scale 상압 실험

        전동근,이기용,김홍곤,김창수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1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2 No.2

        The sulfur-iodine (SI) thermochemical water splitting cycle is one of promising hydrogen production methods from water using high-temperature heat generated from a high temperature gas-cooled nuclear reactor (HTGR). The SI cycle consists of three main units, such as Bunsen reaction, HI decomposition, and H_2SO_4decomposition. The feasibility of continuous operation of a series of subunits for H_2SO_4 decomposition was investigated with a bench-scale facility working at ambient pressure. It showed stable and reproducible H_2SO_4decomposition by steadily producing SO_2 and O_2 corresponding to a capacity of 1 mol/h H_2 for 24 hrs.

      • KCI등재후보

        무선 홈네트웤을 위한 WSN에 관한 연구

        전동근,Jeon, Dong-Ke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6

        최근 몇 년간, 홈 네트워킹에 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홈 네트워킹을 위한 대부분의 기술들은 유선을 기반으로 하지만, 무선 연결을 위한 기술도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분야 중에서 무선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무선 LAN, 블루투스, HomeRF와 같은 많은 무선 통신 기술중에서, 본 논문은 특히 무선 센서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기술을 무선 홈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무선 센서 노드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하드웨어 및 프로토콜 스택 설계시 필요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고, 홈 네트워킹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과 다양한 센서 노드로 무선 홈 네트워킹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자체적으로 설계된 무선 센서 노드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 글을 맺는다.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in Home Networking are being progressed actively. Most of techniques for Home Networking are based on wired but the technique for wireless connection is also needed. This paper focuses on wireless connection in Home Networking. Of many of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LAN, Bluetooth, or HomeRF, we especially propose to apply the new technique called Wireless Sensor Network. We present hardware and protocol stack design consideration for wireless sensor node and wireless sensor network, and then we present how to apply wireless sensor network to Home Networking and how to constitute Wireless Home-Networking with a variety of sensor nodes. Finally, we introduce the wireless sensor node system designed by us and conclude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