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문소설의 친족‧감정‧계보-해외한국학 연구의 시좌에서

        전기화 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79 No.-

        Kinship Novels of Early Modern Korea: Between Genealogical Time and the Domestic Everyday, written by Ksenia Chizhova, is a comprehensive study of lineage novels. This paper examines the book’s implications and insights for the future study of lineage novels, situating the work within the field of lineage novel studies. After a brief description of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book, I critically review the author’s adoption of “lineage novel” from among the various terms used to discuss this genre, as well as the use of the phrase “kinship novels” in the book’s title. Although the author’s intention to interpret lineage novels through their close relationship to the kinship structure of Joseon Korea is reflected in the book’s clear and consistent logic, I argue that some complicated aspects of lineage novels and their highly nuanced characters are not sufficiently highlighted by this logic. Furthermore, this book concludes its discussion of lineage novels with the recollection of Yi Kwang-su, a symbolic writer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owever, this juxtaposition can exert discursive power, repeatedly strengthening the simplistic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rather, it is possible to reconnect lineage novels with the so-called “family history novels” written by female writers, as well as contemporary novels centering on matrilineal kinship. Lastly, I highlight several fascinating points that this book makes about lineage novels’ emotion studies, cautiously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feelings experienced by characters more delicately by considering each character’s own life story. Pointing ou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author’s enlightening concepts of “doubleness” and “public interiority” more broadly, I agree with the author’s idea that lineage novels can be used as the richest information repository for reconsidering and reconstructing the discourse of emotions in Joseon Korean culture.

      • KCI등재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웃음의 이면 - 여성 보조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기화 한국문학회 2023 韓國文學論叢 Vol.94 No.-

        This study revisits the laughter in Hyeonssiyangungssangringi, a popular novel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two of the novel’s assistant characters, Yuk Chwi-ok and Guihyung-nyeo. Previous studies have ascribed the laughter in this novel as possessing the attributes of liberation and contagion. Nonetheless, it is imperative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extent to which the laughter can consistently be characterized as emancipatory. In Hyeonssiyangungssangringi, the characters of Yuk Chwi-ok and Guihyung-nyeo are actively utilized to emphasize the agency of the female protagonists in addition to eliciting laughter from the novel’s other characters. As Yuk Chwi-ok and Guihyung-nyeo are mocked and laughed at, their characteristics, which cohere around women’s sexual desire and disabled bodies, are framed as objects of ridicule and disgust, a framing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novel’s strategic narrative approach. For example, the narrator not only casts a derisive gaze toward these characters but also inserts derogatory and demeaning comments about them. The novel also describes the other characters’ inner disgust when confronted with these two characters and, in making them the target of collective laughter, invites and encourages the reader to participate in this laughter, which has a “universal” sensibility. In reading the novel against the grain, this paper argues that Hyeonssiyangungssangringi, a popular narrative led by women that achieved considerable popularity while containing concerns about the conditions of women at the time, should be reevaluated in a more balanced consideration of both the lighter and darker aspects of the novel’s narrative strategy. 본 연구는 한글장편소설 현씨양웅쌍린기 에 나타나는 육취옥과 귀형녀 두 보조인물에 주목하여 이 소설에 재현된 웃음의 성격을 재고해보았다. 소설 속 육취옥과 귀형녀는 성품과 용모, 언행으로 인해 작중인물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인물들이다. 이때 두 인물이 가진 특성, 즉 용렬한 성품이나 남성을 향한 애욕, 장애를 가진 신체 등은 조롱의 대상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는 소설의 미시적 서술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서술자는 조롱 섞인 시선으로 육취옥과 귀형녀를 묘사할 뿐만 아니라, 비하의 논평을 삽입하기도 한다. 또한 이들을 바라보는 작중인물들의 내적 혐오감을 서술하는 한편 작중인물들의 웃음을 삽입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그 웃음의 ‘보편적’ 감수성에 동참하게끔 추동한다. 이렇듯 작중인물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육취옥과 귀형녀는 여성 주인공들의 용모와 행실을 돋보이게 하는 비교군으로서 배치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성 주인공에 의해 도구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에 본고는 여성적 지향과 대중적 지향이 교착(交錯/膠着)하는 지점에 위치한 문제적 존재로서 육취옥과 귀형녀를 조명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나아가 한글장편소설에서 여성 주인공들의 행위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여성 보조인물들이 어떻게 동원되고 있는가의 문제를 심화하여 살펴보아야 하며, 희화화되는 보조인물들 간의 차이를 보다 세밀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여성영웅소설 <정수정전> 재고: 여성 인물의 행위자성을 중심으로

        전기화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This article revisits Jeong Su-jeong Jeon, a late Joseon Dynasty text written in vernacular Korean whose heroine possesses powerful agency. By analyzing the heroine as an agent who consciously chooses to follow specific virtues,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new understanding of this nuanced character. In the story, the heroine vigorously pursues filial piety and loyalty, neglecting her duties as a wife and daughter-in-law; however, the societal recognition she receives also enables her to acquire a more stable position inside her husband’s family. This depiction of the heroine can be connected to late nineteenth century Joseon society where the correlation between filial piety, chastity, and loyalty received more and more emphasis; however, unlike the male elites’ records that portray these virtues as compatible, this popular fiction reveals a belief that an individual agent can view these virtues as competing. The narrator’s neutrality and the heroine’s glorified ending indicate that the writer of Jeong Su-jeong Jeon supported the heroine’s exertion of agency to establish a hierarchy of virtues to guide her own actions. Analyzing the close link between the heroine’s agency and the heroine’s quest to achieve filial piety and loyalty, this paper reveals that the heroine becomes heroic by establishing an identity in accordance with her uses of Confucian rhetoric and exerting her agency in arranging the virtues in her own hierarchy. <정수정전>은 친부모의 억울한 죽음과 이에 대한 여성 인물의 복수 성취를 전체적인 서사의 얼개로 삼는 여성영웅소설이지만, 효녀의 복수담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돌출적인 장면을 다수 포함한다. 이는 소설 내에서 정수정이라는 인물이 장수‧제후로서의 정체성 및 효녀‧충신으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스스로를 인식하고, 해당 정체성들의 지속을 주장하면서 아내‧며느리로서의 덕목을 등한시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정수정전>의 서술자는 그녀의 행동에 대해 비판적 논평을 덧붙이지 않고, 서사의 결말 또한 이 인물에게 가문 외적 명예뿐만 아니라 가문 내 안정적 지위를 보장하면서 마무리된다. 조선후기 사회는 부덕(婦德)에 있어 열(烈)이 충(忠)과 효(孝)를 압도하는 방식으로 위계가 공고화된 공간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정수정전>에서는 여성 행위자가 충‧효‧열 가운데 어떠한 윤리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추구할지의 문제가 ‘문제화’되고 있으며, 정수정은 독자적으로 충‧효‧열 간의 위계를 설정하고 특정 덕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행위자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정수정전>은 정수정이라는 인물을 통해, 경합하는 윤리적 가치들의 위계가 행위자의 선택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는 한편, 소설 속 행위자인 정수정의 선택을 옹호하는 소설이라고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

      • KCI등재

        고전문학콘텐츠의 새로운 흐름 - SF를 통한 고전서사 다시쓰기

        전기화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학논집 Vol.- No.9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interpretation of classic Korean stories into science fiction (SF) in order to discern whether the rewriting of these stories can be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content trends in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s specific texts and examines their features and meanings. To analyze the elements of rewriting,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text in two SF novels that rewrote Simcheongjeon, aiming to delve deeply into how each novel handles this well-known story. Based on this comparison, it then discusses the two ke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rewriting classic Korean stories into SF. First, while acknowledging that reinterpretations of classical stories are made through rewriting,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rewritten works can be considered to have a dialogic relationship with their original texts. Second, the fantasy or unreality of classical stories is itself a useful medium for constructing the SF worldview and is, in fact, the point at which the scientific imagination can be maximized. In contrast to adaptations that remove the fantastical elements of classic stories, rewriting through SF is notable in that it creatively reinterprets these elements and reconstructs a familiar narrative in a new and unfamiliar world. From this perspective, the rewriting of classic stories into SF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suggest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novel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of fantasy in classic stories. Furthermore, it sheds new light on the ‘continuity of problem’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수치심의 역학 :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전기화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2 No.-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the area of shame in the emotional map of Korean classical novels by focusing on the emotion of shame in the 18th-century Korean classical novel Ogwonjaehapgiyeon. This literary work mainly deals with the shame of the main characters, the heroine Lee Hyun-young and her father Lee Won-ui, and depicts them throughout a lengthy narrative. The novel allows us to examine how emotion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the same type of ‘shame’ are portrayed and represented differently in the same text. The shame experienced by each character is produced by being aware of the gaze of certain others, and also serves as a starting point of introspection to become a virtuous person. However, shame is portrayed as an emotion that needs to be properly controlled and cared for. In particular, concerning the shame of female characters, Ogwonjaehapgiyeon, unlike other classical novels such as Sookyoungnangjajeon where the female character commits suicide due to shame, reconsiders the epistemological link that directly connects women’s shameful life to death. Accordingly, this novel portrays the female characters living despite the shame and details of the twists of their lives. In this novel, we can relate to the female characters who are constantly exposed to the feeling of shame as they confront, accept, and deal with it throughout their lives. Furthermore, Ogwonjaehapgiyeon not only depicts virtuous characters who respond sensitively to shame but also mediocre characters who are indifferent to shame by arguing their values. Thereby, this novel shows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ile building a rich narrative world. 본고는 18세기 한글장편소설 <옥원재합기연>에서 수치심이라는 감정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고전소설의 감정지도에 수치심의 영역을 주요하게 기입해보고자 하였다. <옥원재합기연>은 여주인공 이현영과 그의 아버지 이원의 등 중심인물들의 부끄러움을 주요하게 다루며 이를 긴 서사전개에 걸쳐 형상화한다. 이로 인해 소설에서는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되는 감정이, 각각의 인물이 놓인 상황과 서사의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다루어지는지를 다각적으로 살필 수 있다. 우선 이 소설에서 수치심이란 개과천선의 징표로 역할하기도 하지만, 이때의 수치심조차 무한정 긍정되기보다는 세심하게 돌보아지고 적절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감정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수치심이 도덕적 에너지의 동력으로 손쉽게 전환되고 해소되는 감정이 아니라, 그것을 경험하는 주체에게 신체적 반응과 더불어 많은 감정적 잔여를 남기는 치명적이고도 복잡한 감정이라는 이해와 관련된다. 한편 소설은 수치심에 관한 해석적 개입을 시도하는 주변 인물들의 설정을 통해 수치심을 죽음으로 직결시키는 인식론적 연결고리를 끊어내고 투생에 대한 새로운 의미화를 시도하면서, 수치심이라는 감정과 역동적으로 관계 맺는 여성인물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수치심을 경험하는 인물들의 내적 고통과 동요를 섬세한 시각으로 서술하면서도 수치심에 다양하게 반응하는 인물들을 폭넓게 그려내면서 인간에 대한 포용력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풍부한 서사세계를 구성한다. 이렇듯 수치심을 다각적으로 담론화한 점은 고전소설의 감정 재현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중요한 성취이다.

      • KCI등재

        〈옥원재합기연〉의 성장서사적 성격 연구

        전기화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5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ing-of-age story of the 18th century Korean novel Ogwonjaehapgiyeon(玉鴛再合奇緣). The story begins with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exposing their self-centeredness and immaturity, however they gradually mature in the process of facing and resolving various relationship conflicts. Eventually, they become mature enough to put themselves in other people’s shoes and perform their roles with responsibility inside and outside the family. In twenty-one volumes, the novel details the excruciating process of the characters’ grow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hanges in the characters are convincingly portrayed through the active use of dialogu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inner minds, and the narrator’s comments on the character’s inner changes. Moreover, the narrator details the feeling of shame and self-consciousness experienced by the female protagonist, thereby delicately portraying the agony of a woman positioning herself inside her husband’s house which was never written down on the conduct book of Joseon Korea. This is realistically portrayed in the narrative, inscribing the countless cracks in the female coming- of-age story. 본 연구는 18세기 한글장편소설 <옥원재합기연>에서 소세경과 이현영 등 두 남녀 주인공의 내적 성숙의 과정이 주요하게 형상화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소설의 성장서사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옥원재합기연>의 두 주인공은 소설 초반에는 그들의 불안함과 미숙함을 그대로 노출하지만, 이후 다양한 관계적 갈등을 직면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점차 변화해나간다. 이때 소설에서 두 인물이 관계적 정체성을 형성하며 가족 내외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하게 되는 변화의 과정이 지난한 내적 성숙의 과정과 결부되어 제시된다는 점은, 이 소설을 성장서사로 읽어낼 수 있는 주요한 근거이다. 두 인물이 각자의 주관성을 반성하고 상대화해나가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장의 과정은 대화체의 적극적 활용, 인물 심리에 대한 세세한 서술, 인물의 변화를 짚어내는 서술자의 논평 등의 형식적 요소들을 통해 설득력 있게 형상화된다. 한편 두 주인공의 성장서사는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이들의 성장이 남녀의 구분된 성역할에 적응하며 가족관계 내에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옥원재합기연>의 성장서사는 젠더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여성인물 이현영의 서사에서 성장의 결과만이 표창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 깃든 감정적 굴곡이 세세하게 서술되고 특히 수치심이라는 감정과 자의식의 문제가 대두됨으로써 전혀 매끄럽지 못한 성장의 서사가 구축된다는 점이야말로 이 소설이 조선후기 여성의 성장서사로서 조명될 수 있는 근거이다. 이렇듯 이현영과 소세경 두 인물의 성장서사가 맞물려 제시되는 가운데 다양한 주변 인물들의 변화와 성장 또한 다채롭게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옥원재합기연>은 여러 한글장편소설들 가운데에서도 인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서사적으로 형상화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 KCI등재

        상부하고 개가하는 여성들의 서사 –〈변강쇠가〉와 〈덴동어미화전가〉를 중심으로

        전기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59 No.-

        〈변강쇠가〉와 〈덴동어미화전가〉는 여성의 거듭된 상부(喪夫)와 개가(改嫁)의 서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 함께 논의되어왔다. 본고는 옹녀와 덴동어미의 서사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각 인물의 성격 문제로 환원하거나 그 차이의 우열을 나누는 시각을 지양하고, 두 여성인물의 서사를 다각적으로 살피며 비교 연구의 시각을 심화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 여성들의 이야기가 배치되는 텍스트의 전체 구성을 살펴볼 경우, 〈변강쇠가〉가 이전에도 반복되어 왔으며 앞으로도반복될 옹녀의 개가와 상부의 서사 가운데 강쇠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떼어내어 조명한다면, 〈덴동어미화전가〉는 화전놀이의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를덴동어미가 해결한다는 맥락 안에 덴동어미의 상부와 개가의 서사를 배치하고있다. 한편 〈변강쇠가〉의 경우 결말에서 옹녀를 외따로 남겨둔 채 그 행방을 묘연하게 처리하는데, 이는 서술자의 논평으로조차 충분히 봉합되지 않는 불편감을 가중시킨다. 이에 반해 〈덴동어미화전가〉는 화전놀이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가 덴동어미의 발화를 통해 해결됨을 드러냄으로써, 모두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공동체 전체의 흥겨움을 고조시키며 마무리된다. 미결의 감각을 남기는 〈변강쇠가〉와 만족스러운 종결의 감각을 남기는 〈덴동어미화전가〉의 차이는, 어떠한공동체에도 포용되지 못하는 옹녀와 고향의 관계망에 연결되어 있는 덴동어미가 처한 조건 간의 차이와도 연관된다. 이로써 〈변강쇠가〉와 〈덴동어미화전가〉 는 공동체의 구성적 성격을 각기 다른 각도로 사유하게끔 추동한다. 공동체의 안과 밖, 그 경계의 폐쇄성과 유동성 사이를 오가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두 텍스트는 함께 읽을 때 그 의미망이 보다 확장되는바, 이는 곧 비교 연구의 새로운 의의라고도 볼 수 있다. Byeongangsoega and Dendongeomiwhajeonga are juxtaposed due to their similar narrative involving a female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repeated loss of her husband and subsequent involvement with a new partner.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s of Ongnyeo in Byeongangsoega and Dendong-eomi in Dendongeomiwhajeonga, and compares them from a new angle, moving beyond hierarchical evaluations of them and considering more various dimension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women’s relationships with their respective communities shows that the disparities between Ongnyeo and Dendong-eomi do not stem solely from their respective “inclinations” but are closely tied to the “conditions” that contextualize them. Their condition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aesthetics of the text as well: the aesthetics of discomfort in Byeongangsoega and the aesthetics of harmony in Dendongeomiwhajeonga. It is because these aesthetics are closely linked to whether a female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repeated loss of her husband and then remarries—in other words, one who deviates from the social norms of the late Joseon period—is excluded from the community or not. Building up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reposition Byeongangsoega and Den dongeomiwhajeonga as significant sites for contemplating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boundary of the community.

      • KCI등재

        한국고전소설 형식의 몇 가지 문제-서술자의 권위와 인물의 내면 서술을 중심으로-

        전기화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3 고전문학과 교육 Vol.52 No.-

        This study reassesses the forms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at have previously been underestimated owing to a perceived dichotomy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literature that relies on a teleological and developmental view of Korean literary histo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wo issues: the authority of the narrator and the characters’ inner worlds.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lineage novel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rmal understandings of these issues are critically examined with the aim of reconstructing them. First, this study argues that the authoritative knowledge of the narrator in Korean lineage novels is based on their position as a recorder or historian rather than as an omniscient God. The authority of the novel’s discourse is established through its portrayal as an impartial historical account grounded in public consensus. Second, the study identifies four different ways in which a character’s inner world is represented that, in turn, contribute to more dynamic and rounded characters. The nuanced concealment and disclosure strategies the narrator employs also require a more detailed approach to the forms of these novels, which have previously been neglected or misinterpreted as static and monotonous.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n lineage novels, this study argues that the aesthetics of Korean classical novels require a historical and contextual approach as well as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text that is able to capture the hidden meanings delicately engraved between the lines. 본고는 한국고전소설의 형식론을 재구성하는 시론적 연구로서 고전소설 형식에 관한 두 가지 문제, 즉 서술자의 권위 및 인물의 내면 서술에 관한 문제를 한글장편소설을 대상으로 변증해보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는 고전소설의 서술적 특징을 설화성으로 일괄해온 시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한글장편소설에서 서술자의 담론은 공론이라는 기제를 통해 정당화되고 있음을 논하고, 한글장편소설의 여러 서술 양상들을 서술자의 위치와 관련지어 재평가하였다. 다음으로는 고전소설에서 인물의 내면이 충분히 문제화되지 못했다는 이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글장편소설이 인물의 내면에 접근하는 네 가지 방식 및 그 서사적 효과를 나누어 살피며, 인물의 내면을 다루는 다각적인 서술방식과 이를 통해 구축되는 섬세한 소설 미학을 분석하였다. 고전소설의 형식에 관한 오해와 왜곡을 검토하고 그 형식적 특징을 적실하게 포착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의 필요를 제기하며 본 연구는 고전소설에 관한 새로운 읽기를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효 수행

        전기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여성문학연구 Vol.41 No.-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female character in Yussisamdaerok who represents the great filial piety. According to Confucian discourses on women’s filiality, women were expected to transfer their filial piety from their natal parents to their parents-in-law after marriage. However, the eighteenth century novel Yussisamdaerok introduced a fictional character, Princess Jinyang, who continues to direct her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rather than her parents-in-law, even after she marries. This study focuses on this case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is character in Korean literature. This analysis of Princess Jinyang’s character challenges the former understanding that devoted daughter characters usually represent a woman’s natural filiality that cannot be redirected, not even to abide by Confucian norms. Instead, an examination of how Princess Jinyang continues to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indicates there are diverse meanings of her noncompliance. For example, Princess Jinyang uses the Confucian virtue of filial piety as her political resource. Although she deviates from Confucian norms of the female virtue, she justifies her behavior with Confucian causes (i.e., filial piety), and by maintaining filial piety toward her natural mother, she gains autonomy from her husband’s family. Accordingly, Princess Jinyang is not just another case of a devoted daughter character in Korean literature. Rather, the representation of this character revea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character and Confucian ideology cannot be understood as a simple dichotomy of resistance versus subordination. 이 논문은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진양공주라는 여성인물의 효 수행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교의 규범적 담론에서 규정하는 여성의 효 수행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를 진양공주의 경우와 견주어 살핀 뒤, 서사 내에서 진양공주의 효 수행이 가져오는 효과를 분석하면서 그 의미를 차례로 짚어보고자 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여성의 효에 관한 규범적 담론을 분석한 바, 여성은 혼인을 기점으로 효의 수행 대상을 친부모에게서 시부모에게로 전환하여야 한다는 점이 규범의 핵심임을 도출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혼인 이후에도 친모에 관하여 지극한 효성을 발휘하는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는 규범으로부터 일탈하는 인물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진양공주의 효 수행의 양상과 그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서사 내에서 진양공주가 수행하는 ‘효’가 어머니를 향한 딸의 효성의 발현이나 규범적인 덕목의 준수가 아닌,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유되는 일종의 정치적 자원임을 보였다. 나아가 『유씨삼대록』이 진양공주의 효 수행으로 인해 생긴 균열을 봉합하면서도 진양공주를 미화하는 서사임을 보임으로써, 이 인물의 유교적 덕목 수행이 저항과 복종의 틀로 해석될 수 없음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