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와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

        전근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of the depression change among the younger elderly, and to verify the temporal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f the depression change among the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2nd, 5th, 8th, and 11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were employed. The target participants were aged between 65 to 69 at the time of the 2nd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level of the younger elderly decreased in the beginning and increased as time passed. It shows that a non-linear relationship was ident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the depression level of the younger elderly. In other words, the depression level decreased from the 2nd year data to the 8th year data, but increased slightly in the 11th year data. It is considered that the 11th year is the late old age to the targeted aged group. Second,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epression changes of the early elderly after controlling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the slope of the linear function and the slope of the quadratic function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itial value of the depression level, however, increased 2.5 times higher than before controlling the variables. It shows that the depression increased after controlling social relationship. Third, the time effect of each of the panel data relating to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depression showed the same results whether their spouses were present or absent in the 2nd, 5th, 8th, and 11th panel data.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he social interaction showed the same effect. The effect of the depression, however, showed in different manner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was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the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spouse presence or abs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 우울의 변화에서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차, 5차, 8차, 11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차 조사당시 만 65-69세의 노인들이며, 측정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에맞는 우울과 사회적 관계에 해당하는 문항을 선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노년기 우울수준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비선형적 관계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2-8차년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11차년도에는 약간 증가하였다. 11 차년도는 대체적으로 후기 노년기에 해당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관계를통제한 후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차함수 기울기와 이차함수 기울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우울의 초기값이 통제 전보다 2.5배 가량 증가하여 사회적 관계를 통제한 후 우울이 더 높아졌다. 셋째, 사회적 관계와 우울의 각 시점별 시간효과를 살펴본 결과, 2, 5, 8, 11차의 배우자유무는 우울의 2, 5, 8, 11차 시점에 동일한 효과로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와 사회친분관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달랐다. 자녀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사회친분관계 그리고 배우자 유무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N-술피닐 파라-톨루엔술폰아미드와 아실 할라이드와의 반응 연구. N-아실 파라-톨루엔술폰아미드의 합성

        전근,박명순,박영재,박균하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7 忠南科學硏究誌 Vol.24 No.2

        N-Sulfinyl p-toluenesulfonamide, a reactive organic intermediate, was reacted with 4 kinds of acyl halides such as acetyl, 2-chloroacetyl-, 3-chloropropionyl-, and 4-chlorobutyrylchloride to give N-acyl p-toluenesulfonamide. A possible reaction pathway for the formation of N-acyl p-toluenesulfonamide is proposed.

      • KCI등재

        임금근로장애인의 차별경험, 직무만족, 행복의 구조적 관계 및 직무능력수준의 조절효과

        전근성 ( Geunseong Je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임금근로장애인의 차별경험, 직무만족, 행복의 구조적 관계, 그리고 직무능력 수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을 위해 SPSS, AMOS를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차별경험과 행복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차별경험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감소하여 행복수준 역시 함께 감소하였다. 직무능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실행하였으나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차별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 차별의 원인이 되는 편견이나 부정적 시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문화적, 교육적 노력이 시급하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한편, 장애인의 직무능력이 차별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다는 점을 통해 차별을 해결하는 것이 더욱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장애인 행복증진을 위하여 또 다른 보호요인을 탐색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job competency of the wage-working disabled. For analysi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happiness.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ompetency, but this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an institutional intervention to reduce discrimination is necessary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disabled, and that sociocultural efforts to reduce prejudice that cause discrimination are urgent.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result that the moderating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required that follow-up studies find more effective defense variables against discrimin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의 관계 : COVID-19 전후 시점을 중심으로

        전근성(Geun-Seong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COVID-19 전후 시점에 따른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 변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독거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을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3,77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분석결과 여가사회활동의 감소가 생활만족도감소를 더욱 강화시키고, 그에 따라 행복의 감소 역시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독거에 따라 여가사회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감소가 생활만족도감소로 이어지며 행복 역시 감소되었고, 독거장애인인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 커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중요하긴 하지만 장애인의 삶의 중요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 여가사회활동이 축소되는 것에 대한 개입으로서 온라인을 활용한 모임, 문화예술활동 참여,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고, 더 나아가 장애인사례관리 진행에서도 정신건강에 대한 스크리닝 및 독거장애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changes betwee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iving alone.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3,773 persons from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i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further reinforced the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the decrease in happiness also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leisure soci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ccording to living alone. In other words, the decrease i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disabled led to a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and decreased happiness. Through these results, although social distancing is important, support such as online gatherings,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education is necessary as an intervention in reducing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which can be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in the lives of the disabled.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screening for mental health and interven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alone are necessary in case manage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와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

        전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 우울의 변화에서 사회적 관계의 시간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차, 5차, 8차, 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대상과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차 조사당시 만 65-69세의 노인들이며, 측정도구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우울과 사회적 관계에 해당하는 문항을 선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노년기 우울수준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비선형적 관계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2-8차년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11차년도에는 약간 증가하였다. 11차년도는 대체적으로 후기 노년기에 해당되는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관계를 통제한 후 초기 노년기 우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차함수 기울기와 이차함수 기울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우울의 초기값이 통제 전보다 2.5배 가량 증가하여 사회적 관계를 통제한 후 우울이 더 높아졌다. 즉, 사회적 관계가 동일하다는 가정에서 우울이 크게 증가였기 때문에 초기 노년기 우울은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영향력을 지닌다고 가정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관계와 우울의 각 시점별 시간효과를 살펴본 결과, 각 시점별 사회적 관계와 우울은 동일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5, 8, 11차의 배우자유무는 우울의 2, 5, 8, 11차 시점에 동일한 효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와 사회친분관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유형이 우울이 미치는 효과는 달랐다. 자녀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사회친분관계 그리고 배우자 유무 순이었다. 자녀관계가 각 시점별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동일하지만 유형별 비교에서는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아닐린 유도체의 산화반응에 관한 연구

        전근,박명순,조병욱,박균하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7 忠南科學硏究誌 Vol.24 No.2

        Oxidation reactions of aniline derivatives with the use of NaOCl and CH_3CO_3H as oxidant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t was found that 3- and 4-nitroanilines were oxidized to corresponding azobenzenes by NaOCl. On the other hand, azoxybenzenes were obtained in the reaction of 3- and 4-nitroanilines with CH_3CO_3H. 2-Nitroaniline was oxidized to benzofuroxan by NaOCl, while an unknown liquid product was formed by CH_3CO_3H. 4-Toluidine was oxidized to 4,4′-dimethylazobenzene with the use of CH_3CO_3H, but an unknown liquid product was formed by NaOCl. Benzamide was oxidized to N,N′-dibenzoylhydrazine and N-benzoylphenylhydrazine by NaOCl. Besides, p-toluenesulfonamide and benzenesulfonamide were unchanged by the two oxidants. The structures of all the product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techniques such as IR, NMR and GC/MS.

      • KCI등재

        전원주택의 자연경관 조망과 전망창에 관한 연구

        전근형 ( Geunhyeong Jeon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원주택은 자연과 밀접하기에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자연경관은 보는 것 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해소되며, 자연경관을 지속적으로 조망하기 위함에는 창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벽의 일부로서 미학적 기치가 소멸되어온 건축적 요소로서 창의 가치를 재발견하려 함과, 조망을 목적으로 하는 창은 어떤 기준이 형성되어있는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에 대한 진화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근거로서 자연경관 평가 기준을 재구성 하며, 자연경관 조망가치가 증대되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전원주택의 기준을 정립한다. 그리고 조망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적 요소인`창`을 고찰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조망환경에 따른 창의 종류, 형태, 크기 등 공간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창을 분석 하여 어떤 공간에서 어떤 창을 통해 조망하는 것이 가치 있는지 연구한다. (결과) 전원주택에서의 자연경관은 지형적 특이성을 갖고 있는 지역은 조망점으로부터 독특한 경관요소를 보기 쉬우며, 수공간이 잘 조망될수록 시각적 개방성이 뛰어나 탁 트인 경관을 보기 쉬웠다. 전체적으로 전망창은 빛의 유입이 유리한 조건일 때 창의 활용도를 끌어올려 좌우로 긴 수 평창이나 벽 자체를 고정창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많은 빛을 유입시키며 넓은 파노라믹 경관을 설계하며, 실내라기보다는 내· 외부공간의 차단점이라는 느낌을 형성하여 개방성을 끌어올렸다. 반면 빛의 유입이 부족한 방위나 조건에서는 오히려 폐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망창을 수직창으로 빛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외부 경관을 뚜렷하게 보이게 하며, 공간에 대한 감성적 행위를 끌어올리려고 하였다. (결론) 자연경관의 조망은 대체로 수공간이 조망되는 공간에서 상위등급의 경관이 도출 됐으며, 전원주택의 조망환경 설계와 선택에 있어서 조망과 채광이 가능한공간은 수평창으로 그에 따른 밝은 공간과 개방감 그리고 신체적·심리적 치유를 얻어갈 수 있으며, 채광 없이 조망만 되는 공간에서는 수직창으로 부터 어두움으로 시각적 경계가 모호해져 공간에 대한 상상력을 증대시킴과 동시 렘브란트의 회화처럼 외부 경관을 차경 함으로써 더욱 더 아름답고 밝게 인식할 수 있는 조망효과를 얻어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astoral house is in close proximity to nature amid favorable conditions to view the natural landscape. Stress is easily solved by looking at the surrounding natural scenery, an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s emphasized to continuously view natural scenery.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value of creativity as an architectural element in which the aesthetic banner has been annihilated as part of the wall, and to analyze what criteria are formed in the windows for the purpose of viewing. (Method) In this study, we will reconstruct the natural scenery evaluation criteria as the basis of the evolutionary review of natural scenery, as well as examine the precedent stud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the pastoral house when the value of the natural scenery view is increasing. The study then analyzes the window, which is a spatial element for viewing, evaluating each by spatial nature such as the type, form, and size according to the viewing environment, to determine which are worthwhile. (Result) As for the natural landscape around country houses, it is easy to see the unique landscape from the regions with geographical specialness. It is especially easy to see wide vistas such as open fields, mountain valleys, or bodies of water. As a whole, the viewing window was designed to allow a wide panoramic landscape and to introduce a lot of light from the outside by using the long horizontal window (or the wall itself) to control the flow of light. It enhanced the openness by forming a feeling of creating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space rather than just being in one or the other. On the other hand, for directions or conditions where the inflow of light was insufficient, to maximize the closeness, the view window could be set up vertically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light, which made the outside view very clear to raise the emotional impact of the space. (Conclusion) Horizontal viewing windows are usually found facing wide, attractive, natural landscapes, and are designed into many pastoral house to allow for bright space, opennes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 In a space where the views let in little or no light, the windows are often set vertically, with the visual boundaries obscured by darkness, turning the distant outer landscapes into gold-tinged Rembrandts, thereby gaining a more beautiful and more recognizable vista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