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언어분석 –구어체에서 일인칭대명사의 경우를 예로–

        장희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3

        This paper focuses on the usag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and studies how the first person pronoun is being used in the articulation of a Korean student in KY-corpus. It also studies whether or not the usag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is being learned or not. As a result how the first person pronoun is being used in KY-corpus, the usag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can be sort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ses. 1. A situation where the learner knows which predicate it is connected to but even if it’s not mentioned, is able to understand and therefore it can be eliminated. 2. A situation where the learner misuses vocabulary and directly translates Korean expressions into Japanese. 3. A situation where the learner cannot find which predicate responds with the first person pronoun within the sentence. If you look at the usag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according to the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among Korean students, the beginner learners have 1) a situation where the learner know which predicate it is connected to but even if it’s not mentioned, is able to understand and therefore it can be eliminated and 2) a situation where the learner misuses vocabulary and directly translates Korean expressions into Japanese. But from the beginner to advanced level, as the learner improves thei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he sentence structure in demand expands from a sentence to a paragraph and can be thought to cause the increase in the cognitive load. In other words, the tendency of misuse in the first person pronou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Japanese language. But the learner who has been judged to be the highest level has been proven to be using the first person pronoun naturally.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proven that as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 goes from the beginner level to the advanced level, the misusag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increases but as the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improves, the usage of first person pronoun becomes similar to the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the misusage decreases.

      • KCI등재

        聞き返す文に対する応答表現「そう」について - 現代小説の会話文を中心に -

        장희주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91 No.-

        In this article, we focus on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sou used as a response to echo-questions that is based on the preceding sentence, and explore the cases where sou occurs as a response to echo-questions in the conversational part of Japanese novels.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sou to echo-questions were divided into a question with the form of a portion from a preceding statement and a question with a form distinct from a preceding statement.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sou to echo-questions in the form of a portion from a preceding statement indicate surprise and often appears with hai. Further, sou indicates that the previous statement made by the speaker of this expression is correct.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sou to echo-questions in a form distinct from a preceding statement include the judgment or recognition of the speaker of the preceding sentence. Moreover, if the judgment or recognition of the speaker is included, the response expression sou expresses the meaning of consent to the judgment and recognition of the speaker in the preceding sentence. Therefore, the response expression sou in these examples represents an agreement with the preceding sentence that it is right in guessing or judging by the speaker of the preceding sentence. And there are intermediate cases where sou indicates both that the speaker uttering sou has said such-and-such exactly in the previous utterance and that it is right in guessing or judging by the speaker of the preceding sentence. From this survey, we found that the meaning of sou changes depending on the formal type of echo-questions. 本稿は、周辺的な疑問文である聞き返す文に対する応答表現「そう」に注 目し、小説の会話文の中から聞き返す文に対する応答表現「そう」を収集し、その先行文の形によって、先行文の前の発話から一部分を切り取った形で聞き返す場合と、先行文の前の発話における内容を先行文の話し手が違う形式で聞き返す場合とに分け、考察を行った。 その結果、先行文の前の発話から一部分を切り取った形で聞き返す文には、意外性や驚きの意味を示す場合が多く、「はい、そう」のように「はい」とともに現れる例が多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なお、これらの先行文に対する応答表現「そう」は、「そう」の話し手が前の発話で言った内容はそれで正しいという意味を表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先行文の前の発話における内容を先行文の話し手が違う形式で聞き返す場合には、先行文の話し手の判断が含まれており、応答表現「そう」が先行文の話し手の判断で合っていることを表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しかし、両方の特徴が見られる中間的な性質をもつ例があり、その場合の応答表現「そう」は、「そう」の話し手が前の発話で確かにそう述べたことを表すと同時に、先行文の話し手の判断および認識に対する肯定の意味を表していると判断される。 今回の調査結果をもとに、教育現場における応答表現「そう」の指導において、名詞述語文やノダ文に加え、聞き返す文に対しても応答表現「そう」が用いられ、聞き返す文の形によって「そう」の意味が違うことが指導できるようになると思われる。

      • KCI등재
      • KCI등재

        教育的観点からみた典型的な「たくさん」の使用方法―名詞の数量が多いことを表す場合―

        장희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일본학연구 Vol.67 No.-

        今回の調査では、「たくさん」の典型的な用法である名詞の数量が多いことを表す場 合の「たくさん」が、連用用法で用いられる場合と連体用法で用いられる場合を比較 し、教育現場で韓国人学習者に提示できる「たくさん」の使い方について記述すること を目的とする。 調査には、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BCCWJ)からの3163例をデータとし て用いる。今回の調査は名詞の数量を表す「たくさん」を対象にしているため、「たく さん」によって数量の多いことが表される名詞の格を基準に、連用用法の用例と連体 用法の用例とに分類した。調査の結果、連用用法の用例の70%の例が「が格」名詞の数 量を表す例で、存在を表す動詞を含め、「動き」を表さない動詞と共起する例が非常に 多いことが分かった。一方、連体用法の場合、共起できる動詞のタイプに制限がな く、確実に名詞の数量が多いことを表せるため、「が格」だけでなく、「を格」や「に格」 の用例数も多かった。 このことから、日本語学習者に名詞の数量を表す「たくさん」の使い方を指導の際、 まず、「が格」名詞の名詞の数量を表す「たくさん」は、存在を表す動詞など、「動き」の意味を表さない述語といっしょに使用するように指導する。そして、「動き」を表す述 語の場合には連体用法で「たくさん」を使うように指導する。

      • KCI등재

        「誰も」と「誰もが」について ― 日本語教育の観点から ―

        張希朱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1 No.-

        본고는 유의표현인 誰も와 誰も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여 학습자를 위한 지도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誰も와 誰もが는 둘 다 사람명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부정어이지만, 誰もが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誰も와 誰もが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부정사 誰も와 誰もが는 학습자들이 혼동하기 쉬운 표현이면서 그 지도법 또한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誰も와 誰もが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용법의 용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誰もが의 예에도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誰も의 특징이 공통적으로 보이며, 부정의 범위가 무한에 가까운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와 극히 한정된 멤버의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고, 誰も와 마찬가지로 부사처럼 사용되는 예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誰も와 誰もが의 용례를 호응하는 술어가 긍정술어인지 부정술어인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誰も는 부정술어와 호응하는 경우가 많고, 誰もが는 긍정술어와 호응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문장 타입으로도 誰も와 誰もが의 차이가 보였기 때문에 문장 타입으로 분류하여 고찰한 결과, 명령문과 질문문에서 誰も는 나타날 수 있지만, 誰もが의 예는 없고 誰もが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것도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誰も의 용례에는 誰も를 사용하여 전체를 부정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는 특유의 기능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통해 초급학습자들에게는 誰も와 誰もが의 전형적인 예인 誰も가 부정술어와 호응하는 예와 誰もが가 긍정술어와 호응하는 예를 가르치는 것을 제안하고, 중급이상의 학습자들에게는 비전형적인 예를 포함하여 誰も에게만 보이는 용법의 지도안을 제안할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we explore parallelism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nonymous expressions daremo and daremoga and provide a teaching guideline for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Whilst the two expressions are generally used to substitute any human-denoting noun, daremoga has hardly been surveyed. Consequently, their parallelism and differences have not been elucidated. This accounts for why the two expressions are difficult in terms of both learning and teaching. The present article thus analyses attested examples of daremo and daremoga. Our analysis indicates that as in the case of daremo (a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daremoga may be used to denote an almost infinite set of individuals or to denote a specific set of individuals, and it may also be used as an adverb. Further, our survey reveals that daremo tends to co-occur with a negative predicate, whilst daremoga with a positive predicate. Also, the two expressions differ in terms of sentence types; thus, daremo may be used in imperative sentenc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but this is not possible with daremoga. Another finding relates to negation. That is, the speaker/writer may use daremo in a negative sentence to the effect that the speaker/writer’s own action itself is negated. Our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provide the basic-level learners with examples where daremo co-occurs with a negative predicate and those where daremoga co-occurs with a positive predicate, and also provide the intermediate/advanced-level learners with non-prototypical examples including those involving the unique uses of daremo.

      • KCI등재

        応答表現「はい、そうです」をめぐって ― 肯定の応答「はい」との比較から ―

        張希朱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5 No.-

        응답표현인 ‘はい、そうです’는 매우 기본적인 긍정의 응답표현이지만, 선행연구에 의해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제약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으로 되어있어도 ‘はい、そうです’라고 대답할 수 없는 용례가 있어 ‘はい、そうです’에 관한 연구가 아직 충분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고는 ‘はい、そうです’로 대답할 수 있는 선행문의 조건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형적인 질문문에서의 긍정의 응답 ‘はい、そうです’의 사용조건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현대소설에서 긍정의 응답표현이 사용된 용례를 수집하여 우선 이를 전형적인 질문문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질문문에서 ‘はい、そうです’가 사용되지 않은 용례와 ‘はい、そうです’가 사용된 용례로 나누어 각각을 비교하여 ‘はい、そうです’의 사용조건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はい、そうです’는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인 경우와 のだ문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명사술어문과 のだ문이 항상적인 특성을 묻는 경우에는 ‘はい、そうです’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현상을 묻는 경우에는 ‘はい、そうです’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과 상대방의 발화로 질문자가 원인과 결과의 관계와 같은 법칙적인 관계를 판단하여 확인하는 경우에는 ‘はい、そうです’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hilst Hai Soudesu is considered to be a basic expression used to respond to a query positively, it is subject to various constrains. For instance, the expression is legitimately used only when the preceding sentence involves a nominal predicate or the modality marker no-da. Even though these syntactic conditions are met, however, there are still cases where the use of the expression is inappropriate. This point has not been thoroughly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In the present article, we aim to reveal conditions on the use of Hai Soudesu that follows a 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involving the expression from contemporary Japanese novels, and analyzed the data by comparing those sentences with Hai Soudesu with those sentences without the expression. Our survey confirmed the claim made in previous works that Hai Soudesu appears as a continuing utterance of the preceding sentence with a nominal predicate or the modality marker no-da. The survey also reveals that Hai Soudesu is not always used appropriately even when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at is, Hai Soudesu can be used appropriately when the preceding sentence with a nominal predicate or the modality marker no-da questions an essential property or it questions a law-like relation such as a cause-result relation in context; the expression, however, cannot be used when the preceding sentence questions a temporary phenomenon.

      • KCI등재

        応答表現「そうです」の出現様相について

        장희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日本硏究 Vol.0 No.75

        In this article, we focus on examples of the responding expression soudesu which poses problems for previous studies, and explore the cases where soudesu occurs in the conversational part of Japanese novels. To this end, the information-requesting sentence that precedes soudesu is divided into three types: (i) “question sentence,” a typical type of sentence which seeks for information; (ii) “confirmation-requesting sentence,” a type of sentence which confirms the information shared by the speaker and the hearer; (iii) “echo-question sentence,” a type of sentence which asks about what is unclear in the preceding sentence. For each type of sentence, we analyse the form of the preceding sentence and explicate conditions on the use of soudesu. Our finding is that soudesu was most frequently attested in the type-(ii) sentences, followed by the type-(iii) sentences and then by the type-(i) sentences. Besides, characteristics of each sentence type reveal themselves. First of all, our study echoes previous studies in that for the type-(i) sentences, soudesu occurs as a response to a nominal predicate sentence or a sentence in no-da form. For the type-(ii) and the type-(iii) sentences, however, soudesu frequently occurs even if the preceding sentence involves neither a nominal predicate nor the no-da marker. The present survey shows that counterexamples against previous studies are observed for the type-(iii) sentences and that soudesu may be licensed without a nominal predicate or the no-da marker,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requesting sentence. 본고는 응답표현 「そうです」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예문들이 있는 것에 주목하여 소설의 회화문에서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용례를 수집하여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출현하는 경우들을 고찰한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용례에 선행문에 해당하는 <정보요구문>을 ①전형적인 정보요구문인 <질문문>, ②화자와 청자의 공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문>, ③상대방의 발화에서 불분명한 곳을 되묻는 <되묻는 문>의 3개로 나누고 각각의 분류된 예문을 통해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출현하는 선행문 형식을 고찰하여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사용되는 조건을 명확히 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출현수는 <확인요구문>, <되묻는 문>, <질문문>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질문문>, <확인요구문>, <되묻는 문>의 각각의 특징도 알 수 있었다. 우선 전형적인 정보요구문인 <질문문>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명사술어문과 「のだ」문의 형식인 정보요구문에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응답표현 「そうです」의 출현수가 많았던 <확인요구문>과 <되묻는 문>에서는 선행문이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의 형식이 아니어도 응답표현 「そうです」가 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 의하여 선행연구의 반례로 나타나는 예는 < 되묻는 문>에 대한 응답인 예가 많다는 것과, 응답표현 「そうです」는 선행문인 정보요구문의 종류에 따라 명사술어문이나 「のだ」문이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韓国人学習者のインタビューデータから見た 一人称代名詞「私」の使用の違い

        장희주 한국일어교육학회 2012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4

        学習者の日本語運用能力レベルが判定されているKYコーパスを用い、韓国人学習者の「私」の使用状況について調査した。さらに、「私」の使用が多い学習者と「私」の使用が少ない学習者とに分け、日本語運用のレベル別の「私」の使用状況を考察した結果、以下のことが分かった。第一に、KYコーパスにおける韓国人学習者30人は、述べ582回「私」を使用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韓国人学習者30人のデータの総文字数が138,135文字であるため、平均237文字に一回「私」が使用されていることになる。第二に、初級と中級の学習者においては、「私」を多く使用している学習者と「私」を少なく使用している学習者とに半々くらいで分かれる。しかし、上級と上級の上においては大きな違いがあり、上級の学習者の6人は一人(A02)を除いて平均より「私」を多く使用しており、上級の上と超級の学習者は11人の学習者のうち、一人(S06)を除いて平均より「私」を少なく使用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第三に、上記の結果から、韓国人学習者の場合、日本語と母語である韓国語が非常に似ているという点もあり、初級から上級レベルの学習者は韓国語をそのまま日本語に置き換えるストラテジーを用いることがうかがえ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