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돌봄인성이 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장희정,모문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3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셀프리더십, 돌봄 인성이 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실무준비도를 높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3년 4월 10일부터 5월 12일까지 2개 지역의 4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 경험이 최소 1년 이상이 있는 4학년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실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인성(β=0.72, p<0.001)으로 변수 설명력은 51.3%였다(F=189.41, p<0.001). 이상의 결과 돌봄인성이 실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간호대학생의 실무준비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돌봄 인성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practical preparation of nursing students by identifying how their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caring character affect their practical preparation. This study targeted 182 fourth-year students with at least one year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tending nursing departments at four universities in two regions from April 10 to May 12, 202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 affecting the practical preparation of nursing students was found to be caring personality (β=0.72, p<0.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51.3%(F=189.41, p<0.001). The results showed that caring personality had an effect on practical readiness. Therefore,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related to caring character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prepara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흡연대학생의 흡연지식, 흡연태도가 금연의도에 관한 연구

        장희정,홍선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본 연구는 흡연대학생들의 흡연지식, 흡연태도, 금연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금연의도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40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금연의도 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대학생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금연 태도(β =0.20, p=0.002)였으며, 흡연량(β=0.19, p=0.002) 흡연시작 시기(β=0.20, p=0.001), 금연시도 유무(β=0.16, p=0.012)순이 였으며 이들 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17.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흡연대학생의 금연의도를 높이기 위 해서는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mong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factors which influence in college student smok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leted by 240 college student smokers from 2 college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member 15,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the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ver. 21.0. The participants’ knowledge was 0.51 out of 1 points, attitude was 3.63 out of 5 point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level was 2.71 out of 5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Factors influenc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were smoking attitude(β=0.20, p=0.002), smoking amount(β=0.19, p=0.002), age of starting smoking habit (β=0.20, p=0.004), try to quit smoking(β=0.16, p=0.012)). Smoking cessation intention 17.7% of the variance in smoking attitude, smoking amount, age of starting smoking habit and try to quit smoking. The development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attitude change is needed. Maybe, well-designed program will enhance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 KCI등재

        일부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실태 및 교육요구도

        장희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ctual situation and radiation protection educational needs among the operating room nurses. Participants were 184 operating room nurses worked in some general hospital. Research questionnaire was used Kim(2001) and Yun(2015)'s tool which revised by three experts. The several results were revealed that C-arm was most common used in the radiation-generating device, lead skirt was prepared most common with 98.9% for protection and lead neck protector was 97.3%. Recognizing that the nurses were concerned about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was to 87.0%. The level of radiation Protection facility was approximately 2.16 points and gender (t = 2.73, p <.05), total clinical experience peri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 = 4.04, p <.001). The level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was 2.98 points, i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t = 2.52, p <.05). The level of efforts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time was 2.99 points and on education (t = -2.31, p <.05) and the operating room main work (t = -3.55, p <.001), there we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Main reason not to use of radiation protection equipment was that defensive equipments were too heavy, the most common 31.0%. The 79.9% of nurses had never trained in radiation protection education course and 98.9% of nurses willing to learn the education program. When it was the right time for Radiation Protection Training was OT for operative nurses, educational duration of 1-2 hours was appropriate. Therefore, It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 a tailored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is characteristics related to radiation protection and safety.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 관련 실태와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일부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 18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Kim(2001)의 방사선 방어 관련 실태 및 Yun(2015)의 교육요구도 설문지를 근거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방사선 발생장치로 C-arm가 100%로 가장 많았고, 보호 장구로 납 치마가 98.9%, 납 목가리개 97.3%로 많았다. 방사선 피폭 위험성에 불안하다고 인식한 간호사가 87.0%로 나타났다. 방사선 방어 설비 정도는 2.16점이었고, 성별(t=2.73, p<.05), 총 임상경력기간(F=4.04, p<.0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업무 시 방어 용구 착용 정도는 2.98점이었고, 결혼유무(t=2.52, p<.05)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방사선 노출 시간 감소를 위한 노력 정도는 2.99점이었고, 학력(t=-2.31, p<.05), 수술실 주 업무(t=-3.55, p<.0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방사선 방어용구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방어용구가 무거워서가 31.0%로 가장 많았다. 교육 요구도에서 교육받은 적이 없는 간호사가 79.9%로 나타났고, 98.9%가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으며 수술실 간호사 OT시기가 적절하고 1~2시간의 방사선 방어교육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방사선 관련 안전관리를 위해 이를 근거로 간호사 특성에 따른 맞춤형 방사선 방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간호시뮬레이션 활용현황 및 실태 연구

        장희정,김정희,지은주,정덕유,이순희,김성희,전혜진,신현숙,박선영,최은희,송영신,김옥현,이금재,최은영,정현철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2016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Vol.4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imulation based nursing educa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118 domestic four-year college samples, the survey was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October 2015 to February, 2016.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imulation training course was composed of 'credits' (82.5%), practice personnel for simulation training course was mean 11.6 persons per practice group, and simulation training course consisted of almost six placement, and there were mean 3.08 simulation models. And Charge instructors for simulation practice were a assistant professor(28.9%), professor(26.3%), and dedicated personnel was mean 1.7 persons. Instructors were received education an average of 4.40 times, they learned the most common from institutions and medical device company(30.4%), The result was revealed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23.7%) of the goal of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was the most common,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contents was problem-solving skills (20.9%). Most majors to conjugat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were an average of 2.54 credits/3.14 hours as an adult nursing, 1.55 credits/1.60 hrs as an pediatric nursing, 1.50 credits/3.00 hrs as fundamentals of nursing, and 1.25 credits/2.63 hrs as an maternal nursing, respectively. Most scenarios that were dyspnea care (67.5%) %), cardiovascular care (50.0%), maternal child-related care (47.5%), and hypoglycemia nursing care(37.5%), and others(67.5%).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tandard for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reflect in the policies of educational accreditation.

      • KCI등재

        탄력압박스타킹 적용이 임상실습 간호학생의 하지부종, 피로에 미치는 효과

        장희정,곽윤경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중인 간호대학생에게 탄력압박스타킹을 적용하고 탄력압박스타킹이 하 지부종, 하지통증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목적을 고려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 연구로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10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D시의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생으로 임상실습중인 3학년 학생 40명 이었다. 연 구를 위해 제비뽑기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을 무작위할당 하였다. 실험군은 실습 전에 탄력압박 스타킹을 착용하고 실습이 끝난 후에 벗게 하고 그 결과를 총 5회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1.0 Prgram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χ2 test, ANCOVA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하지통증과 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지부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적용하기 편리하고 간편한 탄력압박스타킹 착용이 임상실습 중인 간 호학생의 하지통증과 피로 감소에 효과 있는 중재법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白羊寺 淸流庵 七星幀의 作家와 年代 추정

        장희정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우리나라 성수신앙은 토착적인 요소가 전승되어 오다가 道敎와 佛敎의 유입으로 이들 종교 체재에 편입됨으로써 독특한 신앙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특히 불교를 통한 성수신앙의 확장은 우리나라 성수신앙의 성황에 크게 기여했으며, 그 대표적인 신앙이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중심으로 하는 칠성신앙이다. 현재 우리나라 불교사찰에는 대개 조선후기~말기에 건립된 칠성신앙 관련 전각들이 경내 후미에 자리 잡고 있다. 北斗閣·北極寶殿·七星壇·三聖閣 등으로 불리는 이 전각들은 타 전각과 비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당대의 칠성신앙 성행을 실감할 수 있다. 백양사 청류암 <칠성탱>도 그 중 하나인데, 비록 화면의 하단이 훼손되었지만 전체존상에 대한 존명이 명기되어 조선후기 칠성탱으로서 도상적 가치가 높고, 가로확장의 독특한 구도와 고격한 화풍은 조선후기 칠성탱으로서 중요한 자료적 위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이 불화의 작가와 제작연대에 관심을 갖고 이를 규명하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회화형식에 따른 양식적 편년, 동시대 불화작가들의 활동과 그들의 화풍검토 과정을 통해 청류암 칠성탱의 조성시기와 작가를 추정해보았다. 먼저 조선후기 전라도 및 백양사와 인근에 유존하는 조선후기 불화작품과 청류암작의 비교해 이 작품의 제작시기를 19세기 중반으로 비정하였다. 이어 전라도지역 불화 중 대표적인 칠성탱화만을 목록화하여 유형을 구분하였고, 이중 ‘익찬그룹’의 작품들과 청류암 칠성탱의 친연성을 도출해내고 이 불화를 일단 익찬 또는 내원, 또는 익찬과 내원의 공동 참여작으로 추정했다. 다음으로 익찬과 내원의 타 불화작과 청류암 칠성탱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익찬과 내원의 화풍을 분리시켜 청류암 칠성탱을 익찬의 작품으로 좁혀 추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작품의 제작연대는 40년 이상의 화업활동을 한 익찬의 작품들과 대조함으로써 청류암 칠성탱이 회화적 기량과 실험정신이 고조되었던 전성기인 1830년대 중반 이후~1840년대 중반 이전으로 추정하였다. Star worship had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countrybefore being incorporated into Taoism and Buddhism, which were introduced to Korea from outside,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form of religion. Star worship was expanded particularly through Buddhism. A leading belief of star worship is Chilseong(literally meaning “Seven Stars”), which is centered on the North Star and the Big Dipper. Many Buddhist temples in this country have a shrine associated with Chilseong, usually hidden in some recess. These shrineswere built around the lateJoseon Period (1392-1910), and usually given such names as Bukdugak (Big Dipper Pavilion), Bukgeukbojeon (North Star Hall), Chilseongdan (Big Dipper Altar), or Samseonggak (Shrine for the three spirits, includingtathagatas of the Big Dipper). They used to occupy a dominant position compared to other structures in Buddhisttemplesdue to the influence of Chilseong belief. The Chilseongtaeng (Buddhist painting of tathagatas of the Big Dipper) kept at Cheongnyuam Hermitage, Baegyangsa Temple is another artwork based on Chilseong worship. Despite itsdamaged lower part, researchers regard it as a valuable Chilseongtaeng of the late Joseon Period due toits inclusion of the namesof all the figures in the painting, its unique horizontally elongated composition, and its refined painting style.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rtist and the production date of the work based on its style and pattern and on information aboutartistsof that period and their activities. This paper estimated the work to date from the mid-19th century after comparing it with other late-Joseon Buddhist paintings kept in Jeolla-do, Baegyangsa andnearby areas. The estimateincluded the work of listing all the leading Chilseong-related Buddhist paintings in Jeolla-do.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works produced by a group of Buddhist painters led by a monk named Ikchan are the closest to the one in question in terms of their style and pattern. Thus, it is presumed that the painting was made by a group led by Ikchan or Naewon or by both of them together. Thus, by meticulously comparing the styles of Ikchan and Naewon, it was considered more plausible that the artist who produced the painting was Ikchan. Finally, after examining the works of Ikchan, who dedicated more than forty years of his life to painting,it was concluded that he produced the work sometime between the mid-1830s and the mid-1840s, when his skill and experimental spirit wereat their peak.

      • KCI등재
      • KCI등재

        남녀 성별에 따른 시기능훈련 전·후 외사위와 주시시차 분석

        장희정,강중구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2

        Purpose :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gender differences on fixation disparity before and after vision training for men and women with far and near exophoria in vision training in various methods of visual performance. Methods : A total of 30 subjects, male and female in their 20s, had a 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or higher in both eyes, and strabismus, amblyopia were excluded. Binocular visual function tests and gaze dispar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vision training, and among them, the reduction in exophoria volume and the improvement in gaze disparity before and after vision training of subjects with exophori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Results : The reduction in exophoria by males and females (male: 11 persons, female: 16 persons) before and after distance vision train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50±0.79 ∆ after vision training in men (p=0.046). The degree of exophoria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05) to 1.56±0.50 ∆ after visual function training in females. On the other hand, m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42) in gaze lag to 6.70±2.29,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p=0.655) in women, 3.49±0.89. As for the reduction in exophoria by men and women (male: 14 persons, female: 14 persons) before and after near vision training, the degree of exophoria decreased significantly (p=0.036) by 5.50±1.56 ∆ after vision training in males and females, the degree of exophoria significantly decreased (p=0.004) to 4.28±0.88 ∆ after vision training. On the other hand, in the fixation disparity test, mal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31) to 4.96±1.0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p=0.655) in females to 3.37± 0.92. Conclusion : As for the fixation of exophoria according to gender, it was confirmed that fixation was reduced in males than in feamales after vision training.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의 시각적 수행을 실시하는 시기능 훈련에 있어서 원, 근거리 외사위를 가진남녀의 시기능훈련 전, 후 성별 차이에 따른 주시시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20대의 성인 남녀 총 30 명으로 교정시력은 양안 1.0 이상이며 사시자는 실험에서 제외되었다. 시기능훈련 전, 후 양안시기능 검사와 주시시차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외사위를 가진 대상자의 시기능훈련전, 후 외사위량 감소와 주시시차의 향상도를 남녀 성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원거리 시기능훈련 전, 후 남녀(남자: 11명, 여자: 16명)에 따른 외사위 감소량은 남자일 때 시기능훈련후 외사위량이 1.50±0.79∆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46), 여자일 때 시기능훈련 후 외사위량이 1.56±0.50∆ 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5). 반면, 주시시차에서 남자는 6.70±2.29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42), 여자의 경우 3.49±0.89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다(p=0.655). 근거리 시기능훈련 전, 후 남녀(남자: 14명, 여자: 14명) 에 따른 외사위 감소량은 남자일 때 시기능훈련 후 외사위량이 5.50±1.5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36), 여자일 때 시기능훈련 후 외사위량이 4.28±0.88∆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4). 반면, 주시시차 검사에서남자는 4.96±1.03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31), 여자의 경우 3.37±0.92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다(p=0.655). 결론 : 남녀 성별에 따른 외사위의 주시시차는 시기능 훈련 후 여성보다 남성에서 주시시차가 감소되었음을 유의미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