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산 파충류 분포현황 -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

        장환진,김대인,장민호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6 한국양서·파충류학회지 Vol.7 No.1

        세계적으로 파충류는 10,309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총 2목 11과 27종의 파충류가 서식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파충류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결과 를 활용하여 파충류의 분포도를 작성하고, 분포 특징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 종은 붉은귀거북, 도마뱀, 줄장지뱀, 누룩뱀, 유 혈목이, 쇠살모사 총 6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제주도를 제외한 내륙 전역에 서식하는 종은 구렁이, 능구렁이, 살모사, 아무르장지뱀 총 5종으로 확인되었다. 해양파 충류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reptiles in South Korea, we analyzed the survey data of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As a result, we mapped the distribution of 17 reptile species, in eleven families, and two orders in South Korea and briefl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Species distributed evenly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island's Trachemys scripta elegans, Scincella vandenburghi, Takydromus wolteri, Elaphe dione, Rhabdophis tigrinus, Gloydius ussuriensis were confirmed by a total of six species, species that live in inland throughout, except for Jeju Island T. amurensis, E. schrenckii, Dinodon rufozonatum, G. brevicaudus was confirmed by a total of 5 species.

      •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양서·파충류분야 조사의 변화

        장환진,김대인,장민호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7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7

        환경부, 국립생태원에서 주관하고 있는 전국자연환경조사는 현재 제4차 전국자연 환경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1997년부터 2005년까지 9년간 지형 및 생태권역을 중심으로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채집 및 관찰이 용이한 중점지 역에서 청문조사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고,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8년간 전국 1:25,000 지형도 총 824 도엽을 중심으로 매년 2월부터 10월 까지 각 도엽 내의 총 9개 격자의 상이한 서식지 2개 지점에서 현지조사만을 실시하 였다(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반면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 지 5년간 전국 1:25,000 지형도 총 824도엽을 중심으로 매년 4월부터 11월까지 각 도 엽을 조사하거나, 멸종위기 양서·파충류가 출현한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국립생태원). 이와 같이 변경된 조사방법에 따라 관찰된 양서·파충류 상을 확인 한 결과,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와 비교하여 다양한 서 식지의 양서·파충류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하고 종다양성 역시 증가시켰다. 제4차 전 국자연환경조사는 멸종위기 양서·파충류의 서식지를 조사여 기존 조사에 비해 공간 적인 서식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 할 수 있었다. 2019년부터 시작될 제5차 전국자연 환경조사는 2023년까지 5년간 기존조사(2~4차)에서 ‘다양성’, ‘멸종위기종 대단위 서 식지’, ‘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 등이 포함된 500 도엽을 선정하여 최신연구기법을 활용한 조사로 변경하고자 한다.

      • 산개구리류 3종의 고도별 산란지 분포

        장환진,김대인,서재화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3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현재까지 정식으로 학회에 보고된 한국산 산개구리류는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Korean brown frog),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Dybowski's brown frog), 계곡 산개구리(Rana huanrenensis, Huanren brown frog) 등 3종이 알, 유생, 성체를 통 하여 국내서식현황이 파악되고 있으며, 주로 성체와 알을 통하여 서식현황이 파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야외조사, 특히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2010)에서 관찰된 산개구리류3종을 통해 각 종의 서식여부와 고도별 산란지현황 및 산란지 특성을 파악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산개구리의 산란분포는 고도 200m이하에서 주로 이루어지 고 있으며, 계곡산개구리의 경우, 200m에서 1,000m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북방 산개구리의 경우 0m에서 800m까지 가장 넓은 산란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따라서, 산개구리류 3종의 고도별 산란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기후변화에 대 한 생물모니터링에 있어서도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양서·파충류분야 조사 방법론

        장환진,김대인,장민호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9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7

        환경부, 국립생태원에서 주관하고 있는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올해부터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가 수 행되고 있다.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1997년부터 2005년까지 9년간 지형 및 생태권역을 중심으 로, 채집 및 관찰이 용이한 중점지역에서 청문조사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고,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 사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8년간 전국 1:25,000 지형도 총 824 도엽을 중심으로, 각 도엽 내의 총 9개 격자의 상이한 서식지 2개 지점에서 현지조사만을 실시하였다(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반면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전국 1:25,000 지형도 총 824도엽을 중심 으로, 각 도엽을 조사하거나, 멸종위기 양서·파충류가 출현한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국립생태원). 변경된 조사법에 따라 관찰된 양서·파충류상을 확인한 결과,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와 비교하여 다양한 지점의 양서·파충류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하고 종다양성 역시 증가시켰다.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는 멸종위기 양서·파충류의 서식지를 조사하여 기존 조사에 비해 공간적인 서식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 할 수 있었다. 올해부터 수행되는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는 2023년까지 5년간 실시된다. 기존조사가 종 위주의 조사였다면, 제5차 조사부터는 생태계(서식지) 위주의 조사로 변경되었다. 서식지 유형 분류를 통한 조사방법으로 다양한 종과 서식지에 대한 생태 정보가 종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한국 희귀 파충류 3종의 멸종위험성 분석

        김일훈,장환진,노남호,박대식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5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7

        국내에는 2목 11과 24속 31종(북한서식종 3속 4종)의 파충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에 따르면 1,988종의 척추동물 중 파충류는 30종으로 전체의 1.6%에 불과하여, 양서류(22종, 1.2%)를 제외하면 어류(1201종, 63.2%), 조류(522종, 27.5%), 포유 류(124종, 6.53%)에 비해 종수가 매우 적은 분류군이다. 최근 30여년 동안 국내 파충류의 연구 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종 평가는 우리나 라 파충류 32종 중 14종에 대한 평가만 수행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인 2010년에는 국 내 파충류 26종의 멸종위기 상태를 IUCN의 기준을 근거로 평가한 바 있으나, 정보부족 등의 이유로 7종(26.9%)의 평가를 보류한 실정으로 국내 희귀 파충류들의 멸종위기 평가는 여전히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파충류들 중 다른 종에 비해 출현빈도가 낮은 희귀종인 도마뱀붙이(Gekko japonicus), 북도마뱀(Scincella huanrenensis), 실뱀(Hierophis spinalis) 3 종의 멸종위험 정도를 IUCN 멸종위기종 평가 기준에 따라 문헌정보 및 직접 확인된 좌표를 이용하여 멸종위험 등급을 결정하였다. 더불어서 각종 조사(전국자연환경조사,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환경영향평가조사 등)에서 확인된 출현빈도 및 서식지 분포, 개체 수 등을 환경부에 의해 현재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다른 파충류들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도마뱀붙이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넓게 분포하여 세계적으로 멸종위험은 낮 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국내에서는 부산, 경남지역으로 제한된 점유면적(433.9㎢)과 성숙한 개체 수가 적은 점을 고려할 때, IUCN의 취약(Vulnerable) 또는 멸종위기(Endangered) 종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도마뱀은 우리나라와 중국 Huanren 지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련 논문이 5편 이내로 매우 적은 실정이다. 국내에서 최근에 새로운 서식지가 발견 되면서 분포면적은 다소 넓어졌지만(28,039.8㎢) 해당 지역 내 개체군수가 15개로 매우 적고, 각 개체군에서 발견되는 성숙한 개체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멸종위기종(Endangered)으로 평가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뱀의 경우는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되고(89,222.4㎢), 일부 섬이나 바다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비교적 발견빈도가 높은 것을 고 려할 때, 현재 국내 적색자료집 기준인 최소관심종(Least Concern)이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및 최근 10년간 수행된 국립공원자연자 원조사, 강원권과 부산권에서 수행된 33건의 환경영향평가를 분석한 결과 환경부 지정 멸종위 기종 Ⅱ인 구렁이(Elaphe schrenckii), 남생이, 표범장지뱀(Eremias argus)에 비해 희귀종 3종의 발 견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심의 정도에 따른 해당 종의 발견 가능성 차이를 고려하여도, 연구대상 3 종의 매우 낮은 발견빈도는 이 3종의 야외개체군수 및 개체수가 적음을 보여준다. 희귀종 3종의 파충류 중 IUCN 멸종위기종 평가 기준에 따른 도마뱀붙이와 북도마뱀의 멸종 위험 혹은 멸종위기 등급 분류와 야외조사에서 낮은 발견빈도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두 종 의 경우 국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 어, 비록 멸종위기 등급으로 평가되지는 않았지만 실뱀의 경우는 추가연구를 수행하여 국내의 개체군이 안정적인지 평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멸종위기 야생생 물 지정을 위한 심사의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희귀 파충류의 효율적인 보호 및 관리방법 개발 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