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이론에 근거한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성인 집단미술치료 사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정서표현을 중심으로

        장현주,임나영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social intera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conducting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for adul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ith autism spectrum living in day care facilities, who did not have emotional problems and coexisting path-ologies, and 5 subjects who could measure emotional express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40 minutes in a total of 12 sessions at the facility. To examine the change in social interaction,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s was observed using a checklist to rate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s. To evaluate the change in emotional expression, an emotional understanding response evaluation sheet and a program log were prepared. For sub-jects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emotions, videos were recorded and evaluated for every session. To 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s, inter-r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duction of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to the adults with ASD positively changed the social interaction and helped us understand the visual attention, one of the precursors of the theory of mind. Second, it he subjects had a tendency to recognize emotions according to people's faces, expressions, and situation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ind helped to recognize the emotions of the subjects with ASD, and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revealed the possibility to what level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can be applied to severe ASD and provided underlying data for the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중증의 성인을 대상으로 마음이론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 표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주간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20~30대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성인으로 정서적 문제와 공존 병리가 없고, 정서 표현을 측정할 수 있는 대상 5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2회 40분간 총 12회기 시설에서 시행되었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비언어적·언어적 행동을 범주화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빈도 관찰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정서표현의 변화를 보기 위해 정서이해 반응 기록지와 프로그램 일지를 작성하였다. 표현이 어려운 대상자를 위해 회기마다 동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해 평가자 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이론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마음이론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폐스펙트럼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마음이론의 전조 능력의 하나인 시각적 주의 이해하기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대상자들이 사람의 얼굴, 표정, 상황에 근거한 정서를 인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정서 인지를 도왔으며, 정서 표현의 확장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가 중증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에게 어느 정도 단계까지 적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밝혔으며,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KCI등재

        조직생태학적 관점을 통한 사회적기업 생태계 탐색

        장현주 한국공공관리학회 201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7 No.4

        이 연구는 조직생태학적 관점을 사회적기업 생태계에 적용하여 사회적기업의 생성과 경쟁으로 인한 설립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유사 성장곡선은 2010년 이후 일부 업종에서 사회적기업의 설립율과 인증율의 성장 둔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기업인증제 초기 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 또는 설립이 비교적 쉬웠던 전통적인 사회복지분야 조직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음이항 회귀모형을 통해서 볼 때, 이는 밀도가 갖는 정당화와 경쟁의 효과 중 전통적인 사회복지분야 조직군 내 밀도의 증가로 인한 경쟁 효과가 새로운 사회적기업의 설립을 억제하는 효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며, 조직군의 높은 성숙도로 인한 경쟁 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거 생성율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설립과 진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교육, 문화/관광/예술, 환경분야 조직군과 같이 2010년 이후 조직군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밀도가 비교적 낮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즉 조직군 밀도의 정당화 효과가 사회적기업의 설립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유인하고 있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향후 업종과 지역에 따른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생태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정부도 업종과 지역에 따른 사회적기업인증제 운영, 지역특화 클러스터 육성, 공공구매시장 및 판로확대 등 환경변화에 따른 유연한 정책변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소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와 캡슐내시경검사의 비교

        장현주,박철희,한승용,변현우,최민호,계세협,이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6

        Background/Aims: Double balloon enteroscopy (DBE) and capsule endoscopy (CE) are two new methods for evaluating small bowel diseases. However, the clinical relevance of these procedures remains to be uncovered. We investigated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impact of DBE and CE for patients with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0 patients who were examined by DBE or CE for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s between May 2003 and September 2005. The diagnostic yield and therapeutic impact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irty-five patients were examined by CE and 25 patients were examined by DBE. DBE showed abnormal findings in 20 patients (80%). CE detected abnormal findings in 23 patients (65.7%). The overall diagnostic yield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226). In the DBE group,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in 18 patients (72%). In the CE group,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in 7 patients (20%). The overall therapeutic impa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cedures (p<0.001). Conclusions: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agnostic yield between the two procedures, DBE appears to have a higher therapeutic yield than CE for patients with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79-384) 목적: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과 캡슐내시경이 도입되면서 전체 소장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소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와 캡슐내시경검사의 진단율 및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원인 불명의 소화관 출혈, 만성 복통, 만성 설사, 염증성 소장 질환, 종양 등 여러 소장 질환이 의심되어 캡슐내시경검사를 시행한 35명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를 시행한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 군의 임상적 특성, 진단율, 치료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의 진단율은 80% (20/25), 캡슐내시경검사는 65.7% (23/3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226),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의 진단율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이중풍선 소장내시경 검사 환자군은 내시경 시술로 치료하였던 예가 4명(16%), 약물 치료 4명(16%), 수술 10명(40%), 단순 관찰 7명(28%)이었고, 캡슐내시경 검사 환자군은 수술 2명(6%), 약물 치료 5명(14%), 단순 관찰 28명(80%)으로서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 군에서 발견한 병변에 대하여 수술이나 내시경 시술 등 적극적인 치료를 한 예가 더 많았다(Table 72% vs. 20%, p<0.01). 결론: 소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와 캡슐내시경검사의 전체 진단율은 비슷하였지만 치료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이중풍선 소장내시경검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소장의 치료 내시경

        장현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2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DBE) in 2001, DBE has been refined for complete exploration of the small bowe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Diagnostic DBE using a model EN-450P5 (Fujinon, Saitama, Japan) equipped with a small accessory channel is mainly used for endoscopic observation and limited therapeutic procedures including injection therapy, argon plasma coagulation and polypectomy. Therapeutic DBE utilizing a model EN-450T5 (Fujinon, Saitama, Japan) equipped with a larger accessory channel was developed for various endoscopic interventions. Recently, new enteroscopic techniques such as single balloon enteroscopy and spiral enteroscopy were introduced. These enteroscopic techniques are all used for the controlled observation, targeted tissue sampling for pathologic evaluation and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of DBE seems acceptable but that of therapeutic DBE is higher than diagnostic DBE and therapeutic colonoscopies because the small intestinal wall is much thinner than other intestinal wall.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concern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DBE. DBE는 전 소장을 관찰할 뿐만 아니라, 조직 생검을 비롯한 다양한 치료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여 단 시간 내에 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소장의 치료 내시경 시술 분야에서 초기의 진단용 DBE는 지혈술, 용종 절제술 등 몇 가지 술기만 가능하였으나, 겸자공이 큰 치료용 DBE가 개발되면서 위 또는 대장내시경에서 적용하는 대부분의 치료내시경 시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소장의 치료 내시경 시술은 장시간의 시술시간과 시술자의 물리적인 노력이 많이 필요하며, 치료내시경 시술의 장기 치료 성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종설은 소장의 치료내시경 시술 경험을 바탕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소장의 치료내시경 시술들과 주의할 점을 살펴서 정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authors concerning the citation impact of Korean journals indexed in Scopus

        장현주,전기우,김형순 한국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2019 Science Editing Vol.6 No.1

        Purpose: A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itation impact of articles and reviews that were published in engineering, materials science, and medical journals in Korea over the 5-year period from 2012 to 2016 based on authors’ countries. These three subject areas were selected to provide insights regarding citation impact because they are better represented than other subjects among the 248 Korean journals indexed by Scopus. Methods: We classified authors’ as Korean and foreign to assess and compare the citation impact of articles and reviews according to the authors’ countries and evaluated whether bibliometric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of authors and the view count,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citation impact. Results: We found that the citations count and publications in the top 10 citation percentile in these three subject areas were higher for reviews than for articles; further, the citation impact of articles and reviews by foreign authors was higher than that of articles and reviews by Korean authors. The number of authors had a weak relationship with citation impact based on the subject area, and the number of authors per review by foreign authors in materials science and medicin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itation impact. Moreover, the views count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itation impact of publications in these three subject areas.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more bibliometric indicators, subject areas, and countries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and statistical evidence indicating that journal publishers and editors in Korea should attempt to attract more publications by foreign authors and promote their publications to increase their visibility and likelihood of being ci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이주자의 합리적 선택과 현실

        장현주 한국공공관리학회 2011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5 No.4

        이 연구는 ‘이주의 여성화’ 현상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이주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을 찾고, 이들의 연령대별, 교육수준별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20대 이주자들의 삶의 만족도에는 친밀한 가족관계, 정부로부터의 각종 교육 및 지원의 영향력 순으로 유의하다. 30대 이주자들은 가족관계, 한국어 능력, 경제적 수준의 순으로, 40대 이상 이주자들의 경우에는 유일하게 가족관계만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교육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은 이주자들에게는 친밀한 가족관계 형성, 정부로부터의 교육 및 지원 등 물리적인 조건의 순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한 반면, 교육수준이 높은 이주자들에게는 친밀한 가족관계 구축을 통한 심리적 안정만이 삶의 만족에 유의하다. 분석결과는 한국인 배우자 가족이 이주자들을 시민적 정체성을 지닌 존재로 가장 적극적으로 인식을 재정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친밀한 가족관계의 선제적 구축 후, 20대 및 교육수준이 낮은 이주자들에게는 가족상담, 출산지원 등의 물리적인 교육 및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30대 이주자들에게는 한국어 학습도우미프로그램과 고용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40대 이상 및 교육수준이 높은 이주자들에게는 가족간 갈등을 해소하고 사전에 예방하는 가족상담 및 치유프로그램, 가족참여프로그램, 멘토링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 2차원 동수역학모형을 이용한 내외수 침수해석

        장현주,오승명,신은택,송창근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생하는 다양한 기후변화 문제에 따라 복합적인 침수가 많이 발생한다고 판단하여 침수의 복합원인을 찾아내고 그에 따른 값을 모의하게 된다. 침수의 요인으로는 크게 제내지 배수불량에 따른 내수침수와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월류하게 되는 외수범람이 존재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내수침수와 외수범람을 독립적으로 침수해석하여 단순한 선형합의 형태로 내외수 침수 를 산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동수역학모형인 HDM-2D 모델을 이용하여 내수침수와 외수범람의 독립적인 모의는 물론 복합적인 모의를 하여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HDM-2D모델은 3가지 모형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2차원 천수방석식과 유한요소법 이산화로 구성된 흐 름해석 모형이다. 둘째는 ERG (Exponentially Growth Rate) 기법에 의하여 생성/소멸 기작이 적용된 내수 침수 해석 모듈이다. 마지막은 Petrov 안정화 기법에 의한 충격파 전달 해석이 적용되며, Flux-blocking 알고리즘으로 마름/젖음을 안정적 모의할 수 있는 외수범람 해석 모듈이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 내수침수 와 외수범람을 독립적, 복합적으로 모의를 진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