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 기숙사를 위해 개발한 서비스 품질 모형

        장하천 ( Hequan Zhang ),이성필(교신저자) ( Sung P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2

        (연구 배경과 목적) 대학 서비스 체계의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단연 기숙사라 할 수 있다. 현재 기숙사 관리자들에게 기숙사의 서비스 품질이 중요시되기 시작하면서 보다 높은 품질의 기숙사 서비스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대학의 주된 경쟁력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마땅히 기숙사 서비스 품질을 어떻게 측량할 것인지 고려해봐야 한다. 과거 연구 과거 연구 문헌을 살펴 보면 연구자들이 각기 다른 연구 배경에서 다양한 거주 주택의 관건이 되는 요소들을 추출, 분석, 평가하여 연구 결과를 확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호텔과 아파트라는 거주 형식을 예로 들어보자. 사실 거주 형식과 관련된 문헌 중에서 대학교 기숙사 품질 평가에 관한 실증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한국 기숙사 서비스 품질(DSQ)의 평가 요소를 찾아내고 확정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필자는 이번 논문을 작성할 시에 우선 KJ분석법을 활용, 대학생들이 기숙사 생활 중에 취하는 기본적인 행위들을 열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생활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들을 정리하였다. KJ 연구법은 일본의 가와기타 지로(川喜田二.)가 개발한 품질 관리 방식이다. 이는 마구 뒤얽혀 복잡한 현상을 일정한 방식으로 정리하고, 문제의 본질을 찾아 내어,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찾는 방법이다. 이어서 서비스 품질 구성 요소와 관련된 문헌들을 참고하여 DSQ의 15가지 평가 항목을 개발했다. 그 다음 인자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기숙사 서비스 품질을 측량할 수 있는 4가지 평가 인자를 추려냈다. 인자분석법은 요소분석법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석 기법이다. 이는 다양한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차원축소 방법이다. (연구결과)연구 결과에 따르면, 논문에서 제시한 이론 모형인 DSQ는 통계 분석 검증을 거쳐 보다 효과적으로 기숙사 서비스 품질을 측량할 수 있고, 기숙사라는 연구 배경에서 적절히 활용될 수있다는 것이 증명된 이론 모형이다. 이 이론 모형은 다음과 같이 4가지 평가 인자를 포괄한다:1.핵심시설: 핵심시설은 주로 기숙사에서 대학생들의 가장 기본적인 거주 조건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르는 것으로, 침실 가구, 욕실 그리고 화장실 시설을 포함한다. 2.보조시설: 보조시설은 관리실, 학습 엔터테인먼트 시설, 네트워크 등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서비스 시설을 의미한다. 3.관리 및 지원 시스템: 관리 및 지원 시스템은 기숙사 관리자가 제정한 규정과 각종 지원 시스템의 운행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위생 관리, 안전 관리, 시설 유지 보수를 예로 들 수 있다. 4.근접성: 근접성은 기숙사 연구 배경 중 학생들이 편의점과 같은 쇼핑 시설, 교육 시설 등 장소들에 편리하게 다닐 수 있는 위치에 기숙사가 위치해 있는지, 기숙사 개방 시간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네 가지 인자를 통해 기숙사의 서비스 품질을 전반적으로 측량해볼 수 있다. (결론) 학생들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받길 원하고, 관리자들 또한 학생들의 성장과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조건의 기숙사를 제공해주고자 한다. 기숙사 서비스 품질 평가 요소의 개발은 관리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기숙사 서비스 품질을 분석, 측량, 평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서비스 품질의 전반적인 향상을 촉진하기도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ormitory is the significant part of university service system and administrators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its service quality; good dormitory service quality becomes the major competitive power of university; it is the theme we should consider that how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dormitory. In the previous study, researchers understand, evaluate and determine the key factors of house under different background with lot of researches, such as hotel, apartment and so on. Among the issued literatures of house, there is few empirical researches on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student dormitor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determine evaluation component on dormitory service quality (DSQ)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Method)First of all, using KJ method to find the basic behavior of today``s college students in the dormitory life, and identify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student life specific point. KJ method refers to a tool of quality management submitted by Kawakita Jiro of Japan. The KJ method refers to a method that manages thoughts in some certain ways, grasps the essence and finds the new solutions for the problems. And then, with reference of existing literature of service quality and its constituent elements, we created 15 evaluation of DSQ items. Secondly, after factor analysis 4 evaluation dimensions were found out that can be applied in DSQ. Factor analysis is a data reduction technique that uses correlations between data variables. It assumes that some underlying factors exist that explains the correlations or interrelationships among observed variables. (Results)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theoretical model subimitted in the thesis is tested by statistical analysis, it proves to measure dormitory service quality effectively and it has good applicability in dormitory background. The model contains four evaluation factors and they are: 1. Core facilities: core facilities mainly refer to the service provided by dormitory to meet the most basic living condi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hardware of bedroom, hardware of bathroom and hardware of toilet. 2. Supporting facilities: supporting facilities refer to the service facilities play the supporting role, e.g. management office, learning &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Internet etc. 3. Management and Supporting system: this factor refers to rules and regulations made by dormitory administrators and various running status of support system, such as health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facility maintaince and so on. 4. Accessibility: it can be understood in the dormitory research background as that is the location of dormitory convenient for students to go to places such as shopping area, teaching area and so on.(Conclusions)Students are hoping eagerly that they are able to receive high service quality from the supplier and also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ors carefully consider that what kind of dormitory conditions can promote the learning and growth of its students. Service quality evaluation componen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at is not only able to help administrators to analyze, measure, control and evaluate the status of service quality conveniently and exactly, but also promote and guarantee the overall administration of service quality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