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정판결의 기판력과 특허무효의 소급효의 관계에 따른 손해배상금의 지급 · 반환 여부

        장태미(JANG, Tae-Mi),정차호(JUNG, Cha-ho)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17 No.3

        특허권 침해소송에서 원고인 특허권자가 승소하여 손해배상지급 판결이 확정된 후에 특허무효심판에 의하여 해당 특허가 무효로 된 경우에 이전의 확정판결의 기판력과 특허무효의 소급효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하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동 쟁점과 관련하여 이 글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특허무효심결이 확정되기 전에 이미 손해배상금을 지급한 경우에는 법적 안정성 및 효율적인 분쟁해결을 위하여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따라 특허권자는 지급받은 손해배상금을 반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특허무효심결이 확정되었으나, 아직 손해배상금이 지급되기 전인 경우에는 특허무효의 소급효에 의해 손해배상지급명령에 정당한 이유가 없다고 보아 침해자는 이를 지급할 필요가 없다. 셋째, 특허정정심결도 소급효가 있으므로, 침해소송 확정판결 후 특허정정심결에 의해 침해자의 침해행위가 침해가 아닌 것으로 된 경우에는 이미 지급된 손해배상금은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의하여 반환될 필요가 없으며, 지급되기 전의 손해배상금은 정정의 소급효에 의해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The issue discussed in this paper is which is first applied between res judicata effect of a final judgment and retroactive effect of a patent invalidity, where a damages payment judgment was finalized and subsequently the relevant patent was finally invalidated. Regarding the issue this paper proclaims the followings: First, if the damages was already paid to the patentee, for the sake of legal stability and effective dispute resolution, the patentee, under the res judicata effect, does not have to reimburse the damages. Second, even though the relevant patent was finally invalidated, if the damages has not been paid yet, the infringer, under the retroactive effect of the invalidity, does not have to pay the damages. Third, correction of the relevant patent has also retroactive effect, therefore, in the case of correction, the above-proclaimed jurisprudence shall be duly applied.

      • KCI등재

        기술혁신에 있어서 특허활용의 역할 및 법제도적 개선방안

        심미랑(Shim, Mi Rang),장태미(Jang, Tae Mi),유계환(Ryu, Kye Hw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3

        특허제도는 그 작용 국면에 따라 창출ㆍ보호ㆍ활용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뉘며, 이 세 측면의 효율성을 함께 높이는 선순환 사이클을 만드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특허제도를 통한 기술혁신은 특허 창출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 제품이나 공정에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는 사업화 단계 및 시장에서의 채택ㆍ확산 과정인 특허활용 단계의 성공으로 완성된다. 특허권 보호강화 정책은 특허보호 대상을 확대하여 특허출원 건수를 증가시키나, 이것이 모두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기술혁신의 달성에 이용되는 것은 아니며, 경쟁사의 이용배제 또는 타사의 특허공격으로부터 대비하기 위한 방어목적 보유 특허의 건수도 증가시킨다. 기술혁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실제 특허기술이 산업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하고, 이러한 특허기술의 활용도 분석에는 ‘실제 산업공정에 적용하고 있는 특허기술의 비율’과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특허권 매매 및 라이선스 비율’ 등이 중요하다. 실질적인 기술혁신 촉진을 도모하는 ‘적정한 특허권 보장’을 위한 특허제도 변화에 대한 논의는 특허 보호의 강화 또는 약화의 이분법적 논의에서 탈피해 특허기술의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에 대한 논의가 더불어 이루어져야 한다. Innovation is the development of new customers value through solutions that meet new needs, inarticulate needs, or old customer and market needs in value adding new ways.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more effective products, processes, services, technologies, or ideas that are readily available to markets, governments, and society. Innovation differs from invention in that innovation refers to the use of a better and, as a result, novel idea or method, whereas invention refers more directly to the creation of the idea or method itself.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patents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three aspects (cre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in the patent system for getting to actual innov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atent use, the rates of the applied patents to a real industrial process and the bargain and license of patent rights should be promoted. For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substantially, there is necessary to escape from dichotomy of weakening or enhancing patent protection in the discussion on the changes of patent system for “Adequate patent guarantees”. Furthermor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nable the use of patent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Recently, open innovation is a new paradigm that assumes that firms can and should use external ideas as well as internal ideas, and internal and external paths to market, as the firms look to advance their technology” or “Innovating with partners by sharing risk and sharing reward.” The boundaries between a firm and its environment have become more permeable; innovations can easily transfer inward and outward. The central idea behind open innovation is that in a world of widely distributed knowledge, companies cannot afford to rely entirely on their own research, but should instead buy or license processes or inventions (i.e. patents) from other companies. In addition, internal inventions not being used in a firm"s business should be taken outside the company. In the era of open innovation, more flexible patent use strategy is essential. It is important that improvements for the legal system in order that patented technology can be applied for products and processes in a real industrial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the firms.

      • KCI등재

        특허권침해 손해배상액 산정의 기초(base): 전체시장가치원칙, 최소판매가능부품원칙 및 기여도배분원칙의 상황별 적용

        정차호 ( Cha Ho Jung ),장태미 ( Tae Mi Jang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2 No.2

        특허권침해소송에서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법원은 먼저 특허권자의 관련 매출 액 및 침해자의 관련 매출액을 특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특허발명이 하나의 제품 중 일부분에만 기여하는 경우 또는 특허발명이 하나의 부품에만 적용되고 그 부품이 다른 부품과 함께 전체제품을 이루는 경우에는 관련 매출액을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 글은 손해배상액 산정의 기초(base)가 되는 매출액의 결정과 관련하여 미국, 일본 및 우리나라의 법리를 비교법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의 관련 법리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관련 매출액의 결정과 관련하여 최소판매가능부품(smallest salable unit)원칙이가장 중요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현행 우리 법원은 일본의 사례를 따라 기여도배분원칙을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기여도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상대적으로 판단이 용이한 최소판매가능부품을 특정하여 이를 기초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하여야 한다. 최소판매가 능부품의 특정을 위하여 실제 시장상황이 고려되어야 하고, 그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는 침해자가 증명을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최소판매가능부품이 전체제품과 기능적 일체성이 있거나 전체제품에 대한 고객의 구매동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전체제품을 기초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할수 있을 것이다. 기능적 일체성, 고객의 구매동기 등에 대하여는 특허권자가 증명을 하여야 한다. 셋째, 특허발명이 전체제품의 일부에만 기여하는 경우 특허발명이 전체제품에 기여하는 정도 즉 기여도(contribution rate)를 산출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하여야 한다. 기여도에 대하여는 피고가 증명을 하여야 한다. 넷째, 특허발명이 최소판매가능부품의 일부에만 기여하는 경우 특허발명이 해당 부품에 기여하는 정도, 즉 기여도를 산출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하여야 한다. 이에 대하여는 피고가 증명을 하여야 한다. Calculating damages in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the court should specify relevant revenues of the patentee and/or the infringer.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contributes to one part of the entire product or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is applied to a component which with other components consists the entire product, it is not an easy task to determine such relevant revenues. With regard to the determination of such revenues as base of damages calculation,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jurisprudence of the U.S.A., Japan and Korea, and under such analysis further suggests the followings as the proper Korean law. First, regarding determination of relevant revenue, the smallest salable unit doctrine must be primarily applied. Current Korean courts, following Japanese precedents, have primarily applied contribution rate apportionment doctrin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ecide contribution rat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determine the smallest salable unit first and then to calculate damages therefrom. For determining the smallest salable unit, actual market situation must be considered and relevant factors must be proved by the infringer. Second, in the case where the smallest salable unit has functional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product or affects consumer demand, the court may calculate damages based on the entire product. Functional relationship and consumer demand must be proved by the patentee. Third, in the case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contributes only one part of the entire product, the court must calculate damages by deciding contribution rate, which means the rate the patented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entire product. The contribution rate must be proved by the infringer. Fourth, in the case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only partially contributes to the smallest salable unit, the court must calculate damages by deciding contribution rate, which means the rate the patented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unit. The contribution rate must be proved by the infringer.

      • KCI등재

        특허권 침해 손해배상액의 선택산정 및 혼합산정 법리

        정차호(Jung, Cha Ho),장태미(Jang, Tae Mi)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연구 Vol.55 No.2

        이 글은 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 산정에 있어서, 특허권자 실제 손해에 상응하는 침해품에 대하여는 일실이익 또는 침해자 이익에 의하여 산정을 하고 나머지 침해품에 대하여는 실시료 상당액에 의하여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 글은 그렇게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하는 방식을 혼합산정(mixed calculation)이라 칭한다. 대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글은 미국, 일본, 중국 및 유럽의 관련 법리를 비교법적으로 분석하였고, 그에 따라 미국 및 일본에서는 혼합산정을 인정하나, 유럽에서는 선택산정만을, 중국에서는 실시료의 증액제도와 함께 선택산정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이 글은 첫째, 침해자에게 이익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특허권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하여 혼합산정 법리를 정식으로 인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며, 둘째, 특허권자의 실시능력과 그 외 판매할 수 없는 사정을 구분하지 않고 혼합산정을 인정하여야 함을 주장하며, 셋째, 특허법 제128조 제1항의 문구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수정하며, 위의 두 사항을 조문에 반영하도록 개정하여야 한다. This paper, in the case of patent damages calculation, examines whether the infringing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patentee’s real loss may be calculated under lost profit theory or infringer’s profit theory and then the remaining infringing products may be calculated under reasonable royalty theory. This paper coins as “mixed calculation” for the calculation method which utilizes two theories (lost profit plus reasonable royalty or infringer’s profit plus reasonable royalty). In order to solve the given issue,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relevant jurisprudence of the U.S.A., Japan, China and Europe, and under such analysis, finds that the U.S.A. and Japan permit mixed calculations, Europe allows only selective calculation, China, allowing only selective calculation, permits enhancement of calculated reasonable royalty.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is paper proposes that: (1) to prevent excessive profit to the infringer and to fairly protect the patent right, mixed calculation must be allowed, (2) mixed calculation must be allowed without differentiating the patentee’s capacity from other reasons from which the patentee could not sell patented products, and (3) to specify said two points and to make Article 128(1) of the Korea Patent Act clearer and more concise, the provision must be a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