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휘 연구와 방언의 역할

        장충덕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role of dialect in vocabulary study. With this aim, first, the study found an area which would help dialect among the study areas of vocabulary theory and further, reviewed which role dialect plays in studying in this area. Finally, the paper took a look into the role of dialect in order to help to study Korean vocabularies. Among the study areas of vocabulary theory, the area in which the role of dialect is emphasized is study into ‘vocabulary data theory’ and ‘vocabulary history’. Studying the collection of vocabulary data and the role of dialect, the study reviewed results concerning the collection of existing vocabulary data, and considered ‘research into local language’ and ‘research into common national language’ which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Also, in study into vocabulary history, diverse vocabulary types which are shown in dialect data plays a crucial role in making up for the insufficient part of data. Finally, as a role of dialect for study into vocabulary, the study asserted the need for constituting data for study into vocabulary for pursuing a consistent dialect research project and fostering the studies of dialect, the unification and summarization of the forms and systems of dialect as well as the indication method of dialect data in order to utilize collected data for study into vocabulary, and the correction of error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previously constituted dialect data. 이 논문은 국어 어휘 연구에 있어서 방언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어휘론의 연구 분야 중에서 방언이나 방언 연구가 도움이 되는 분야를 알아보고, 나아가 이들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방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앞으로 국어 어휘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한 방언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어휘론의 연구 분야 중 방언의 역할이 강조되는 영역은 ‘어휘자료론’과 ‘어휘사’ 연구다. 어휘 자료 수집과 방언의 역할에 대해서는 기존의 어휘 자료 수집에 관한 결과물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인 ‘지역어 조사’와 ‘민족생활어 조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휘사 연구에서는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다양한 어휘적 형태는 문헌 자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방언이 어휘 연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방언 조사 사업의 추진하고 방언 연구자를 양성하여 어휘 연구를 위한 자료를 구축하여야 하며, 수집된 자료를 어휘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 방언 자료의 표기 방식을 비롯한 형식과 체제의 통일하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전에 구축된 방언 자료의 검증 작업을 통하여 오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엉겅퀴’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장충덕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7

        본고는 ‘엉겅퀴’와 관련한 어휘의 형태 변화와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엉겅퀴’ 관련 어휘란 엉겅퀴의 이전 어형이나 방언형 그리고 엉겅퀴를 뜻했을 가능성이 있는 어휘를 모두 이르는 말이다. 본고에서는 ‘엉겅퀴’와 ‘항가새’, ‘조뱅이’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엉겅퀴’를 의미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어형은 15세기에 나타나는 ‘한거?찼?와 ‘조방거?찼?, ‘조방이’이다. 먼저 ‘한거?찼?는 ‘하-[大]+-ㄴ(관형사형 어미)+거??[荊]’로 분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거?찼?는 ‘큰 가시가 있는 식물’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엉겅퀴’의 잎줄기에 큰 가시가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한거??[大]’는 16세기에 ‘항것괴, 항것귀’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항’과 ‘것괴/것귀’로 분석할 수 있다. 17세기에는 ‘항가’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변하여 ‘항가새’가 된다.‘조방거?찼?는 ‘좁-[小]’에 접미사 ‘앙’이 결합한 ‘조방’에 ‘거??[荊]’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후 ‘조방거?찼?는 ‘조방가’로 되었다가 ‘조방가새’로 변한다. 그리고 ‘조방이’는 어간 ‘좁-[小]’에 접미사 ‘-앙이’이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조방거?찼?나 ‘조방이’는 ‘가시가 작은 식물’ 또는 ‘가시가 있는 작은 식물’로 볼 수 있다. 엉겅퀴’는 ≪譯語類解≫(1690)에 ‘엉것귀’로 처음 나타난다. ‘엉것귀’는 ‘엉’과 ‘것귀’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전 어형인 ‘항것귀’와 관련이 있다. ‘항것귀’에서 어두의 ‘ㅎ’이 변하여 ‘엉것귀’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흔치 않은 현상이지만 방언형 중에 표준어와 ‘ㅎ’ : ‘ø’의 대응이 되는 어휘들의 예를 통해서 ‘항>엉’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엉것귀’는 19세기 이후 문헌에서는 ‘엉겅퀴’로 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KCI등재

        鄭昊昇 시집 『모밀꽃』에 나타난 충북 방언

        장충덕 한국방언학회 2023 방언학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Momil-kkot(Buckwheat Flower)”, the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Jeong Ho-seung, a poet that went to North Korea, and to reveal that those characteristics reflect the Chungbuk dialect of the time. Poet Jeong Ho-seung was born in Chungju and spent most of his time there. Most of his works have the rural area as the background. In his hometown, the poet wrote many works that reveal local lyricism and social reality. Therefore, the elements of the Chungbuk dialect that he was familiar with appear everywhere in them. As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er looked into the elements that appear often in the Chungbuk dialect such as vowel raising, vowel fronting, the umlaut, and vowel harmony. Among the cases of vowel raising, the change in ‘eo>eu(어>으)’ is noticeable, and the change in ‘o>u (오>우)’ is observed in some words.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e>i (에>이)’ or ‘yeo>yeu(여>)’ of which examples are often found in the Chungbuk dialect. Although there are not many examples of vowel fronting, in some words, it is realized not just in the inside of morphemes but in the boundary of them. The umlaut that is frequently found in the Chungbuk dialect is also often observed in Jeong Ho-seung’s poems, too; however, not the one appearing in the boundary of morphemes but the one that occurs in the inside of them is found. Regarding vowel harmony,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vowels found when the ending is combined with the stem, and as in the Chungbuk dialect, the poems show the combination of ‘-eo(어)’ family vowels. In terms of vocabulary, a variety of dialect vocabulary on daily life, nature, or animals and plants are used in them, and in particular, many words appearing in them maintain their old form. 이 논문은 월북시인 정호승의 시집 『모밀꽃』에 반영된 언어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이 당시의 충북 방언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호승 시인은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대부분의 시간을충주에서 보냈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인은고향에서 향토적 서정성과 사회적 현실성이 드러나는 작품을 많이 썼다. 그러는 가운데 그가 익숙하게 사용하던 충북 방언의 요소가 곳곳에 나타나고있다. 시어에 나타나는 음운적인 특징으로 충북 방언에서 활발하게 일어나고있는 고모음화,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모음조화 등을 살펴보았다. 고모음화는 ‘어>으’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오>우’의 변화가 일부단어에서 보였다. 그러나 충북 방언에서 많은 예를 보이는 ‘에>이’의 변화나‘여>’의 고모음화는 찾을 수 없었다. 전설모음화도 예가 많지는 않지만 몇몇 단어를 통해 형태소 내부뿐만 아니라 형태소 경계에서도 실현되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충북 방언에서 활발하게 실현되는 움라우트 현상은 정호승 시에서도 두루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음조화는 어간에 어미가 결합할 때나타나는 모음의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시에서도 충북 방언과 마찬가지로‘-어’ 계열의 모음이 연결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어휘적인 측면에서는 일상생활, 자연, 동식물 등 다양한 방언 어휘가 쓰이고 있으며, 특히 고형을 유지하고 있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청주지역어 체언 어간말 자음 교체의 사회적 변이

        장충덕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variation of consonant alternation at noun stem-finals in the Cheongju dialect. In case of nouns that ends with ‘ㅊ’, for speakers aged over 40, [ㅅ] and [ㅊ] appeared similarly but for speakers aged younger than 30, [ㅊ] appeared a lot mor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is consonant sound. For nouns that end with ‘ㅌ’, [ㅅ] sound was used a lot among speakers over 40 and [ㅊ] was used more frequently among speakers in their 20s. As for the gender differences, in all age groups, the proportion of men i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women. Nouns that end with ‘ㅋ’ were predominantly pronounced as [ㄱ] in all age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has shown a similar pattern is repeated for each age group and superiority. Nouns that end with ‘ㅍ’ was switched to [ㅂ] at a high frequency in all age groups. As for gender differences in this ‘ㅍ’ sound switch, women in their 20-40s showed higher switch rate compared to men of the same age group, and men in their 50s had higher switch rate than women of the same age group. As a result of a chi-squared test to see if the difference in pronunciation switch rat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four consonants, the switch rate of the stem-finals was different depending on age groups. In contras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hich was performed on different genders to verify the rate of consonant alternation to restructuring, revealed the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in all four consonants. 이 논문은 청주지역어를 대상으로 체언 어간말에 오는 유기음 ‘ㅊ’, ‘ㅌ’, ‘ㅋ’, ‘ㅍ’의 자음 교체 현상에 대한 사회적 변이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ㅊ’ 말음 명사 ‘꽃’은 40대 이상에서는 [ㅅ]과 [ㅊ]이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30대 이하에서는 [ㅊ]이 훨씬 높게 나타난다. 남녀 간 차이는 거의 없다. ‘ㅌ’ 말음 명사 ‘솥’은 40대 이상에서는 [ㅅ]이 높게 나타나고, 20대에서는 [ㅊ] 이 높게 나타난다. 남녀 간 차이는 전 연령층에서는 남성의 실현율이 여성보다높게 나타나고 있다. ‘ㅋ’ 말음 명사 ‘부엌’은 전 연령층에서 [ㄱ]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남녀 간 차이는 연령층별로 우열이 반복하면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있다. ‘ㅍ’ 말음 명사 ‘무릎’도 전 연령층에서 [ㅂ]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남녀간 차이는 20-40대의 경우에는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50대 이후에서는남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각 단어의 실현율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네 단어 모두 어간말음의 실현율이 세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남녀 간 교체 실현율 차이를 검정하기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네 단어 모두 받침 발음 실현이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남사당패의 은어에 대하여

        장충덕 한국어의미학회 2009 한국어 의미학 Vol.28 No.-

        Jang Chung-deok. 2009. A Study on the jargon of Namsadang. Korean Semantics, 2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jargon which the members of Namsadang, a traveling company, use and to study its characteristics. Originally, Namsadang was an spontaneously created organization in the common people in later of 19th century, and its members lead unique, stringent community live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s. As ways for protecting their organizations from others and maintaining their secrets, they used their own language, through which they strengthened the unity more firmly and were able to keep the secrets of their organizations. In this paper, we took the inheritors of Namsadang's play as subjects of investigation and personally looked into 250 jargon words which they used. Also, we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coinage patterns of these words, and tried to explain their origins as far as possible. Up to now, the arts of Namsadang's play have been inherited, but the words which the members of Namsadang used haven't been inherited. It is natural that words can be inherited from one generation to next generations only if they are used in daily community lives. Nonetheless, because a great number of these jargon words are rarely used, they are in the face of disappearance. For the present, a lot of jargon words of Namsadang simply depend on the memories of its elder members. Because of these difficulties, we cannot include many exemplary jargon words in the survey. In many cases, they are different from those in documentary materials. Even a certain word is not register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its meaning is incorrectly interpreted. In conclusion, jargon is a group of words which are used by specific groups or classes in itself. However, as it is a part of Korean Language, it should b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and recorded before it completely vanis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