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고리즘과 플랫폼노동자 수입에 관한 연구 :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강제성을 중심으로

        장진희(Jang, Jinhee) 한국노동연구원 2023 노동정책연구 Vol.23 No.4

        최근 플랫폼을 향한 사용자성 압력이 높아지는 가운데, 플랫폼의 이윤을 극대화하고 노동자 통제를 표면에 드러나지 않도록 만드는 알고리즘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플랫폼은 알고리즘이 노동자의 생산성을 높여 수입을 증대시킬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알고리즘의 통제를 따르면 오히려 수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무엇보다 알고리즘은 노동자의 생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노동자는 알고리즘 작동원리에 대해 전혀 설명받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에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노동자 통제가 플랫폼노동자의 수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알고리즘 투명성의 중요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알고리즘 강제배정(AI 배정)이 도입된 플랫폼 기반의 음식배달, 대리운전, 택시, 가사에 종사하는 노동자 600명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도구변수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향후 플랫폼의 독과점은 더욱 견고해질 가능성이 관찰되었고, 알고리즘이 일방적으로 노동자의 가격분포나 기회분포를 결정하면 수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업배분 과정이 투명한 경우 수입은 높아졌다. 즉 플랫폼 알고리즘은 플랫폼노동자의 노동강도를 높이고, 노동자를 통제하는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플랫폼 알고리즘으로부터 설명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알고리즘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In the midst of the recent increase in the accountability of platform companies as employe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lgorithms that maximize profits and hide control over workers on the income of platform workers. In particular, the reality is that workers do not receive any explanation from the platform about the algorithms that determine their livelihood. In this regard, we trie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algorithmic transparency by identifying the transparency of algorithms and the effect of control over workers on the income of platform workers. For the analysis, data from a fact-finding survey of 600 workers engaged in food delivery, chauffeur service, taxi, and housekeeping based on a platform where forced AI assignment was introduced were used. The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strument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come decreases when the algorithm unilaterally determines the workers price distribution or opportunity spectrum.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sk allocation process was transparent, workers’ income increased. In other words, it turns out that the platform algorithm is nothing more than a means to increase the labor intensity of platform workers and control them. Accordingly, policy tasks for guaranteeing the rights of platform workers to receive explanations about the algorithm from the platform and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algorithm were proposed.

      • KCI등재

        서울시 청년여성 1인가구의 일상생활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사회적 관계망과 주거특성을 중심으로

        장진희(Jinhee Jang)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2 이화젠더법학 Vol.14 No.1

        본 연구는 세대별 1인가구 중 안전에 가장 민감하고 취약한 집단으로 분류되는 청년여성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일상생활 불안감에 영향을 주는 여러 환경적 요인 중에서도 사회적 관계망과 주거특성에 주목하였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혈연관계인 부모, 형제・자매뿐만 아니라 비혈연관계인 친구와의 관계망까지도 포함하였다. 이를 측정함에 있어서 양적인 측면으로는 직・간접 만남빈도를, 질적인 측면은 위해 고민상담이 가능한 친구의 수를 활용하였다. 주거특성으로는 주거형태와 더불어 주거지의 층수를 고려하였고, 인구학적 특성과 함께 안전교육 경험여부, 신체적 건강상태, 1인가구로서의 만족도 등의 요인도 모형에 투입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실시된 서울시 청년여성 1인가구 실태조사 횡단면 자료를 활용하여 순위형 로짓분석 및 한계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부모, 친구와의 직・간접만남과 고민상담 가능한 친구의 수가 증가할수록 일상생활에서의 불안감은 감소하였다. 반면, 주거형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주거지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일상생활에서의 불안감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안전교육 경험이 있고, 신체적 건강활동 빈도 및 1인가구로서의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불안감을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외부로부터의 침입이 용이한 주거환경을 지닌 청년여성 1인가구의 우선적 안전지원 필요성과 사회적 관계망 지원 프로그램의 마련 및 확충, 기존 사회적 관계망의 질적 향상지원, 신체건강 자조모임 지원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anxiety in daily life, by targeting young single-female household, classified as the group who are sensitive and vulnerable to safety among various single-person households. Particularly, I focused on the social network and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ut of many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on anxiety in daily life. In the study, the social network includes non-blood relationship such as friends as well as blood relationship such as parents or siblings. To measure it, I used the frequency of direct/indirect meeting in terms of quantity and the number of friends able to offer a counsel of trouble in terms of quality. In terms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I considered the type and the number of stories of residence and also added the factors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afety education(experienced or not), physical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as one-person household – on the model. For the process, I used the cross-section data from ‘Research on the Status of Young Single-Female’ by Seoul City on 2016, analyzed ordered logit model, and estimated the marginal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frequency of direct/indirect meeting with parents or friends and the number of friends able to offer a counsel of trouble increased, anxiety in daily life decreased.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type of residence,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number of stories in residence went higher, anxiety in daily life decreased. I also found several factors that decreased anxiety – experience in safety education, high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and high satisfaction as a single-person household.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referential safety support for young single-female household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asy to be invaded by outsiders, preparation and expansion of the support program for the social network, supporting to strengthen the existing social networks, and supporting the self-help groups for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 KCI등재

        성별다양성과 성별임금격차가 기업의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장진희(Jinhee J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여성연구 Vol.11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매출액과 유형자산, 무형자산을 활용하여 기업의 생산효율성을 추정한 후, 추정된 생산효율성에 성별다양성과 성별임금격차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의 여성비중, 기업 내 노동자 중 여성비중, 남성임금대비 여성임금, 남녀노동자의 근속연수를 포함하였다. 분석자료는 2020년 기준 매출액 상위50개 기업을 식별하고, 각 기업의 연차보고서를 통해 2016~2020년까지 5년간의 자료를 불균형패널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확률적 프론티어 분석을 통해 기업의 생산효율성을 추정한 후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의 여성비중, 여성노동자의 비중이 높을수록 기업의 생산효율성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성별임금격차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일부모형에서 성별임금격차가 기업의 생산효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기업의 자발적 ESG경영의 필요성,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개선, 자본시장법의 개정, 남녀고용평등법내 기업의 여성인력 활용계획수립 의무화, 성평등 임금공시제의 적극적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estimate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enterprises, aiming at the top 50 enterprises in sales in South Korea, by using sales figures and tangible/intangible assets of them, and then analyzed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and gender wage gap that influence on the estimated production efficiency. For the analysis, I dealt with several factors as follows – the proportion of females within the number of registered/non-registered executives, the proportion of females within the number of employees in the enterprises, wages of females comparing with that of males, and length of service of male/female employees. In the analysis data I identified the top 50 enterprisese in sales in 2020 and established the data for 5 years (2016-2020) as unbalanced panel through the annual reports, and then estimated the product efficiency of the enterprises through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and conducted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females within the number of registered/non-registered executives and employees in the enterprises was, the better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enterprises was. In terms of gender wage gap,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t revealed that the gap has a negative effects on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enterprises in some models. Therefore, I suggested some countermeasures as follows: activ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measures, amendment of the Capital Markets Act, and active introduction of the wage disclosure system.

      • 샤시 통합 제어 시스템의 동계 시험 결과 및 방향

        장진희(Jinhee Jang),김형수(Hyungsoo Kim),이준희(Junhee Lee),구본경(Bon-Gyeong K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paper, some results of the winter test for the unified chassis control(UCC) system have been presented. In the UCC system, 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PS(Electric Power Steering), and Continuously Damping Control(CDC) are included. The winter test has been conducted at Heihe in China. Before the UCC system test, each independent system performance check has been done. And then, the UCC system has been checked and evaluated compared to each independent system. The main reason for the test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UCC system's usefulness compared to the separated system. For the customer requirement, UCC maker have to show the difference and value added functions to the customers. Main focus on the test is concentrated into safety and stability aspect of the vehicle and driver. For the tuning ability of the control systems, the fast and correct changing ability was the key assessment point. During the test, we found the some concerns and changed calibration for the compensation, immediately.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there were some of understeer issues, but, it has been solved with some calibration changes. For the usefulness of the systems, several candidate test modes have been proposed and checked. Finally, we could suggest that the test modes in this paper are helpful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Additionally, we trie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other chassis control system with some proto samples and systems. We could identify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hassis control system with the addition of other sub-systems like AFS and AWD into UCC domain.

      • KCI등재

        플랫폼이동노동자의 공제회 가입의향에 관한 실증분석

        장진희(Jang, Jinhee) 한국노동연구원 2022 노동정책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플랫폼이동노동자를 대상으로 사용종속적이고 저임금․장시간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비자발적 실업경험, 노무제공 과정에서의 사고상해 및 질병경험, 노후대비정도 등 사회보험의 취약성이 공제회 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플랫폼이동노동자의 열악하고 지배종속적인 노동환경을 대변하기 위한 집단적 목소리와 사회보험의 필요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9년 한국노총 플랫폼노동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고 순위형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계효과를 산출하여 공제회 가입의 주된 요인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노무제공 과정에서의 업무지시, 관리․감독을 받거나, 서비스 가격결정권이 플랫폼에 있는 경우, 즉 경제적으로 종속된 경우의 공제회 가입의향이 높았다. 또한 비자발적 실업을 경험하거나,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공제회의 필요성이 높았다. 이에 향후 설립을 앞둔 플랫폼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제회에서는 전국민고용보험과 보완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실업공제 사업뿐만 아니라 이해대변의 역할도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that each of the following factors - dependent, low-wage and long-hour work environment; involuntary termination; experience of workplace injury and disease; vulner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surance, such as inadequate old-age preparation - had on the willingness of the rapidly increasing platform workers to join the Mutual Aid Associ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core the necessity of a collective voice and social insurance in order to advocate for the platform workers who find themselves in poor and dominant-dependent work environments. The data from the 2019 Study on the Platform Workers Environment by the FKTU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an ordered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if, in the course of providing labor, workers were subject to workplace guidance, management and supervision and if the service charge was determined by the platform- in other words, in case of economic dependency - more workers were willing to join the association. Likewise, experience of involuntary termination and lower wage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necessity for association membership. In this regard, the Mutual Aid Association, which targets platform workers, focused on unemployment deduction that can have a compli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employment insurance, while also suggesting that necessity of the role of interest re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