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핸드폰 압수ㆍ수색영장으로 행한 클라우드 압수ㆍ수색의 타당성 - 대법원 2022도8203 사건을 중심으로

        장진환 한국형사법학회 2023 刑事法硏究 Vol.35 No.1

        Digital evidence, unlike traditional physical evidence, does not have a physical form and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Accordingly, to collect digital evidence related to the criminal charges specified in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the investigative authority must examine data storage devices in which digital evidence is stored and identify and select crime-related information. The problem is that in this process, the investigative authority inevitably looks into private information stored in such devices that is irrelevant to the crime. There is a risk that the information examined in the process may be used as evidence in a different case, and obtaining such information amounts to a serious invasion of privacy. The methods of and legal principles on the search and seizure of traditional physical evidence cannot be used as is for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and thus new regulations, legal theories and court decision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are necessary. In this regard, questions have arisen recently concerning the investigative authority’s search and seizure of the cloud account linked to a mobile phone, including (i) whether a warrant for the cloud account is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warrant for the mobile phone, and (ii) if a separate warrant for the cloud account is required, whether information regarding authorization to access the account, such as username and password, must also be specified in the warrant as the articles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that is, whether the cloud account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must be specifically identified. The cloud account to be searched and seized should be specified in a separate search and seizure warrant for the cloud account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is does not put an end to concerns about possible infringement on personal information. If the investigative authority specifies all individual cloud accounts in its request for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and have such warrant issued by a court, the authority will ultimately be able to search and seize all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ose cloud accounts. Therefore, the issue comes down to determining the scope of a search and seizure warrant for digital evidence, that is to say, determining the evidence’s relevance to the crime concerned. In this regard, the court has recently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an in-person deliberation system under which a judge can summon face-to-face meetings with related parties to decide whether to issue a warrant, and the reinforcement of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e issuance of a warrant using keywords. The court’s effort to establish a harmonious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investigative authority and suspects by strengthening preliminary examination for warrant issuance, which has been conducted in a rather perfunctory manner, is reasonable. However, the validity of the specific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the proposed measures presented by the court should be reviewed, because a lack of validity means that the purpose of the court’s proposal was only to ensure that it arbitrarily exercise the power that the investigative authority once exercised in the past. Consequently, an in-depth review of these requirements is needed. 디지털 증거는 기존의 유체물 증거와 달리 그 내용이 육안으로 파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사기관은 압수ㆍ수색영장에 기재된 범죄혐의와 관련된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지털증거가 저장된 정보저장매체를 대상으로 범죄관련 정보를 탐색ㆍ선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수사기관이 정보저장매체에 담긴 범죄와 무관한 사생활에 관련된 정보도 필연적으로 들여다보게 된다는점이다. 이렇게 탐색된 정보는 추후 별건수사의 증거로 활용될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매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과 관련하여서는 종래 유체물에 대한 압수ㆍ수색 방식 및 법리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고, 디지털 증거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법률 규정, 이론 및 판례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최근 수사기관이 핸드폰(컴퓨터)과 연동된 클라우드 정보를 압수ㆍ수색할 경우, ① 핸드폰에 대한 영장과 별도로 클라우드에 대한 영장이 필요한지와, ② 만약 클라우드에 대한 추가 영장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클라우드 계정에 대한 로그인정보 및 접속방법과 관련해 압수ㆍ수색영장에 어느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야하는지가 문제가 되고 있다. 클라우드에 대한 추가영장 및 영장에서의 개별 클라우드계정에 대한 특정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더라도 개인정보보호 침해의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즉, 수사기관이 처음부터 모든 아이디와 집행유형에 대해 압수ㆍ수색 영장에 기재하여 청구해 버리면, 결국은 개인정보 모두에 대해 탐색하는 것과 다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결국디지털 증거 압수ㆍ수색영장의 범위확정, 즉 범죄사실과의 관련성 확정 문제로 귀결된다. 최근 법원은 법관의 대면심리 수단 도입과 검색어 등을 이용한 사전심사강화를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절차의 강화를 통해 자칫 형식적인 심사틀에 불과할 수 있는압수ㆍ수색영장 심사를 재고하여 적극적으로 수사기관과 피의자 사이의 조화로운 힘의 균형을 설정하려는 법원의 노력은 타당하다. 그러나 문제는 법원이 제시한 구체적기준의 타당성이다. 이러한 부분이 실효성이 없으면, 법원의 제안은 과거에 수사기관이 행사하던 권력을 이제는 법원이 자의적으로 행사하겠다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검토 결과 법원의 제안은 절차를 강화하고 관련성을 확정하는 판단 요소들을 절차적인 측면에서 더욱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실무현실과 비교해 진보한 형태이므로, 일단 이를 토대로 운영해가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해가는 방향이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

        Exploring Smoothing Techniques for Reliable Travel-Time Information in Probe-Based Systems

        장진환,Jang, Jinhw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2018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7 No.1

        하이패스 단말기의 확대 보급에 따라 DSRC 교통정보시스템이 지방부 도로를 중심으로 확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부 도로의 경우 고속도로와 달리 단말기 장착차량이 많지 않아 프로브 표본수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프로브 통행시간은 적은 샘플수로 인해 많은 변동이 발생하고 이는 교통정보 오차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부족한 샘플수로 인해 발생하는 통행시간 단기변동을 완화하여 신뢰성 있는 교통정보를 수집 제공하기 위해 프로브 통행시간 데이터에 이동평균, Loess, Savitzky-Golay 등 평활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낮은 샘플링(5%) 환경에서 통행시간 오차가 원시자료에 비해 45%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프로브 기반 교통정보시스템에 적용되어 교통정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5.8 GHz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DSRC) technology, DSRC-based travel-time collection systems have been deployed on major urban and rural arterial routes in Korea. However, since probe sample sizes are frequently insufficient in probe-based systems, the gathered travel times from probe vehicles fluctuat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population; 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collected travel times could decrease. To mitigate the fluctuations (also known as biases), smoothing techniques need to be applied. In this study, some smoothing techniques-moving average, the Loess, and Savitzky-Golay filtering-were applied to probe travel times. Resultantly, the error in the smoothed travel times at the lowest sampling plan (5%) decreased as much as 45% compared to those in non-smoothed travel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probe-based travel-time estimation systems for providing reliable travel times along the travel corridor.

      • AVI 자료를 이용한 동적 통행시간 예측

        장진환(Jang, Jin-Hwan),백남철,김성현(Kim, Sung-Hyun),변상철(Byeon, Sang-Cheol)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본 논문은 일반국도 실시간 통행시간 정보제공을 위한 동적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했다. 교통 정보 제공을 위한 통행시간 예측에 관한 기존의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 단속류 일반국 도에 대한 통행시간 예측모형은 없었다. 신뢰성 있는 통행시간 예측을 위해 현재 일반국도 1호선에 약 10km 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2지점의 AVI자료를 이용했고, 통행시간 참값을 위해 프로브차량 을 이용해 수집한 기준값을 이용하여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평가했다. 본 논문에 사용된 일반국도 1 호선 구간은 잦은 유출․입 지점과 오산시내를 통과함으로 인해 많은 이상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이러한 이상치를 제거하기 위해 장진환이 제안한 이상치 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했고, 칼만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행시간을 예측했다. 수집주기를 달리하여 통행시간을 예측모형을 평 가한 결과 5분, 10분, 15분 수집주기에 대해서는 MARE가 0.061∼0.066로 비슷하게 나왔고, 30분 수 집주기는 0.078로 나와 다소 높은 오차율을 나타냈다.

      • KCI등재

        차량 속도별 영상검지기 성능분석

        장진환,박창수,백남철,이미영 대한교통학회 2005 大韓交通學會誌 Vol.23 No.5

        This paper not only tests VIDS(Video Image Detection System) performance by vehicle speed group but also suggests optimal VIDS height considering road and cost condition. The VIDS spreads over freeway and national highwa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s a result, speed data accuracy drops form 50kph vehicle speed and volume and occupancy data accuracy drop from 30kph. Lowest speed data accuracy is only 88%, but volume and occupancy accuracy are 75% and 77% respectively. The reason VIDS data accuracy drop by vehicle speed is gap distance decrease between vehicl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17m~20m for optimal VIDS height considering road and cost condition. 분 논문은 현재 고속국도와 일반국도 ITS를 위한 핵심 검지장비인 영상검지기에 대한 성능이 차량의 속도그룹별로 분석했고, 통과차량의 속도저하에 의한 검지자료의 부정확성의 원인을 규명한 후,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속도 자료의 경우에는 차량의 통과속도가 50kph 이하로 떨어질 때부터 성능이 저하되고, 교통량과 점유율의 경우에는 30kph 이하일 때부터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속도의 경우에는 최저 성능그룹의 정확도가 88%였으나, 교통량과 점유율의 경우에는 각각 75%와 7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속도 정확도가 크게 감소했다. 통과차량의 속도저하에 의해 영상검지기 자료가 부정확한 이유는 속도가 감소할 경우 차간거리가 감소하여 영상검지기가 연속한 두 차량을 구별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상검지기의 이러한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최적 설치높이는 현실적인 여건을 감안하여 17m~21m로 제안했다.

      • KCI등재

        Analysis of Time Headway Distribution on Suburban Arterial

        장진환 대한토목학회 201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6 No.4

        Vehicular time headway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in traffic engineering. For any traffic simulation to effectively address traffic problems, accurate vehicle generation is essential. Previous researches on this subject have focused solely on the stochastic modeling of uninterrupted facilities. Ye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nterrupted facilities such as suburban arterials. This paper proposes theoretical headway models for a suburban arterial. Using a traffic detector based on laser sensors, a large amount of accurate headway data were obtained in Korea. To analyze the data according to different states of traffic flow, the headway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low groups. Subsequent runs tests for each headway group rejected the randomness assumption for the lowest flow (5-9 veh/min). Therefore, theoretical modeling was performed only for the four remaining flows (10-14, 15-19, 20-24, and 25-29 veh/min). The Johnson SB model achieved the best fit for a flow of 10-14 veh/min, whereas the Johnson SU model provided the best fits for the three other flows. The Log-Logistic and Log-normal models were also accepted for high flows. In addition to analyses on statistics of the collected headw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tted model revealed that the headway has somewhat different features, compared to those of uninterrupted facilities. This paper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eadway for interrupted facilities and constitutes a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a descriptively accurate simulation model for signalized ar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