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layed Treatment of Foot Compartment Syndrom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장지훈,최영,Jang, Jihoon,Choi, Young Korean FootAnkle Society 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5 No.1

        Acute compartment syndrome occurs when pressure increases within closed compartments due to injuries causing soft tissue damage. Delayed treatment can lead to undesirable consequences. This paper reports a three-year-old patient in whom a fasciotomy was performed successfully despite the potential side effects. Fasciotomy may be considered when the diagnosis and clinical symptoms of delayed compartment syndrome are clear.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three-year-old patient would undergo a relatively smooth recovery compared to elderly patients of advanced age. Because the dorsalis pedis artery pulse was palpable, an emergency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to restore the damaged tissues and prevent further necrosis. The patient has shown a satisfactory recovery.

      •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Combustion and Emissions in an HRSG System

        장지훈,한가람,박호영,이욱륜,허강열,Jang, Jihoon,Han, Karam,Park, Hoyoung,Lee, Wook-Ryun,Huh, Kangyul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19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5 No.2

        The combined cycle plant is an integration of gas turbine and steam turbine, combining the advantages of both cycles. It recovers the heat energy from gas turbine exhaust to use it to generate steam. The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plays a crucial role in combined cycle plants, providing the link between the gas turbine and the steam turbine. Simul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HRSG is required to study its effect on the entire cycle and system.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has potential to become a useful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HRSG. In this study a solver has been implemented in the open source code, OpenFOAM, for combustion simulation in the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The solver is based on the steady laminar flamelet model to simulate detailed chemical reaction mechanism. Thereafter, the solver is used for simulation of HRSG system. Three cases with varying fuel injections and gas turbine exhaust gas flow rates were simula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measurements at the system outlet. Predicted temperature and emissions and those from measurements showed the same trend and in quantitative agreement.

      • KCI등재

        눈물점 마개 사용 후 발생한 합병증의 치험 증례

        장지훈,채종근,김병진,이하범.Ji-Hoon Jang. M.D.. Jong-Keun Chae. M.D.. Byoung-Jin Kim. M.D.. Ha-Bum Lee. M.D.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3

        Purpose: To report cases of complications after using punctual plugs wit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tudied 3 complicated cases after the use of punctual plugs: a 46-year-old female with recurrent mucopurulent discharge, a 42-year-old male with a pinkish mass over the punctum, and a 29-year-old female with recurrent epiphora. Results: The 46-year-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canaliculitis caused by actinomyces, the 42-year-old male with chronic pyogenic granuloma, and the 29-year-old female with canalicular obstruction. All 3 cases improved after proper treatments. Conclusions: Complications after the use of punctal plugs are not common but they can be significant. They have to be used carefully after through evaluation and obtained proper informed consents from the patient.

      • KCI등재

        임플란트 고정체의 의원성 동요 후 골 유착 반응에 관한 연구

        장지훈,조진현,이청희,Jang, Ji-Hoon,Cho, Jin-Hyun,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3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유착된 임플란트에 인위적 비틀림을 가한 후 골 유착이 다시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나지 않는지, 일어난다면 이전의 골유착보다 강화되는지, 약화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 (commercial pure titanium 99%)으로 직경 3.75 mm, 길이 4 mm의 표면처리 없는 실험용 임플란트를 제작하였다. 3.0 kg이상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컷 토끼 7마리의 좌우 경골에 제작한 임플란트를 2개씩 식립 후, 6주의 골유착 유도 기간 부여 후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경우를 I군으로, 다시 임플란트 고정체를 재위치시키고 봉합하여 4주간의 치유기간을 더 두고 측정한 경우를 II군으로 분류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조직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1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1마리의 토끼를 희생시키고, 2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2마리의 토끼를 희생시켜 각각 4개, 7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 (${\times}20$) 분석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Bone-Implant contact, BIC, %)비율과 치밀골 부위에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나사산 수를 측정하여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비율을 측정하였다. 비틀림 제거력과 BIC및 CBa비율에서의 I군과 II군의 통계적 유의성 ($\alpha$=.05)을 평가하였다. 결과: 비틀림 제거력 측정에서 I군은 $10.8{\pm}3.6$ NCm로 측정되었으며, II군은 $20.2{\pm}9.7$ NCm로 측정되었으며, I군보다II군의 비틀림 제거력이 평균 98.1% 증가되었다 (P<.05). 조직 형태학적 분석에서 BIC와 CBa 비율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P>.05), RT/BIC와 RT/CBa 값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원성 비틀림 동요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 골유착을 얻기 위해 필요로 했던 치유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이전보다 견고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osseointegration of the implants that had mechanical unscrewing possibly occurred or not. Furthermore, if it happened, the degree of re-osseointegra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previous osseointeg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mooth implant (commercial pure titanium 99%) specimens, whose diameter and length was 3.75 mm, 4 mm, respectively were produced. Two implants were inserted into each tibia of 7 New Zealand female white rabbits weighing at least 3.0 kg. The torque removal force for each implant after 6 weeks of implants placement was measured and included in group I. The torque removal forces were assessed after the fixtures were re-screwed to original position and the subjects were allowed to have 4 more weeks for healing and included in group II. One rabbit was sacrificed after first measurement and produced 4 slide specimens in group I, and two rabbits were sacrificed after 2nd measurement, 7 slide specimens, in group II for histomorphologic investigations. All slide specimens were assess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BIC (bone-implant contact) as well as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 value produced by counting the screw threads embedded in the compact bones under the optical microscopic analysis (${\times}2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rque removal force, BIC and CBa between group I and II. Results: As for the torque removal force, the result was $10.8{\pm}3.6$ Ncm for group I and $20.2{\pm}9.7$ Ncm for group II. Furthermore, the torque removal force of group II increased by 98.1% in average compared to group I (P<.05). On the other hand, histomorphologic analysis display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IC and CBa values between group I and the group II (P>.05), and RT/BIC and RT/CBa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substantial re-osseointegration within shorter periods than the period needed for the initial osseointegration in case of iatrogenically unscrewed implants.

      • 단열배관의 온라인 두께측정시스템 개발

        장지훈,김병주,조경식,김기동,Jang, Ji-Hun,Kim, Byeong-Ju,Jo, Gyeong-Sik,Kim, Gi-Dong 한국기계연구원 2002 硏究論文集 Vol.32 No.-

        The intensity of x-ray or gamma-ray is attenuated according to density and thickness of the transmitted medium. In this study, by using this principle, on-line real-time radiometric system was developed using a 128 channels linear array of solid state detectors to measure wall thickness of insulated piping system. This system uses a Ir-192 as a gamma ray source and detector is composed of BGO scintillator and photodiode. Ir-192 gamma ray source and linear detector array mounted on a computer controlled robotic crawler. The Ir-192 gamma ray sour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iping components and the detector array on the other side. The individual detectors of the detector array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gamma rays after passing through the walls and the insulation of the piping component under measurement. The output of the detector array is amplified by amplifier and transmitted to the computer. This system collects and analyses the data from the detector array in real-time. The maximum measurable length of pipe is 120cm/mm. in the case of 1mm scanning interval.

      • KCI등재

        한글 서예의 미학 - 서체미를 중심으로 -

        장지훈,張志熏(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은 서예와 만나면서 풍부하고 다양한 서체와 미감을 형성해왔다. 다만 전통의 한글 서예는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왔는가에 대해서는 인식하기 용이하나, 어떠한 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쉽지 않다. 때문에 한글 서예의 미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자 서예의 예술적 특징을 한글 서예에서도 발견하고, 이를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글 서예를 전통의 서법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한글 서예의 서체는 대략 고체 ․ 정자체 ․ 흘림체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는 자형이 좌우대칭과 정사각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체로 단정하고 근엄하여 경건(勁健)의 미를 느낄 수 있다. 획의 굵기 변화는 미세하나, 예서와 해서가 혼합된 남조의 해서풍처럼 기필과 수필의 방필(方筆)이 두드러지며, 대체로 금석의 졸박한 기운이 서려있다. 정자체는 전반적으로 평정한 결구와 안정적인 필세가 특징적이다. 판본의 고체가 필사화 되어가면서 고체에 비해 자형이 세련 되고 필획의 유연함이 두드러지며, 직선적인 필획과 방정한 자형의 정제된 글꼴 속에서도 맑고 담백한 운치를 느끼게 한다. 흘림체는 서간이나 가사 등의 경우, 정자체의 기본 자형을 바탕으로 때로는 거칠고 강렬한 필획을 가미하고 필속을 경쾌하 게 하여 절주(節奏)의 미가 강하다. 반면, 궁서의 경우 곡선적인 섬세한 필획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수려하면서도 정제된 멋이 깃들어 있다. 한글은 한자에 비해 비록 문자의 구조와 글꼴은 단순하지만, 한자 서예가 지닌 다양한 서체의 미학이 한글 서예에도 내재되어 있다. 특히 한글 서예는 특정 서체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섬세하고 우아한 격조에서부터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생동감은 물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운치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자연친화적인 정서와 심미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 보온재 부착 파이프라인의 부식두께 측정에 관한 연구

        장지훈,조경식,이종오,김기동,Jang, Ji-Hun,Jo, Gyeong-Sik,Lee, Jong-O,Kim, Gi-Dong 한국기계연구원 2001 硏究論文集 Vol.31 No.-

        The wall-thickness of insulated pipelines can be easily evaluated by measuring the gamma-ray transmission intensity because this intensit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insulated pipelin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ondestructive and filmless on-line inspection system of corrosion by measuring the wall thickness of insulated pipeline. The inspection system is constructed with radioisotope, 64 channel photo diode array detector, crawler system and data taking and operating software. The traditional off-line radiographic method carried out by exposing film cassettes can be replaced by this cost-effective on-line digital imaging method and the application will be greatly expected especially in the chemical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 KCI등재

        韩国关于《说文解字》研究现状及《说文解字》<叙>的书法美学

        장지훈(Jang Ji-hoon)(張志熏),김혜란(Kim Hye-ran)(金惠蘭)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Written by HuShen(許愼) of the Eastern Han Dynasty, Shuowenjiezi(說文解字) is the first Chinese poem to giv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meaning, shape and sound of 10,000 Chinese characters when they were first. Therefore, the book is regarded as must-read i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Graphonomy(文字學) that studies Chinese characters, Phonetics(聲韻學) that studies sounds, Exegetics(訓詁學) that studies meanings, and Confucian classics(經學) that studies Confucian scriptures. In regard to this Shuowenjiezi(說文解字) in China,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since the Han Dynasty. In contrast, in Korea, modern research was conducted in earnest. Of course, Shuowenjiezi(說文解字) was int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read to officials as must-reads, and some research on Shuowenjiezi(說文解字) was cond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a full-fledged study of Shuowenjiezi(說文解字) has been identified since the 1980s. In light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Korean Shuowenjiezi(說文解字) from when it was introduced and how it has been conducted so far. Thus,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Shuowenjiezi(說文解字) was compiled and analyzed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modern. Meanwhile, in the case of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it is not only a theory about literal science, but also provides the basis for the theory of calligraphy theory of all time. This paper, by analyzing the calligraphy aesthetic point of view contained in the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also researched on what theoretical basis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acted on the Chinese and Korean calligraphy theory. The paper, which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Shuowenjiezi(說文解字) in Korea, is valuable in that it can examine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research on Korean alphabets in the context of history.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e Shuowenjiezizhu(说文解字叙) reveals what aesthetic sense is being provided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theory. 본 논문은 東漢의 許愼이 저술한 『說文解字』에 관하여 국내의 연구현황을 종합하고, 나아가 「설문해자 · 서」에 내재된 서예미학사상을 논한 글이다. 중국과 한국을 막론하고 『설문해자』에 관한 연구는 중문학 · 한문학 · 서예학 등의 학문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분야에 따른 주제와 내용 등이 실로 다양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설문해자』에 관하여 주로 어떠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지 궁금증을 토대로, 고려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설문해자』에 관한 연구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 ·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설문해자』의 내용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가 아니라, 역대의 연구현황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성격에 해당하는 글임을 앞서 밝혀둔다. 『설문해자』는 1만여 漢字가 처음 만들어질 때의 뜻과 모양 그리고 독음에 대해 종합적으로 해설한 중국 최초의 字典이다. 때문에 이 책은 한자의 字形을 연구하는 文字學, 字音을 연구하는 聲韻學, 字義를 연구하는 訓詁學, 그리고 유가의 경전을 연구하는 經學 등의 분야에서 필독서로 손꼽힌다. 그 가운데 「설문해자 · 서」는 서예와 관련된 미학적 관점을 내재하고 있어서 후대 서예이론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한국에 『설문해자』가 유입된 시기는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설문해자』가 사용된 뚜렷한 예는 高麗時代(918-1392)에 나타난다. 고려 仁宗(在位 1122-1146) 14년(1136)에는 과거시험의 하나인 雜科에 明書業을 두었다. 명서업이란 文字와 書法을 구명하는 직업이다. 이를 통해서 보면 『설문해자』는 고려의 과거시험에서 필수과목으로 채택되었고, 관리가 되기 위한 필독서로서 인식되었다. 특히 자학과 서법을 겸하도록 하여 자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서예의 실력을 동시에 요구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들을 양성하는 기관으로는 성균관 내에 ‘書學博士’가 있었고, 胥吏로는 각 관서마다 書令史 · 書藝 · 試書藝 · 書手 등이 있어 서사를 담당하였다. 이런 제도의 완비로 고려시대에는 자학과 서예의 보편화를 촉진시켰다. 이처럼 고려시대에는 『설문해자』가 관리들에게 보편화되었고, 이를 통한 전문직업인이 발탁되었으며, 『설문해자』에 근거한 자학과 서법이 중시되었다. 다만 『설문해자』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는 남아있지 않다. 朝鮮時代(1392-1910)에는 『설문해자』에 관하여 본격적인 연구는 아니지만 文論과 著作이 일부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李瀷(1681-1763)의 「說文」, 深有鎭(1723-?)의 『第五游』, 洪良浩(1724-1802)의 『六書經緯』, 李忠翊(1744-1816) 「說文新義序」, 朴齊家(1750-1805)와 李德懋(1741-1793)의) 「六書策」, 李圭景(1788-1856)의) 「說文辨證說」, 朴瑄壽(1821-1899)의 『說文解字翼徵』, 朴致馥(1824-1894)의) 「字訓序」 등이 있다. 이 가운데서도 「설문변증설」과 『설문해자익징』이 『설문해자』자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저작이라면, 나머지는 字源의 풀이가 부족했던 당시의 韻書를 보완하여 어려운 글자의 유래를 밝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정도였다. 그 외에 『설문해자』가 거론된 것은 어려운 글자나 기물 등을 해석할 때 인용되는 수준이다. 조선시대에는 『설문해자』의 위상에 비해 학계에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던 것 같다. 왜냐하면 한국에서는 한자 자원에 대한 이해나 연구보다는 한자의 뜻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실용적 字典’이 필요했기 때문에 『설문해자』보다는 『玉篇』류가 중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18세기 이후 淸朝 고증학에 영향을 받으면서 『설문해자』의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는데, 『설문해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한 「설문변증설」과 『설문해자익징』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 이규경의 「설문변증설」은 그간 중국에서 이루어졌던 명 · 청대의 주요 『설문해자』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설문해자』의 한계에 대해 철저히 고증하고 조목조목 변증한 것으로, 당시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연구수준을 보여준다. 박선수의 『설문해자익징』은 조선시대 『설문해자』 연구의 대표저작으로, 1912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금문을 통하여 『설문해자』의 오류를 교정했을 뿐만 아니라 한자의 구조이론에 대해서도 새로운 견해를 제시했다. 특히 文과 字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는데, 聲符의 유무에 따라 성부가 있으면 ‘文’, 없으면 ‘字’로 구분했고, ‘文’은 다시 繁從 · 聯從 · 疊從 · 專義 · 專省 등으로 나누는 등 중국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구조이론을 구축했다. 또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운용했으며, 글자 해석에 조선의 주류사상이었던 성리학적 전통과 조선후기 실학의 利用厚生的 실천정신 및 實事求是的 연구방법을 반영하였다.

      • 딥러닝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파랑예측

        문종윤(Jongyoon Mun),조완희(Wanhee Cho),성보람(Boram Seong),한수만(Sooman Han),최진휴(Jinhyu Choi)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는 한반도 주변의 기상정보로 파랑을 예측하고 CCTV 영상에서 월파를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성능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한 종류인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사용하여 파랑예측과 월파감지 모델을 구축하였다. 파랑예측에 사용된 CNN모델은 U-net을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월파감지에 사용된 CNN모델은 객체 검출 모델을 사용하였다. 파랑예측 모델의 입력 자료는 일본 기상청(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의 대기 예측정보인 MSM(Meso Scale Model)을 사용하였다. 합성곱신경망 파랑예측 모델의 학습데이터는 ADSWAN(ADCIRC + SWAN) 파랑모의 결과의 위도 30˚ ∼42.75˚, 경도 122.5˚∼135.25˚영역을 사용하였으며 격자 간격은 0.05˚로 설정하였다. 파랑 예측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기존 U-net 구조의 인코더와 디코더 레이어의 깊이를 7층으로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 파고와 주기는 각각 풍속과 파고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바람장 정보로부터 유의파고를 예측하고 예측된 유의파고로부터 주기를 예측하는 두 단계의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예측 결과에서 ADSWAN 파랑모의와의 상관성은 0.93, 관측치와의 상관성은 0.83으로 분석되었고 1시간 예측에 약 0.024초가 소요되었다. 월파감지 모델의 학습데이터는 삼척과 주문진의 CCTV 1년 1개월 분량의 영상(2018.10.01. ∼ 2019.10.31.)에서 월파가 발생한 프레임을 수동으로 추출하여 약 2만장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월파의 기준은 탐지된 파도 영역이 난간을 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난간을 넘지 않는 파도를 구분하기 위해 배경과 파도를 분리하고 난간 구역과 비교하여 여과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또한, 해수면과 분리된 파도 영역을 비교하여 실제 처오름높이를 산정하였으며, 월파감지의 정확도 분석 결과 mAP<sub>50</sub>은 0.60, 속도는 80.5fps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echnology to predict wave using atmospheric modeling dat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detect wave overtopping using CCTV images. For the development, we adop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a kin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known for its high performance. Wave prediction model is based on U-net, whereas overtopping detection model makes use of object detection models. Input data for the wave prediction model is MSM (Mesoscale Model) atmospheric forecasting data from the Japan Meteorological Agency(JMA). The training data for wave prediction model is ADSWAN(ADCIRC+SWAN) wave simulation results, whose spatial extension is 122.50°E 135.25°E, 30.00°N∼42.75°N with resolution of 0.05°.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wave prediction model, we extend the depth of the encoder and decoder layers from the U-net structure to the seventh layers.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wave heights are highly correlated with wind speeds while wave periods are with wave heights. Thus, we constructed a two-step model that predicts wave heights from the former and wave periods from the latter. In our prediction results, correlations with ADSWAN wave simulation results and observation were found to be 0.93 and 0.83 respectively. The 1-hour prediction took about 0.024 seconds. The training data for overtopping detection model is around 20,000 frames manually extracted from one year-long CCTV video images (2018.10.01. ∼ 2019.10.31.) from Samcheok and Jumunjin. We defined wave over the fence as a overtopping event, and developed a filtering algorithm to separate the background from the wave by comparing regions. Furthermore, we estimated wave run-up height from the separated wave regions and preformed the accuracy analysis, mAP<sub>50</sub> being 0.60 and the processing speed being 80.5fps.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실학적 서화미학에 관한 연구

        장지훈 ( Ji Hoon J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1 No.-

        茶山丁若鏞(1762-1836)은 柳馨遠, 李瀷의 經世致用과 北學의 利用厚生및 西學·佛敎·陽明學·考證學등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實學을 집대성한 인물이다. 그는 실학뿐만 아니라 題畵詩와 書畵에 관한 題跋도 많이 남기고 있어 詩·書·畵방면에도 수준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의 실학은 문예전반과 연계되어 서화미학·서화비평 등 의 기저가 되고 있다. 다산의 투철한 시대인식과 현실파악에서 비롯된 실학관은 문예전반에서 ‘실제성’과 ‘진실성’이라는 두 축으로 연계된다. 회화에서는 實寫에 입각하여 寫實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寫實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 粗率하고 기괴하게 표현하는 관념적 寫意畵風을 반대한다. 서예에서는 당대의 글씨가 字態의 美麗함에만 경도되어 서예본질의 실제성·진실성이 결여되었고 眞氣가 사라졌다고 비판한다. 이는 예술이 지나치게 관념적 풍조로 치달은 것을 자각하여 예술의 진정성과 實心을 구하려는 입장이다. 특히 다산이 양명학자이자 서예가였던 李匡師를 당대 최고의 서예가로 평가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의 실학에 내재된 陽明心學的사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즉, 주자학 중심이었던 시대상황 속에서 陸象山, 王陽明의 학문체계를 자신의 학문에 응용한 점은 陽明學의 실천윤리학적 학문성향을 긍정한 결과였다. 그는 이광사의 心學的예술정신에 대한 간접적 체현을 통하여 脫주자학적 실학정신을 표출한다. 주체적이고 실천적인 학문사상을 이광사에 대한 예술비평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발현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정약용의 서화미학사상은 脫朱子學的실학정신과 陽明心學의 비판적 수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 하겠다. Dasan Jung Yak Yong (1762-1836) compiled Shilhak (實學: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critically accepting Yoo Hyung Won and Yi Ik`s idea of Kyongsehchiyong (經世致用: A Confucian idea insisting that studies should be practically contributed to the society), Bukhak (北學: A school established by Shilhak scholars in Joseon Dynasty)`s idea of Yiyonghusaeng (利用厚生: An idea pursued by Shilhak scholars of the Bukhak School meaning prosperous economy and satisfied living status including clothing, food, and housing), and studies of Calligraphic, Buddhism, studies of Yang Myong, and of Kojeung. He must also have ha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poetry, writing, and painting for many of his works on Jehbal (題跋: A name of Chinese-styled sentences) in regard to pictured poems, and Calligraphy and painting besides Shilhak still remain. Especially his Shilhak, linked to the overall field of literature, sometimes works as a basis for the aesthetics and criticism of Calligraphy and painting. His practical and progressive view of Shilhak moves toward a point in which the adhesion of the old is no more pursued and the practicality of the present is more focused on. He criticizes the blind classicism under which it insists that the older is always the better and things now are not as worthy as those back then and pursues technical improvement. This does not mean that he completely rejects the ancient thought but refuses to uncritically accept the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outcomes of civilization. In calligraphy, he criticizes the classicism-oriented and passive aesthetic consciousness of Joseon Dynasty in which Wang Hi Zi and the artistic system of renowned figures is absolutely regarded as best. Accordingly, he rather sticks to the open and practical idea of positively accepting the techniques of Song and Ming Dynasty which had developed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since Wang Hi Zi.His view of Shilhak, generated from his thorough awareness of the era and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is linked to the two axes of `practicality` and `truth` in the overall literature field. In painting, he opposes the idea of ideal painting in regard to mentality which expresses carelessly and bizarrely in the state of not being practical and pursue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eing practical based on real objects. In calligraphy, he sees that the letter of the day only focuses on the beauty of its appearance and lacks the practicality and truth and its original essence is gone. For this matter, he is standing in a position in which he criticizes the fact that art had way too much leaned toward ideal trend and he seeks to realize the truth and purity of art. It should be notable that he evaluated Yi Kwang Sa, a scholar of studies of Yang Myong and calligrapher, as the best calligrapher of the day. Of many possible reasons, it seemingl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thought of Studies of Mentality of Yang Myong absorbed in his Shilhak. That is, despite the atmosphere of the time when Confucianism was prevailing, he applied the academic system of Yook Sang San, and Wang Yang Myong to his own studies and this shows that he positively accepted the academic tendency of practical ethics of studies of Yang Myong. Through his indirect realization of Yi Kwang Sa`s artistic spirit of mentality studies, he expresses practical thought which is apart from Confucianism. He intended to reveal his active and practical academic thought indirectly through art criticism regarding Yi Kwang Sa. Thus, it can be said that Jung Yak Yong`s aesthetic thought on Calligraphy and painting was formed by the practical thought which was apart from 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acceptance of Studies of Mentality of Yang My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