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한-베 가정의 베트남 이주 과정, 젠더 그리고 자녀교육

        장지혜 ( Jee-hye Jang ) 한국동남아학회 2015 동남아시아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이주한 한-베 다문화가정에 주목한다. 그들은 왜 베트남으로 이주하려고 하는가? 베트남에서 살게된 한국인 남편과 베트남 아내는 가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가? 베트남 이주 후 자녀 교육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이상의 질문에 답하면서 베트남으로 이주한 한-베 가정이 처한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조건을 설명하고 이들이 처한 조건하에서 구사하는 전략적 행위와 실천을 이해하고자 한다. ‘한-베 가정’은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베트남으로 이주한다. 이주의 목적이 어떤 이유에서건 베트남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으리라는 희망적인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이다. 처가/친정 식구들의 사회적 관계와 인적 관계를 활용해 베트남 정착을 쉽게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아이들도 ‘글로벌’하게 교육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베가정의 베트남 이주는 삶의 공간을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시키면서 새로운 기회와 더 나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만들어 베트남 사회에서 상대적 비교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실천이었다. 베트남으로 이주한 한-베 가정의 남편과 아내는 초국적 환경 속에서 삶의 기회를 확장하는 전략적 선택을 하지만 사회경제적 여건과 문화적편견 속에서 여러 형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Korean-Vietnamese families who returnedand migrated from Korea to Vietna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political-economic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faced by Korean-Vietnamese families of return migration and also to understand strategic behaviors and practice they implemented under aforementioned circumstances. After ``return-migration`` husbands and wives tend to go through conflict, recognition, and negotiation in terms of economic financial initiatives and cultural difference. Korean husbands tend to represent patriarchal property requiring ``typical Korean`` lifestyle and way of thinking after the ``return-migration`` to Vietnam. Even if they forgo the economic power to their wives, they have an attitude of pursuing Korean culture in their overall lives. In addition, they make an attempt to understand Vietnam culture depending on the context but not completely accept cultural relativity and uniqueness based on ethnocentrism. Parents in the Korean-Vietnamese families wish their children to have ``Korean`` identity but also pursue ``global`` perspective when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In terms of making an effort to make their children pursue ``global`` perspective and talent, they tend to find it difficult due to socio-economic conditions. In Korean society in Vietnam, they see social discrimination just like they did in Korea. In local society of Vietnam, ``foreigners`` without ``money`` are not properly treated. ``Return migration`` that was once regarded as a ray of light of wish in the past starts witnessing how expectation slips away from reality. Husbands and wives in Korean-Vietnamese families of ``return migration`` adopt strategic choice to overcome negative reality both in Korean and Vietnam society. However, they tend to suffer from difficulty i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cultural stereotype.

      • KCI등재

        시선추적을 활용한 청년층 및 노년층의 누구(who) 의문사처리 연구

        장지혜(Ji-Hye Jang),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과 노년층의 문장처리과제 수행력과 시선추적 데이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청년층 21명과 정상노년층 17명이 본 실험에 참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선별검사에서 인지 및 언어검사를 통과하였고 집단 간 교육연수에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누구(who) 의문사에 결합하는 격조사를 주격조사(-가)와 목적격조사(-를) 두가지를 사용하여 문장처리과제를 두개의 유형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은 화면에 제시되는 그림을 보며 이야기 및 질문을 들은 후 그에 맞는 답을 키보드로 눌렀고, 그 과정에서 시선추적 데이터가 기록되었다. 결과: 과제수행에 있어서 정반응률에 대한 집단 차이가 유의하였다. 노년층이 ‘누구+를’ 유형에서 훨씬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목표자극에 대한 총 시선고정시간에서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모든 집단이 ‘누구+를’ 유형에서 시선고정시간이 짧았고, heat map을 통해서 노년층의 시선이 청년층에 비해 분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구간에 따른 목표자극 시선고정비율에서 노년층이 문장의 마지막 구간에서 시선고정비율이 낮아짐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누구+를’ 유형에서 정반응률이 낮고 시선의 분산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문장의 마지막 구간에서 노년층의 시선고정비율 감소를 통해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문장통합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됨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문장처리연구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and eye tracking data of the young and the old in sentence processing tasks using the ‘who+nominative’ and ‘who+accusativ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 normal young adults and 17 normal elderly adults. All subjects passed the screening test for cognition and languag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education between the groups. Pictures and stories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n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the corresponding answer on the screen. Results: First, the accuracy of the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young group. The elderly group performed much lower in the type ‘who +accusativ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fixation duration for the target stimulus, but all groups had lower fixation duration in the type of ‘who+accusative’. Also, the heat map shows that fixation of the elderly was more dispersed than the young group. Finally, the fixation proportion of the target stimulu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showed that the fixation proportion of the elderly decreased in the last section of the sentence. Conclusion: The elderly group showed lower accuracy and stronger gaze dispersion in ‘who+accusative’ type than the young group. Furthermore, the lower rate of fixation proportion for the elderly in the last section of the sentence is due to the lower efficiency of the sentence integration process compared to the young.

      • KCI등재

        개복 담낭절제술 후 오랜 기간 후에 발생한 혈액 담즙증

        정지선 ( Jee Sun Jeong ),음영욱 ( Young Ook Eum ),장지혜 ( Ji Hye Jang ),정은 ( Eun Chung ),양현 ( Hyun Yang ),김현선 ( Hyun Seon Kim ),배일헌 ( Il Hun Bae ),박선미 ( Seon Mee Park ) 대한췌장담도학회 2014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9 No.1

        A 77-year-old woman was admitted with 5 days history of melena. She had an open cholecystectomy 30 years ago.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duodenoscopy revealed massive hemobilia. Angiography showed right hepatic arterial fistula to common bile duct near the surgical clip. Embolization was done successfully and the patient recovered. We experienced a case of a massive hemobilia which was occurred after a long period of time since open cholecystectomy without pseudoaneurysmal change of the right hepatic artery. And we suggest the direct vessel injury and fistula between the bile duct and a blood vessel as a possible cause of hemobilia in this case. Korean J Pancreatobiliary 2014;19(1):42-46

      • KCI등재

        BBME와 DD를 통합한 움직이는 카메라로부터의 이동물체 추적 시스템

        설성욱(Sung-Uk Sul),송진기(Jin-Gi Song),장지혜(Jee-Hye Jang),이철헌(Chul-Hun Lee),남기곤(Ki Gon Nam)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2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연속영상에서 이동물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크게 이동물체 검출과 추적과정으로 나뉘어진다. 이동물체는 BBME(block-based motion estimation)와 DD(double difference)를 통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된다. 검출된 이동물체는 히스토그램 백 프로젝션을 통하여 분할되며, 히스토그램 인터섹션과 XY-프로젝션을 사용하여 대상물체를 정합하고 추적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움직이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동물체를 검출하고 큰 오차 없이 추적함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automatic moving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in sequence images acquired from a moving camera.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moving object detection and its tracking. Moving object can be detected by integration of BBME and DD method. We segment the detected object using histogram back projection, match it using histogram intersection, extract and track it using XY-projection. Computer simulation resul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reliable and can successfully detect and track a moving object on image sequences obtained by a moving cam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