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학적"의 용례 분석

        장지원 ( Chi Won C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1

        ‘교육적’과 ‘교육학적’은 형태와 의미를 볼 때 명확히 구분되지만 실제 언중들의 사용에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하나는 교육학의 도입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학적’과 결합하는 후행명사들과의 관계에 주목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2장에서 개화기 시기 이후 ‘교육학’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애국계몽운동 시기에 확산된 교육학은 ``교육에 대한 학``이라는 표층구조와는 달리 내면적으로는 신교육을 위해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로 간주되었다. ‘교육학’이 ‘-적’과 결합하여 통용되는 현상이 시작되면서 교육학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방식은 점차 일반화되었다. 3장에서는 ‘교육학적’이 후행명사와 결합한 용례를 분석하였다. 후행명사들은 의견 제시와 사실 기술의 두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의견 제시의 경우 ‘교육학적’은 화자의 의견을 정당화하는 판단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된다. 사실 기술의 성격을 지닌 후행명사에 대해 화자는 교육학에 대한 설명을 전달해야만 그 의미가 명료해진다. 의미, 의의, 가치 등은 교육학적과 결합할 때 표면적으로는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화자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어 충분한 사전설명을 통해 화자와 청자 사이의 혼선을 줄일 필요가 있다. 교육학적은 ``교육학계``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형태는 관용화되어 ‘-적’이 탈락하는 현상을 보인다. ‘교육적’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에서 ‘교육학적’을 사용하는 이유는 자신들의 주장을 ‘교육학’이라는 학적 권위에 기대 정당화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학적’에 대한 분석은 ‘-적’의 대표성과 이미지화에 주목한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교육학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와 연결되어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problem of ambiguity on adjective educational in Korean. By focusing the conceptual study and syntactic analysis, the reasons of lots of meaning of ``educational`` came out as follows. One reason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cience of education in Korea, the other reason i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suffix ‘-적(的)’ which put after nouns and makes the words adjective in Korean. Education can be translated into two Korean Vocabulary the one is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other is education, and I focused on the former meaning. In Chosun Dynasty, the meaning of education is endless study and research on greatness which can be found in Great Learning(大學). The method of education is reading and confucianism textbook. However in 19th century there were great invasions from western society, and Japanese Imperialism began to start colonize near countries such as Ryuku and Formosa. From this atmosphere, the Korean intellects tried to adopt to western education theory from Japan to exchange educational method from traditional to western and to enhance their power to independent from Japanese Imperialism. For this context, the term science of education in Korea were inclined to practical and were different from the scientific study on education which was similar to the approach of Wissenschaft. Korean suffix ``-적`` combine after nouns and makes the adjective forms of the nouns. The original meaning of ``-적`` is target and purpose of something, however it is morphed into the suffix to connect western terminology into the Chinese and Japanese. After in 1890s ``-적`` was came to Korea for its various utility in sentence structure. The meaning of ``-적`` is really various and greatness of the word-making ability is so great, it makes a lot of people use the suffix very much. However ``-적`` has weakness in that it lack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oot noun. Therefore the meaning of educational is so ambiguous and makes lots of problems of understanding and translations.

      • KCI등재

        고대 아테네 시민교육 연구: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을 중심으로

        장지원 ( Chang¸ Chi W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이번 연구에서는 민주시민사회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고대 아테네의 시민교육을 고찰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서 적극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민교육 전반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민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polites와 demos로 구분하여 이를 정치 경제적 측면, 신분과 계급의 차원, 국가와 정치체제의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아리스토파네스는 희극이 지니고 있는 풍자의 기능에 시민의 다양한 의미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상황에 맞는 의미를 시민들에게 제안하고자 하였다. 고대 그리스 전역의 대표적 축제였던 디오니소스 제전에서 희극과 비극 경연은 핵심 공연으로 간주되었고, 극작가들은 아테네 사회에서 시민들의 의식 변화와 각성에 적잖은 계기를 제공해왔다. 대표적인 희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는 『아카르나이 구역민』에서는 계급적으로 분화되어 있는 아테네 사회의 모순을 지적하고, 『개구리』에서는 스파르타의 침략에 맞서는 아테네 시민들의 단합을 촉구하며 상황에 맞는 시민교육적 요소를 전달해왔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시민교육은 아테네의 상황에서 가장 부합하는 메시지를 제시하며 국가가 지향해야 하는 이 상향을 전달했고, 궁극적으로는 아테네 시민들 전체의 단합을 통한 공공성의 극대화를 추구했다. 직접민주주의의 원형으로 평가받는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행사였던 디오니소스 제전의 희극 경연 연구는 민주주의와 시민교육 전반의 변화를 모색하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도 적잖은 시사점을 지닌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ivic education in ancient Athens by examining Aristophanes’ comedies. The meaning of the citizen in ancient Athens is classified into two kinds: polites and demos. These concepts can be examined from three perspectives : politic and economic, status and class, and state and political perspective. In his comedy, Aristophanes attempts to suggest the Athens the meaning of citize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ivic society in the satirical manner. Comedy and tragedy contests were regarded as key performances at the Dionysian Festival, the most important art festival in ancient Greece. Through this festival Playwriters provided the momentum of the awakening for citizens in Athens society. Aristophanes pointed out the conflict between classes Athenian society in Acharnians, and the necessity of defence of their fatherland in Frog. Aristophanes' ideas about civic education make appropriate suggestions for ancient Athens considering its situation. The study of the comedy contest of the Dionysus Festival which is considered as a prototype of direct democracy, has 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oday's Korean civic education.

      • KCI등재

        『법률』에 나타난 플라톤의 유아교육론

        장지원 ( Chi Won C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3

        이 논문은 플라톤의 유고집 『법률』에 등장하는 유아교육의 주요 양태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아교육에 대한 플라톤의 입장은 그의 다른 이론과 마찬가지로 당대 아테네를 중심으로 하는 고대 희랍의 사회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당대 희랍의 유아교육은 전통적인 어머니와 유모가 중심이 되는 보육 중심의 경향을 보였으나 조기준비교육에 이어 당시 학부모들이 갖고 있던 계층 유지 및 이동의 욕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국가』에서는 시가와 체육 교육을 강조하며 유아교육의 본질을 지키는 한편 유아교육에 교과 교육의 영역을 포함시켰으며, 『법률』에서는 『국가』에서의 주장을 계승하는 한편 교육의 과정에서 습관화의 중요성을 한층 더 강조하고 부각하고 있다. 아울러 시가와 체육을 통합하는 합창가무를 통해 마그네시아(Magnesia)의 예비 시민들이 자신들의 도덕준칙인 법률(nomoi)을 준수할 수 있도록 인도하였다. 합창가무는 유아들의 기초적인 지식 및 도덕교육과 사회화를 위한 주요한 수단이었으며 성년인 시민들은 유아들을 위한 모범의 역할을 보이기도 했다. 플라톤은 유아기의 육체적, 정신적 특징에 주목하고 시기의 특성에 맞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여 유아의 사회화와 잠재력의 함양을 시도했으며 그의 기획에서 유아교육은 단순히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의 구축 차원이 아닌 사회 전 구성원들의 관심과 참여를 필요로 하는 체계적인 기획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톤 유아교육의 특징은 유아교육의 중요성과 역할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 교육계에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for clarifying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lato``s Nomoi. The reason he focused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is that it is utmost period influencing children``s behavior. Plato observed and analyzed the ancient Athenian Society and Education, and selected the core elements to build the Magnesia, which is the second-best State Plato established in Nomoi. In Ancient Greek,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operated by women; mothers and nannies, and the curriculum was habitual & inclined to socialization. However some parents made their children take private tutoring to win the competition and get the upper class in Athenian society. Early-talented education, which is also partic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 the envy of Greek parents who wanted the social ladder. In Politeia, Plato emphasized mousike and gymnastike which was connected to the main ele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Nomoi, he succeed in educational idea in Politeia, and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habituation. Also, he combined mousike and gymnastike to chorus, which is the core-curriculum in Magnesia. The function of chorus is indoctrinating citizens to obey the law and to teach basic knowledge and attitude. For Plato,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not a simple build-up curriculum process, but a grand-design which needs participation of whole citizens. In Korean society, it will be a great advantage to adjust Plato``s educational theory, wher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reased rapidly.

      • KCI등재

        ‘교육철학’ 용어의 의미 분석

        장지원(Chang, Chi-Won) 한국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 Vol.66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educational philosophy’ by the method of corpus analysis. There is the difference of meaning on educational philosophy between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publics. This semantic phenomenon implies that the image acoustics of ‘educational philosophy’ are not matched between two groups. This study, which originated from Saussure s linguistics theory, examined the semantics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Trends 21 Corpus>. Unlike philosophical inquiry on education,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the general public use ‘educational philosophy’ like the connotation of secret of successful learning and child nurturing. Given the power of the media and the mass, these tendency could affect the meaning and defini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Professional researchers should investigate these acoustic image from the sense of linguistic and educational approaches. These researches could contribute to clarify descriptive and normative mean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교육론: 『정치학』을 중심으로

        장지원 ( Chang Chi W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ka)』은 『니코마코스 윤리학(Ethica Nicomachia)』과 함께 그의 공교육적 요소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저작이다. 폴리스 이론 전반을 다루고 있는 이 작품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교육에 대한 견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고대 희랍의 전통적인 공동체이론을 계승하는 아리스토텔레스는 폴리스의 유지와 개인의 행복을 동일한 차원에서 강조하고 있으며, 따라서 교육은 한편으로는 폴리스의 지속과 번영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행복(eudaimonia)을 완성하는 활동으로 기여해야 함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공동식사(syssitia)와 교육감독관(paidonomos)을 제안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폴리스에서 적용되었던 제도들의 약점을 보완하여 공교육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공동체를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치학』의 내용을 재해석하고 플라톤의 국가』, 『법률』과의 연계성 혹은 차이점을 검토하는 과정은 향후 아리스토텔레스 공교육론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contains the theory and practices on public education in Aristotle’s Politika and Ethica Nicomachia. In these two major works, Aristotle handled the citizens’ way of life(tropo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phere. Education could affect citizen’s behavior and attitudes, so he recommended suitabl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s for establishing and consisting the best city-state. His thought on public education was as follows. He recommended two practical policies on public education in Politika. One is syssitia, the common meal for citizens, the other is paidonomos, the bureaucrats wh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public education in private families in a city-state. The system of syssitia, originated from Crete and Sparta, was opened to all citizens including women; and each citizen could participate in public meal without extra charge and tax. Therefore all citizens could share the same image and atmosphere about their fatherland. The system of paidonomos is the outcomes of the Aristotle’s understanding on the private and the public. Aristotle avoided political intervention to private families for it was unnatural and impossible to control to nurture babies and early childhood kids. However, he strongly tried to suggest the right ways of public education to private citizens for homonoia of the city-state. His idea on public education seems unfamiliar to contemporary educational institutes, however his efforts for sustaining citizens to share common values to their societies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개념사와 형태론 분석에 따른 '교육적'과 '교육학적'의 차이

        장지원(Chang Chi W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3

        이 논문은 교육학자들이 자주 사용하면서도 그 의미 구분이 명확하지 못한 '교육적'과 '교육학적'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한 논문이다. 교육적과 교육학적은 형태 및 의미상 뚜렷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중들의 사용에서는 그 구별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교육'과 '교육학'에 대한 구분이 상대적으로 분명한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모호성은 흥미로운 대목인데 연구자는 개념사적 연구방법과 언어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양자의 차이를 분명히 하고자 했다. 개념사적으로 볼 때 수양 및 학문의 분류를 의미했던 전통적인 '학' 개념에 서구적 과학기술 연구 방식의 유입되면서 교육학을 "교육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지식 및 기술 개발의 학문과 같은 형태"로 정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교육과 교육학 간의 의미 명료함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경향을 확인하게 된다. 언어학적으로도 교육적과 교육학적의 형태는 유사하나 파생되는 통사구조에는 차이가 있다. 교육학적 기능, 교육학적 효과 등은 교육적 효과와는 달리 파생접미사 '적'을 삭제하더라도 그 의미가 명료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불분명함은 교육학은 '교육+학'으로 구성된 복합명사이기 때문에 '교육'과 달리 후행명사의 수식기능을 상실한 데 기인하며 따라서 '교육학적'과 같이 문장을 구성하는 파생접사를 필요로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적'이 갖고 있는 의미의 모호성과, '학'이 갖고 있는 이중성은 언중들이 교육적과 교육학적을 구분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 교육학적을 교육적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교육적, 교육학적에 대한 명확한 의미규정과 구분을 통해 연구대상을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adjective 'educat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fference between 교육적(educational) and 교육학적(educational;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morphological division, it can be divided to 3 morphemes; education(교육), science and study(학), '-al(적)' suffix for making noun into adjective which was not common in traditional Korean. There is some misunderstanding and ambiguity between the meaning of educational in Korean, so I figured out the differences. The suffix '학' got the meaning of division of science and philosophy after the 6 centuries. A.D. However after the imperial invasion of western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it was used by the suffix to translate the division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the european society. Plus, in 1890, there was a great fashion of theory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in Japan, the science of education had a function to make Japanese society and people modernizing. Even though there were critical analyses in the tendency of understanding on science in the Europe, these kinds of Japanese practical understanding of education was succeeded by Korean society. And it is the basis of making ambiguity between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By figuring out the syntax structure,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교육적 and 교육 학적. 교육적 can have Noun phrase but, 교육학적 can not link NP for Noun can modify followed noun in Korean. However complied Noun can not modify followed noun, so in "교육학", it is much more dependent upon comparing 교육 because of using suffix '적'. Yet the meaning of '적' is ambiguous and meaning of '학' seems clear in the point of view of the subject; but the purpose and the result of the scientific study of education is not divided clearly for the historical reason and the socio-economical reason of Korea Republic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2. For that reason I proposed that the using the 교육적 and 교육학적 should be more regulative which is the basement of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study of education itself.

      • KCI등재

        『제7서한』에 나타난 플라톤의 교육론

        장지원(Chang, Chi-W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2

        이 논문은 플라톤의 서간문 『제7서한』 에 나타난 그의 교육론을 밝혀내고 재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7서한은 플라톤의 생애, 활동, 관심사 및 철학과 교육에 대한 관점이 잘나타나 있는 저작이다. 교육학적 시각에서 『제7서한』 은 철학자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 하면서도 일반 시민들의 좋은 습관 형성과 시민으로써 충실한 직분을 강조하는 이중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필자는 『제7서한』 에서 제시하는 교육을 일반 시민교육과 철학자 교육의 두 가지로 구분해서 보았다. 일반 시민교육은 시민 개인적 차원에서는 좋은 습관의 강조를 특징으로 하며, 공동체 차원에서는 폴리스에서 담당하는 직분의 수행으로 정리된다. 철학자를 양성하는 고등 교육은 철학자와 예비 철학자의 사제동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통해 가장 훌륭한 생활방식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춘 철학자들이 폴리스를 통치한다. 철 학자들과 보조자들은 입법을 통해 자신들의 지혜를 구체화함으로써 폴리스의 시민들이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한다. 시라쿠사에서의 체험을 통해 완성된 『제7서한』 의 교육론은 『국가』에서 그가 제시한 구상보다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Plato’s 7th Epistles although it has some controversity whether it was written by Plato or not. The topic of Epistles is to warn the young politicians who had served Dion, the uncle of Dionysious II who was the president of Siracusa at BCE 350. In 7th Epistles, there are some keywords which have educational meanings: way of life(tropos), custom(ethos), public duty(epitēdeumata), Philosophical Intercourse (synousia) are as following. Having a good way of life is a educational goals for every citizens. To having a good life, citizen should have good habit and custom, for it can make citizen self-control and order their family. In public sphere, citizen should obey the law and call their public duty diligently. Respecting the law and constitution( nomoi) of the state( polis) was the obligation of the citizen in Ancient Greece, which make the state safe & sound. Epitēdeumata, which can be translated either public duties or custom, mean roles of the citizen to make state sound. By participating in the public duties of the state, the citizens got excellence in both his vocational talent and moral goodness. For the education of philosophers, Plato suggests the philosophical intercourse. It is a existential method to make philosopher and pre-philosophers familiar authentically.

      • KCI등재

        서구 세계시민교육의 기원

        장지원(Chang, Chi Wo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1

        최근 전 지구적 변화와 맞물려 세계시민(cosmopolitēs) 개념은 교육학에서도 주요한 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구적 세계시민교육의 기원으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다양한 이론과 실천에 주목하였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으로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체제가 한계에 봉착한 후 플라톤은 전통적인 소규모 폴리스 체제의 회복을 모색한 반면, 이소크라테스는 그리스인들의 단합과 페르시아 원정을 통해 위기 극복을 시도했다. 헬레니즘 시기는 코이네 그리스어의 일반화와 그리스인들의 동방 이주로 특징지어진다. 이 시기 그리스인들은 공간적 차원에서 그리스의 문화적 전통을 확산시켰으나 문화적 혜택이 원주민들에게 공유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온전한 의미의 세계시민주의로 보기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사상적 차원에서 스토아철학은 전통적인 폴리스 체제에 갇혀있던 사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의 공간적 정체성 확장에 기여했다. 그리스 문화를 수용하며 성장한 로마제국은 영원한 로마(Roma Aeterna) 개념을 통해 시민들에게 보편적 시민 개념을 정착시킨다. 당초 로마제국의 속주 지배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로마의 문화가 제국 전체로 전파되면서 로마문명의 보편화 차원의 세계시민 양성에 기여하게 되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 대표되는 철학자들은 이상적 인간상과 시민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며 고대사회 세계시민의 원형을 정립하는데 공헌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discuss contemporary issues by focusing on world civilization and world citizen education in the ancient Greco-Roman period. Lots of philosophers in ancient Athens tried to resolve the social crisis by proposing a change or regeneration of the polis system. Isocrates attempted to overcome the crisis by Pan-Hellenism: unity and harmony of the Greeks and Persian expedition. Diogenes proposes the term and concept of cosmopolites, defining the whole world as a polis, instead of specifying a particular polis. The Hellenistic period, which originated in the eastern expedition of Alexandros, is characterized by the generalization of koine Greek and the migration of Greeks. At this time, the Greeks succeeded in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a global citizen in that they could enjoy the Greek cultural tradition in a wide area, but this cultural heritage was limited in that it was not sufficiently applied to non-Greeks. On the other hand, Stoic philosophy overcame the reason for the human being trapped in the traditional polis system and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a human s spatial identity. The Roman Empire, which grew up embracing Greek culture, succeeded in forming the unity and unity of citizens through the concept of eternal Roma. It started with the goal of consolidating the ruling dominance of the Roman Empire in the first place, but with the spread of the Roman culture throughout the empire, it contribu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global citizen, which is summarized as the universal civilization of Roman civilization. The philosophers represented by Marcus Aurelius presented insights into the ideal human image and citizenship and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prototype of an ancient society educated cosmopolitan.

      • KCI등재

        『크리톤』의 교육학적 해석

        장지원(Chang, Chi Wo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4

        이번 연구에서는 철학, 정치학, 법학계에서 연구되어 온 플라톤의 『크리톤』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교육학적 해석을 위한 준비 작업으로 작품을 내적 측면과 외적 측면으로 구분한 후, 작품의 내부는 형식과 내용으로, 작품의 외부는 작가와 독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작품 내부의 형식적 측면에서는 대화편이라는 통상적 인식과 달리 『크리톤』 후반부의 직접적인 훈계에서는 교술(敎述)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입신양명을 위한 수단과 대오각성을 향한 동행이라는 두 교육목적론적 관점의 대립이 두드러진다. 작품의 외적 측면으로 작가와 독자의 시선에 주목해볼 수 있다. 작품의 저자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죽음에 이르게 된 사회적 상황에 주목하며 법률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고민한다. 반면 현대인들은 플라톤이 제시하는 법치에 내재한 차등의 관계를 넘어 내면의 자율을 목표로 하는 대등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지금까지 제기한 내용은 교육사상 연구에서 늘 제기되는 교육학적 해석의 실체를 분명히 하고, 텍스트 자체의 분석 과정에 요구되는 명확한 기준과 논리를 정립하기 위한 시도였다. 이 문제에 대한 보다 세심한 논의는 교육과 교육학, 그리고 학문 전반에 대한 명확한 내적논리와 철학을 필요로 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ere are four dimensions on understanding Plato’s Crito in educational way: One is the internal viewpoint: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 and the other is the external viewpoint: the author and the reader. In this paper, I found out educational features from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Crito’s didactic structure in 50a-54a is a clear evidence for educational interpretations, The dialogues between Socrates and Plato implied the conflict on the concept of education,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im of education. Plato, the author tried to re-generate and educate the rule and law for breaking through anomic situations of Ancient Athens. Today’s readers who questioned Plato’s class systems could choose internal autonomy for enhancing humanity.

      • KCI등재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절제와 시민교육

        장지원 ( Chi Won C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3

        이 논문은 플라톤의 『법률』에 등장하는 절제(sophrosyne)와 시민교육의 의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플라톤은 『법률』에서도 『국가』와 같이 한편으로는 이상적 인간상 및 정치체제를 고민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법률』에서 그는 폴리스의 구성원들이 절제를 통해 좋은 습관을 갖는 것을 기초 교육으로 정의하고 이를 지향했다. 『법률』에서 절제는 시민교육의 목적이며 절제의 함양은 합창가무(chorus)와 전문(prooimion)을 통한 설득으로 완성된다. 차선의 공동체 마그네시아(Magnesia)는 시민들을 절제의 덕으로 습관화시킬 때 훌륭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is study is for enhancing the boundaries of educational thought of Plato, especially by analyzing his latest work Nomoi.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lato`s educational thought based on Politeia, however Nomoi has many ideas and implications on education for Magnesia, ideal city described in Nomoi. In Nomoi, he defined education as having good habit and custom, and emphasized temperance(sophrosyne). The meaning of temperance is applied to both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and education of citizen in Magnesia. Children internalized sophrosyne by practicing chorus(singing and dancing). Citizen is Magnesia naturally obey and agree with the law because in law in Magnesia, there is prelude which announce the meaning, object, and outcome of obeying the laws. Playing chorus and persuading the people by preludes are means to make Magnesia tempe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