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솔잎 열수추출물이 카드뮴으로 유도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장주연,김명주,이미경,김덕진,Jang, Joo-Yeun,Kim, Myung-Joo,Lee, Mi-Kyung,Kim, Duk-J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4

        솔잎 열수추출물이 카드뮴으로 유도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체중 kg당 5mg의 카드뮴$(CdCl_2)$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솔잎은 매일 일정시각에 체중 kg당 1.26g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 사육한 결과 카드뮴과 솔잎 열수추출은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감소시켰다. 체중 100g당 간조직 무게는 카드뮴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은 간조직 무게를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혈장 중의 AST와 ALT활성은 카드뮴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해 ALT활성이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장 알부민 함량은 실험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크레아티닌 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시 낮았다. 카드뮴 투여시 간조직의 CYP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한편 XO와 ADH활성은 솔잎 열수추출물군이 정상군과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카드뮴 투여에 인해 유의적으로 높아진 SOD, MAO, CAT 및 GSH-Px 활성도는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간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에 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MDA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군에서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임으로써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개선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Oxidative stress can play a key role in cadmium (Cd)-induced dysfunc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ine needle water extract (PN) on Cd-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group, Cd control group (Cd) and PN-administered Cd group (Cd-PN). $CdCl_2$ in 0.9% NaCl was administered orally with a dose of 5mg/kg of body weight/week, while the PN was administered orally with a dose of 1.26g/kg of body weight/day. Body weight gain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whereas food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d-PN group than in normal or Cd group. Relative liver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admium administration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epatic cytochrome P450 was significantly lower in Cd and Cd-PN groups than in normal group, while xanthine oxid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d-PN group than in normal or Cd group. Increased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monoamine oxid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by cadmium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PN supplement. PN did not affect the hepatic glutathione content in cadmium-administered rats; however, PN significantly lowered the hepatic lipid peroxide level and plasma alanine transferase activity compared to the C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N may alleviate Cd-induced oxidative stress without hepatotoxicity.

      • SCOPUSKCI등재

        식이섬유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장주연(Joo-Yeun Jang),이미경(Mi-Kyung Lee),김명주(Myung-Joo Kim),조수열(Soo-Yeul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6

        섬유소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Sprague Dawley 웅성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투여하여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도록 조제한 식이에 섬유소 무급여, 셀룰로오스와 펙틴을 각각 5%, 10% 급여하여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섬유소 급여시 무급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펙틴이 셀룰로오스에 비해 감소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농도는 섬유소 급여수준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펙틴 급여시 더 현저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섬유소 급여함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셀룰로오스 급여군에 비해 펙틴 급여군에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킬로미크론 농도는 펙틴이 셀룰로오스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VLDL-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섬유소 급여수준 증가에 따른 감소효과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펙틴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이섬유 급여는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 및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켰는데, 특히 10% 펙틴 급여시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olesterol and fiber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administrate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and were fed on diet containing three concentrations(0%, 5%, 10%) of cellulose and pectin, respectively. The rats were sacrified after 5 weeks of feeding periods.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level of fiber. Phospholipid concentration was more decreased in 10% fiber groups than 5% fiber groups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fiber types.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concentration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fiber supplement and pectin was more effective than cellulose in cholesterol-lowering effect. Whereas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HDL-C/TC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level of fiber and the effect of pectin was not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cellulose. Serum chylomicron-cholesterol concentration also showed significant decrease by pectin supplement and LDL-, V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10% fiber groups than those of 5% fiber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10% pectin may have beneficial roles in hypercholesterolemia.

      • KCI등재

        납투여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녹차, 감잎, 홍화 열수추출물의 영향

        김명주(Myung-Joo Kim),조수열(Soo-Yeul Cho),장주연(Joo-Yeun Jang),박지윤(Ji-Yoon Park),박은미(Eun-Mi Park),이미경(Mi-Kyung Lee),김덕진(Duk-Ji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및 홍화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당 25 ㎎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녹차잎,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여 사육한 결과 헤마토크릿치, 헤모글로빈 함량 및 적혈구수는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로 감소 정도가 완화되었다. 혈액과 간조직 중의 ALA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열수 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되었는데 그 효능은 혈액학적 성상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 AST, AL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에 의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잎과 홍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 활성 및 GSH 함량은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GSH-Px 활성은 감소된 반면,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으로 인한 적혈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가 완화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GT), persimmon leaf (PL) and safflower seed (SS) on heme synthesi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ead (Pb)-admin- istered rats.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normal, Pb-control (Pb-Con), Pb-GT, Pb-PL and Pb-SS groups with ten rats per group. Pb (25 ㎎/㎏. BW) was orally administerd once a day for 4 weeks. The extract of GT, PL and SS were administered based on 1.26 g of raw traditional tea/㎏ BW/day. Blood hematocrit, hemo- globin level and red blood cell cou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b-Con group than in normal group. However, the supplementation of GT, PL and SS were effective to improve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Plasma AST and AL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b-GT, Pb-PL, Pb-SS groups than in Pb-Con group. The δ-amino- levulinic acid dehydratase (ALAD) activity of blood and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Pb-Con group com- pared to those of the normal group. The ALAD activity in Pb administered rats was recovered to the normal level by the water extract of GT, PL and SS supplementation.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b-Con group than in normal group, whereas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lowered in Pb administered rats. The extract of GT, PL and SS supplement attenuated changes of these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by Pb intoxication.

      • KCI등재후보

        칡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알코올 대사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김명주(Myung-Joo Kim),이정수(Jeung-Soo Lee),하오명(Oh-Myung Ha),장주연(Joo-Yeun Jang),조수열(Soo-Yeul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갈화와 갈근이 알코올성 간손상 흰쥐의 알코올 대사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 열수추출물을 2수준으로 나누어 5주간 급여한 후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과 식이효율은 알코올 투여시 감소하였으며 갈화와 갈근추출물 급여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장기 무게에 미치는 칡추출물의 영향은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간, 뇌와 심장 무게를 감소시켰는데 갈화가 갈근에 비하여 뇌와 심장 무게의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대사효소 활성 변화에서 알코올 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된 ADH와 MEOS 활성은 칡추출물 급여시 감소된 반면 AlDH 활성은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는데 칡추출물 급여시 그 활성이 증가되었다. MAO 활성과 과산화수소 함량도 알코올 투여시 증가되었으며 갈화와 갈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와 갈근 열수추출물 급여는 알코올 중독된 흰쥐의 알코올 대사계 효소 활성 변화에 영향을 미쳐 알코올성 간손상 완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Pueraria flos (PF) and Pueraria radix (PR) water extract on the hepatic alcohol metabolic enzyme activities were examined in rats that were orally administered ethanol (25% v/v, 5 g/kg body weight/day) for 5 weeks. The PF and PR water extract were supplemented in a diet, based on 1.2 g or 2.4 g of raw PF or PR/kg body weight/day. Alcohol administration without the PF or PR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net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ratio. However, both dose of the PF or PR supplement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enhancement of growth and suppression of increased relative weight of liver, brain and heart by alcohol administration. Activities of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and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were higher in the alcohol treated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ile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alcohol treated group. The hepatic metabolic enzyme activities altered by alcohol administration were normalized by both doses of PF or PR supplement. Hepatic monoamine oxidase activity and hydrogen peroxide,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 treated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ere also decreased by the supplementation with either PF or P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 or high- supplementation of either water extract PF or PR may allevia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by altering alcohol metabolic enzyme acitivities.

      • SCOPUSKCI등재

        갈화와 갈근 열수추출물이 에탄올 투여 흰쥐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조수열(Soo-Yeul Cho),장주연(Joo-Yeun Jang),김명주(Myung-J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갈화와 갈근의 에탄올성 간손상 흰쥐의 혈액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로 5주간 급여한 후 효과를 관찰하였다. 간손상 지표 효소인 혈청 AST, ALT, ALP와 γ-GTP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되었으나 칡추출물 급여로 감소되었으며, γ-GTP의 경우 갈화추출물이 갈근추출물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활성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혈당치와 간조직의 글리코겐 함량은 에탄올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칡추출물 급여시 증가되었다. 칡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갈근추출물에 비해 갈화추출물이 함량 증가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 되었으며 칡추출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 크레아티닌과 요산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에탄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갈화와 갈근급여군에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와 갈근추출물이 에탄올 투여로 인한 간조직 손상 지표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에탄올성 간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effect of each water extract from Pueraria flos (PF) and Pueraria radix (PR) on serum several biomarkers in ethanol-treated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 Normal (None-treated group); Ethanol (only ethanol-treated group); EPF I (ethanol-treated, PF I-supplemented group); EPFⅡ (ethanol -treated, PFⅡ-supplemented group); EPR I (ethanol-treated, PR I- supplemented group); EPR (ethanol-treated, PRⅡ-supplemented group). Five groups of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25% ethanol (5 g/kg body weight/day) and sacrified 5 weeks post treatmen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and γ-glutamyl transpeptid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feeding of PF or PR than those of only ethanol-treated group. Whereas serum glucose and liver glycoge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y ethanol administration and increased by PF or PR supplement. Albumin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only ethanol-treated group but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y Pueraria flos or radix supplement. Creatinine and uric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ed (p<0.05) in PF and PR groups than only that of ethanol-treated group. Bilirubin contents were increased by ethanol administr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y PF or PR supplement. This results indicate that Pueraria flos and radix water extract supplement improves alcoholic disorder.

      • KCI등재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박지윤(Ji-Yoon Park),장주연(Joo-Yeun Jang),이미경(Mi-Keung Lee),박은미(Eun-Mi Park),김명주(Myung-Joo Kim),손동화(Dong-Hwa Son),정현채(Hyun-Chae Chung),조수열(Soo-Yeul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민들레의 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Wistar계의 이유한 웅성 흰쥐 64 마리를 난괴법으로 8군으로 나누어 streptozotocin(55 mg/kg BW)과 식이 kg당 11.45 g의 민들레가 함유되도록 부위와 분획별로 나누어 식이에 첨가하여 50일간 사육하였다. 당뇨-대조군의 총혐기성균은 14일간 증가하다가 당뇨로 인하여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잎 추출물 급여시 50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뿌리-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급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총혐기성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잎과 뿌리의 추출물 급여초기인 14일의 총호기성균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35일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0일에 총호기성균수의 변화결과는 총혐기성균의 변화양상과 유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장내 미생물의 변화는 당뇨가 유발된 50일에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잎-열수 추출물군과 잎-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에서 Lactobacillu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E. coli 감소는 잎과 뿌리의 열수 추출물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군이 당뇨-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이며 특히 열수 추출물군의 E. coli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실험결과 민들레추출물이 당뇨유발된 흰쥐의 장내 미생물에 유익한 효과로 숙주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Male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diabetic control and dandelion extract groups. The extracts were prepared by water, ethylacetate and ether from leaf and root, respectively. Diabetes was induced by injecting streptozotocin (55 mg / kg BW, i.p.) in citrate buffer. The extract was supplemented in 11.45 g of raw dandelion / kg diet for 50 days. The growth of Lactobacillus was more enhanced in dandelion leaf-water and leaf-ethylacetate extract group than that of the diabetic control group, whereas the growth of E. coli decreased. Results indicate that the dandelion extracts would be effective to improve the intestinal microorganisms.

      • KCI등재

        전통음료 소재가 납투여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 및 간과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조수열(Soo-Yeul Cho),김명주(Myung-Joo Kim),이미경(Mi-Kyung Lee),박은미(Eun-Mi Park),장주연(Joo-Yeun Jang),최정목(Jeung Mok Choi),김덕진(Duk-Ji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2

        전통음료의 소재로 애용되는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 및 간과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당 25 ㎎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녹차잎, 감잎, 홍화씨 및 두충수피의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전통음료 소재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인한 혈청과 간조직의 납축적 억제와 혈청 중의 철과 구리 함량 증가에 효과적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납투여시 혈청 중 포도당과 알부민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크레아티닌과 빌리루빈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반면, 실험식이 급여시 이들 혈청 중 성분함량의 회복을 보였다. 또한 간조직 및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는 납단독투여군에서 괴사성 소견 및 염증세포의 출현이 관찰되었으나 전통음료 소재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조직학적 변화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on lead (Pb) accumulation and histological changes in Pb-administered rats. Male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 normal, Pb, and Pb-water extra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green tea: GT, persimmon leaf: PL, safflower seed: SS, Eucommia ulmoides: EU) groups. Pb (25 ㎎/㎏ BW)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4 weeks. The extract of GT, PL, SS, and EU were administered based on 1.26 g of raw traditional tea materials/㎏ BW/day. Pb contents of serum and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b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water extracts of GT, PL, SS, and EU administration lowered Pb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the Pb-administered rats, respectively. Serum Z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b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ereas, Cu and Fe contents were lower in the Pb group. Hepatic Ca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b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the present study, water extra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administration effectively improved Cu and Fe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filtration of the local inflammation was found in Pb group, whereas water extracts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administration attenuated histological changes of tissues.

      • KCI등재

        Genistein과 Daidzein 급여가 제2형 당뇨동물모델의 적혈구와 조직 중의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박선애(Sun Ae Park),김명주(Myung-Joo Kim),장주연(Joo-Yeun Jang),최명숙(Myung-Sook Choi),여지영(Jiyoung Yeo),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9

        제2형 당뇨 동물모델(C57BL/KsJ-db/db)을 대상으로 대두 이소플라본의 주성분인 genistein과 daidzein의 항산화효능을 검증하고자 5주령의 수컷 C57BL/KsJ-db/db 마우스와 그의 이형접합체인 C57BL/KsJ-db/+ 마우스를 2주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비당뇨군(db/+), 당뇨대조군(db/db), genistein 급여군(db/db-genistein), daidzein 급여군(db/dbdaidzein)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부고환지방과 신주변지방의 조직무게는 당뇨군(db/db)이 비당뇨군(db/+)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심장무게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Genistein과 daidzein 급여는 장기무게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적혈구의 SOD와 CAT활성은 혈당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GSH-Px활성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SOD와 CAT활성은 db/db군이 d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GSH-Px 활성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Genistein과 daidzein 급여로 db/db군의 증가된 CAT활성은 감소되었으며 GSH-Px활성은 높게 나타났다. 적혈구의 GSH함량은 당뇨군들이 비당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genistein과 daidzein에 의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간, 신장 및 심장조직 내 SOD활성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간조직 중 CAT와 GSH-Px활성과 신장조직 중의 GSH-Px활성은 db/db군이 db/+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신장조직 중의 CAT활성과 심장조직 중의 CAT와 GSH-Px활성은 낮았다. 그러나 genistein과 daidzein 급여는 고혈당으로 인한 조직 내 CAT와 GSH- Px활성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적혈구를 비롯하여 모든 조직 내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db/db군이 db/+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genistein과 daidzein 급여로 간, 신장과 심장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와 같이 genistein과 daidzein은 제2형 당뇨동물에서 고혈당으로 야기되는 적혈구와 조직 내 항산화효소 변화를 완화하고 간, 신장 및 심장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을 낮추는 것으로 관찰됨으로써 이들의 항산화작용을 통한 당뇨 합병증을 예방할 것으로 사료된다. Our preliminary study showed that genistein and daidzein improved blood glucose level in type 2 diabetic mice by enhancing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genistein and daidzein are associated with alterations in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of type 2 diabetic mice. Male C57BL/KsJ-db/db (db/db) mice and age-matched non-diabetic littermates (db/+)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b/db mice were divided into control, genistein (0.02%, w/w) and daidzein (0.02%, w/w) groups.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epididymal adipose tissue and perirenal adipose tiss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b/db group than in the db/+ group, whereas heart weight was lower. The genistein and daidzein supplement did not affect the organ weights in db/db mice. The blood glucos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peroxide dismutase (SOD, r=0.380, p<0.05) and catalase (CAT, r=0.345, p<0.05) activitie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r=-0.404, p<0.05) activity in erythrocyte. Therefore, the erythrocyte SOD and CA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db/db group compared to the db/+ group and the GSH-Px activity was lowered. However, the supplementation of genistein and daidzein reversed erythrocyte CAT and GSH-Px activities in type 2 diabetic mice. In this current study, the SOD activities in liver, kidney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CAT and GSH-Px activities in liver and GSH-Px activity in kidn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b/db group than in the db/+ group, while the CAT activity in kidney, CAT and GSH-Px activities in heart were lowered. The supplementation of genistein and daidzein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changes of CAT and/or GSH-Px activities in liver and heart. The supplementation of genistein and daidzein elevated GSH levels in kidney and heart compared to the db/db control group. The lipid peroxide levels in liver, kidney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genistein and daidzein supplemented groups compared to the db/db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istein and daidzein might be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of type 2 diabetic complication via suppressing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with simultaneous reduction of lipid peroxidation.

      • SCOPUSKCI등재

        메티오닌과 셀렌이 에탄올 중독된 흰쥐의 뇌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조수열(Soo-Yeul Cho),이미경(Mi-Kyung Lee),박은미(Eun-Mi Park),장주연(Ju-Yeun Jang),김명주(Myung-J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1

        에탄올 투여로 인한 뇌조직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식이성 Met과 Se의 효과를 구명코자 Se을 결핍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Met을 수준(0, 3, 9g/kg diet)별로 급여하였으며, 실험기간은 5주와 10주로 사육하여 뇌조직의 알코올 대사효소와 유리기 제거 효소계의 활성을 관찰하였다. 알코올 대사효소인 ADH 활성은 5주와 10주군에서 에탄올 투여시 증가되었고 Met 정상급여군이 결핍과 과량급여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AIDH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특히 Met와 Se 동시 결핍시 감소가 가장 현저하였다. 투여기간이 길수록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AO 활성은 에탄올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et 급여에 의해 활성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5주 및 10주 모두 Met 과량급여군이 결핍과 정상급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SH-Px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Met과 Se 동시결핍군에서 가장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Met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주군이 5주군에 비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에탄올 투여로 증가된 GST 활성은 Met 결핍에 의해 더욱 가중되었으며 10주군이 5주군에 비해 GS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보아 장기간의 Met 결핍은 에탄올 중독을 심화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Catalase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고 Met 결핍군이 정상급여군 빛 과량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GSH 함량은 에탄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는데 Met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에탄올로 인해 감소된 GSH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10주군이 5주군에 비해 증가 정도가 현저하였다. 과산화의 지표인 LPO 함량은 에탄올 투여시 증가되었고 Met 결핍군은 정상급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특히 Met 과량급여 시 5주군에 비해 10주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e 결핍시 Met 급여로 인해 에탄올 대사효소의 활성 증가 및 에탄올에 의해 증가된 뇌의 지질과산화를 줄이는 것으로 보아 Met이 생체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Se 결핍으로 증가된 지질과산화 반응에 대한 보호와 적응 수단으로써 방어효소의 활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thionine(Met) on the activities of brain lipid peroxidation related enzymes in ethanol administrated rats of selenium(Se) deficienc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Se deficiency diets containing one of the three levels of Met(0, 3, 9g/㎏ diet) and ethanol(2.5g/㎏ of body weight) was administrated as 25v/v% ethanol treated groups orally. The rats sacrificed after 5 and 10 weeks of feeding periods.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ethanol treated groups and was higher Met normal group than Met deficiency and excessive groups at 5 and 10 weeks dieting.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was decreased in ethanol treated group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t deficiency group. Monoamine oxidase activity in brain was increased in ethanol treated groups and was predominently increased in Met deficiency groups.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ethanol treated groups and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level of dietary methionine.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catalase activities and lipid peroxide content were increased by ethanol administration and were higher Met deficiency group than normal and excessive groups.

      • SCOPUSKCI등재

        민들레잎추출물의 흰쥐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과

        조수열(Soo-Yeul Cho),박지윤(Ji-Yoon Park),오연진(Yeon-Jin Oh),장주연(Joo-Yeun Jang),박은미(Eun-Mi Park),김명주(Myung-Joo Kim),김광수(Kwang-So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4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와 민들레추출물을 분획별(열수추출물군,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군, 에테르추출물군)로 나누어 급여하여 민들레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열수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식이효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과 간조직 중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릴에스테르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 트추출물군의 간조직 중의 중성지질, 유리콜레스테롤 및 총콜레스테롤의 감소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인지질 농도는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인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간조직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는 경향이었다.<br/> 혈청 중 킬로미크론,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는데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군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동맥경화지수는 민들레추출물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br/>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열수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ACAT 활성은 민들레추출물 급여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 민들레추출물 특히,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급여는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간조직 중 ACAT 활성을 감소시키므로써 혈청과 간조직의 총콜레스테롤과 유리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was investigated in high cholesterol-fed rats. Four groups of rats were given a high cholesterol diet containing 10 g cholesterol/kg and 2.5 g sodium cholate/kg for 6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without dandelion leaf extracts and the other three groups received with one of dandelion leaf extracts (water, ethyl acetate, ether), respectivel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ater group than control group.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chylomicron and V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lower, whereas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andelion leaf extract supplemented-groups than control group. Dandelion extract increased HDL-C/total-C ratio and lowered atherogenic index. Hepatic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concentrations lowered in dandelion leaf extrac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Especially, hepatic triglyceride and free 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ethyl acetate extract group than in water and ether extract groups. Dandelion leaf extract supplements did not affect hepatic phospholipid cencentration. Hepatic HMG-CoA reduct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water extract group than the others. ACAT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dandelion extract supp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