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상담에 나타난 과대자기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와 기독교상담적 대안

        장정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understanding the grandiose sense of self typically observed in the therapeutic setting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and providing its therapeutic model for Christian counseling. This paper is based on some example cases of child analysis in which the children’s grandiosity is distinguished. Psychoanalysts views the grandiosity differently based on their own understanding of narcissism and its therapeutic intervention. Kernberg contended that narcissism should be overcome so that the healthy analytic relationship between analyst and patient can be formed. However, Kohut maintained that narcissism in the analytic setting should be accepted and allowed because it is a driving force of human psychological development. Relational psychoanalysis has tried to integrate two different tradition with its own terms, “old object,” and “new object.” “Persuasive God” in the process theology can be a therapeutic model for Christian counseling to integrate two different therapeutic interven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의 아동상담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 아동의 과대자기감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치료적 개입의 통합적인 기독교상담적 모델을 제공하려는 데 있다. 정신분석적 아동상담은 아동이 자신의 내적 세계 놀이를 통해 충분히 표현하고 드러낼 수 있도록, 상담자가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상담 관계를 제공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아동이 가진 내적 환상은 저항의 벽이 희미해진 이런 상담 관계에서 놀이를 통해 나타나기 시작한다. 본 연구자는 임상경험을 통해 이 내적 환상이 자신의 특별한 힘과 가치를 과도하게 표현하려는 과대자기감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정신분석 발달사에서 극단적인 양상을 띠는 과대자기감의 이론과 그 치료적 개입에 주목했다. 해석과 공감으로 묘사될 수 있는 이 정신분석적 치료 개입의 극단적 양상을 최근 관계 정신분석은 옛 대상과 새로운 대상 개념을 도입하여 통합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과정신학의 “설득하시는 하나님” 개념이 이 과대자기감의 통합된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독교상담적 모델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인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장정은,구자경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B)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social support that a Chinese student perceived f rom Korean Society and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through t 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s used to fathom the depth of individual/personal experiences.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have been analyzed an d inte rpreted to constitute the meanings in a way of the story. The stories of what the participant has experienced have been deeply explored in multi dimensions of temporal, spatial and social context. As a result it shows that this Chinese participant became able to perceived him/herself as worthy and deserved by receiving t he social supports that Koreans provided inclu ding t he unconditional loving ca re, the sincere kindness, the respect and acknowledgement of what he/she achieved and the freedom to express his/her own feelings, which are of their Christian(religious) values. And also the positive expectation of Koreans and competency of Korean language are the affirmative factors that make him/her be able to get the social support from Korean Society. It is expected that this narrative on the social supports which a Chinese participant experienced in Korean Society will be used as a primary resource to help the Chinese students to acclimate themselves into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한 사회적 지지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인간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이야기형식을 통해 분석하고 해석하여 그 의미를 구성하였으며, 참여자의 경험이야기는 시간성, 사회성, 장소의 맥락으로 이루어진 삼차원적 공간에서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재한 중국인 유학생 연구 참여자는 한국인들과의 관계에서 기독교신앙인의 조건 없는 사랑, 인간적인 친절, 잘하는 것에 대한 인정,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존중해주는 등의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로 존중받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한국어 능력은 그녀가 한국인들과 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지지경험에 대한 이해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을 돕는 기초자료 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QGIS를 이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질 분석 및 평가 - 21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장정은,권혜연,신해선,이상철,유병혁,장진,최송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1

        Among protected areas, National Parks are rich in biodiversity, and the benefits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to human are higher than the others.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is being used to manage the value of national parks based on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Ecosystem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four services: supporting, provisioning, regulating and cult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abitat quality among supporting services. Habitat Quality Model of InVEST was used to analyze. The coefficients of sensitivity and habitat initial value were reset by reflecting prior studi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protected areas. Habitat quality of 21 national parks except Hallasan National Park was analyzed and mapped.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was evaluated to be between 0 and 1, and the closer it is to 1, the more natural it is. As a result of habitat quality analysis, Seoraksan and Taebaeksan National Parks (0.90), Jiri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0.89), and Sobaeksan National Park (0.88)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ord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rea and habitat quality of 18 national parks except for coastal-marine national parks, the larger the area, the higher the overall habitat quality. Comparing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of each zone,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park nature preservation zone, the park nature environmental zone, the park cultural heritage zone, and the park village zone. Considering both the analysis of habitat quality and the legal regulations for each zone of use, it is judged that the more artificial acts are restricted, the higher the habitat qu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habitat quality of 21 National Parks by readjusting th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It is expected to be easy to intuitively understand through accurate data and mapping, and will be useful in making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the future.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으로 다른 곳에 비해 인간에게 제공되는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립공원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공급, 조절, 문화, 지지의 4가지 서비스로 분류되며, 본 연구에서는 지지서비스 중 서식지질을 평가하 였다. 서식지질 평가는 InVEST의 Habitat Quality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 및 국내 보호지역 실정을 반영하여 인자별 민감도 및 서식지질 초기값 계수를 재설정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의 서식지질을 분석하고 지도화하였다. 서식지질은 0과 1사이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자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서식지질 분석결과 설악산·태백산국립공원(0.90), 지리산·오 대산국립공원(0.89), 소백산국립공원(0.8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안-해상형 국립공원을 제외한 18개 국립공원의 면적과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면적이 넓을수록 전반적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용도지구별 서식지질을 비교한 결과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 공원마을지구 순으로 서식지질이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질 분석과 용도지구별 법적인 규제를 함께 고려하였을 때, 인위적인 행위가 제한될수 록 서식지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보호지역 상황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21개 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적확한 수치와 지도화를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이 용이하며, 향후 보호지역의 개발 및 보전에 관련한 정책 결정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자기평가 실시에 따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변화

        장정은,표경현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elf-assessment in a classroom setting. The current study adopted Guglielmino’s (1977)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changes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ver time: self-directedness, responsibility,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 class of 24 students enrolled in Current English Practice was observed for 15 weeks, where four self-assessment sessions were administered. After mid-term exam,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self-assessment helped students with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students of a group regarding possibl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e course of tim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students felt positive changes in those four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y the implementation of self-assessment in the classroom. Second,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supported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that self-assessment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However, there is a research limitation that the impact of self-assessment cannot be singled out because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n class.

      • KCI등재

        자연공원 종류별 서식지질 비교

        장정은,김민태,권혜연,신해선,유병혁,이상철,최송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6

        Awareness of the ecological value and importance of protected areas has increased as climate change accelerates, a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nature. The natural park, which is a representative protected area in Korea, has a system of national parks, provincial parks, and county parks. National parks are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but local governments manage provincial parks and county parks. There may be the same hierarchical differences in naturalness (habitat quality)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the natural parks, but it has not been verified. To identify differences, we examined 22 mountain-type natural parks using habitat quality using the INVEST model developed by Stanford University. The analysis of the habitat quality, regardless of the type and area of the natural park, showed that it was higher in the order of Taebaeksan National Park (0.89), Juwangsan National Park (0.87), Woongseokbong County Park (0.86), and Gayasan National Park (0.85). The larger the area, the higher the value of habitat quality. A comparison of natural parks with similar areas showed that the habitat quality of national parks was higher than that of provincial parks and park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habitat quality of county parks was 0.83±0.02, which was 0.05 higher than that of provincial parks at 0.78±0.03. Furthermor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forest areas within the natural park, the higher the habitat quality.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naturalness of natural parks was independent of their hierarchy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naturalness depending on land use, land coverage, and park management. 보호지역의 생태적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호지역인 자연공원은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국립공원은 국립공원공단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으나 도립공원과 군립공원은 지방자체단체가 관리하고 있다. 자연공원의 위계에 따라 자연성 또한 같은 위계적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검증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공원 중 산악형 22개소를 대상으로 InVEST 모델 중 서식지질(habitat quality)을 이용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자연공원의 종류와 면적에 관계없이 서식지질을 분석한 결과 태백산국립공원(0.89), 주왕산국립공원(0.87), 웅석봉군립공원(0.86), 가야산국립공원(0.8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질은 면적이 넓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면적이 유사한 자연공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의 서식지질은 도립공원과 군립공원에 비해 높았다. 반면 군립공원의 서식지질 평균은 0.83±0.02으로 도립공원의 서식지질 평균 0.78±0.03보다 0.05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자연공원내에서 산림지역 비율이 높을수록 서식지질 또한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자연공원의 자연성은 자연공원의 위계와 같지 않고 토지이용, 토지피복 그리고 공원관리 등에 따라 자연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