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위 유암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에 대한 후향적 연구

        장정문,공성호,윤홍만,안혜성,이혁준,윤원재,김상균,양한광,이건욱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4

        목적: 위 유암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치료방법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았던 1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Rindi 분류에 의해 구분하여, 기존의 보고와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치료,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ype I은 8명, type III가 10명이었으며 type II는 없었다. 평균발생 연령은 type I이 47.75세, type III는 57.90세였고, type I은 남자 4명, 여자 4명으로 성비가 1:1이었으나 type III는 남자 7명, 여자 3 명으로 남자에서 많았다. Type I에서도 단발성인 경우가 4예가 있었으며, 1예를 제외하고는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고, 림프절 전이나 원격전이는 없었다. Type III는 병변의 침습성에 관계없이 모두 국소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었다. 진단 시 원격 전이가 없었던 13명 중 5예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8예에선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5년 생존율은 92.3%였다. 원격 전이가 있었던 5예는 평균 생존 기간이 22개월로 이 중 고식적 수술을 시행 받은 3예의 중위 생존 기간은 24개월이었다(95%, ±6.52). 결론: 기존의 Rindi 분류법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본 연구결과 빈도에 있어서 type III가 type I보다 흔하였다. 또한 type I 유암종에 있어서 평균연령이 낮고, 단발성 종양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악성빈혈이 동반되지 않았던 점 등에서 서구와는 다른 특징이 관찰되었다.

      • 위 유암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에 대한 후향적 연구

        장정문,공성호,윤홍만,안혜성,이혁준,윤원재,김상균,양한광,이건욱,Jang, Jeong-Moon,Kong, Seong-Ho,Yoon, Hong-Man,Ahn, Hye-Seong,Lee, Hyuk-Joon,Yoon, Won-Jae,Kim, Sang-Kyoon,Yang, Han-Kwang,Lee, Kuhn-Uk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 유암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치료방법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았던 1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Rindi 분류에 의해 구분하여, 기존의 보고와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치료,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ype I은 8명, type III가 10명이었으며 type II는 없었다. 평균발생 연령은 type I이 47.75세, type III는 57.90세였고, type I은 남자 4명, 여자 4명으로 성비가 1:1이었으나 type III는 남자 7명, 여자 3 명으로 남자에서 많았다. Type I에서도 단발성인 경우가 4예가 있었으며, 1예를 제외하고는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고, 림프절 전이나 원격전이는 없었다. Type III는 병변의 침습성에 관계없이 모두 국소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었다. 진단 시 원격전이가 없었던 13명 중 5예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8예에선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5년 생존율은 92.3%였다. 원격 전이가 있었던 5예는 평균 생존 기간이 22개월로 이 중 고식적 수술을 시행 받은 3예의 중위 생존 기간은 24개월이었다(95%, ${\pm}6.52$). 결론: 기존의 Rindi 분류법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본 연구 결과 빈도에 있어서 type III가 type I보다 흔하였다. 또한 type I 유암종에 있어서 평균연령이 낮고, 단발성 종양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악성빈혈이 동반되지 않았던 점 등에서 서구와는 다른 특징이 관찰되었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id tumor, which is a rare gastric tumor (less than 2% of all gastric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all the carcinoid patients who were treated from 1996 to 2006.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survival rates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Results: There were 8 type I patients and 10 type III patients, but there were no type II patients. The mean age of onset for type I was 47.75 years and that for type III was 57.90 years. More type III patients were female, but the gender ratio of type I patients was equal at a ratio of 1:1. There were 4 cases of solitary tumor, which were all T1 except for one case, and there was neither distant metastasis nor lymph node involvement for the type T1 cases. In the 13 patients who had no metastasis, 5 underwent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8 underwent surgery, and their combined 5 year survival rate was 92.3%. For the 5 cases who had metastastses, their mean survival was 22 months and especially, 3 of them underwent palliative surgery and their median survival were 24 months (95%, ${\pm}6.52$). Conclusion: Higher incidence of type III gastric carcinoid tumor and less multiplicity in type I gastric tumor were identified in our study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For the type III cases, there were some noteabl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Western country's survival rate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palliative surgery, so physicians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finit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rcinoid patient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조례 분석: 1인 가구 지원 조례와 1인 가구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조례 비교를 중심으로

        장정문,정민자 가정과삶의질학회 2024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109개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129개의 1인 가구 지원 조례의 조항을 분석하였다. 1인 가구에공통으로 포함되어 있는 ‘목적, 기본 이념과 기본 원칙, 책무, 기본 계획과 시행 계획, 지원 사업, 지원 대상, 전달 체계’의 조항을분류하고, 유목화⋅서열화⋅수량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1인 가구 지원 조례 조항이 가진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급격히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지자체에서는 1인 가구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고, 매년 1인 가구를위한 조례를 제정하는 지자체가 증가세에 있으나 현재 조례 제정은 전체 지자체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1인 가구 지원 조례조항을 통해 본 1인 가구 지원 조례의 특성은 첫째, 다양한 1인 가구의 형태에 부합되는 정책이 부족함을 들 수 있다. 둘째, 조례의내용 면에서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기보다 일률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셋째, 1인 가구의 복지 측면보다 예방 차원의 조항과 내용이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1인 가구 지원 조례 제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1인 가구의 특성에 부합되는 조례의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of January 2023, this study analyzed the provisions of 129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s implemented by 109 local governments. The provisions of “purpose, basic ideology and basic principles, responsibilities, basic plans and implementation plans, support projects, targets for support and delivery systems” were classified.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 through the process of nomadicizing, ranking, and quantifying the classified provisions. As a policy support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local governments enact and implement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s, and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enacting ordinances for one-person households is on the rise every y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 as seen through the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 were first lacking policies suitable for various one-person households, Second, it contains more uniform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ordinance, and thirdly, preventive provisions and content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welfare of on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enactment of an ordinance supporting on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ordinance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 KCI등재
      • Fabrication of MnO<sub>2</sub>/Carbon porous nanofiber for highly efficiency capacitive energy storage

        전재,장정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One-dimensional (1D) structured nanomaterials with highly complex inner pore were significant to enhance th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for supercapacitor. Here, we report a MnO<sub>2</sub>/Carbon porous nanofiber (MPCNF) using simple single nozzle-co-electrospinning and redox reaction. Single nozzle-co-electrospinning was simple and facile method to synthesize the 1D carbon porous nanofiber with inner pores using two immiscible polymer solutions. Then, MnO<sub>2</sub> wa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porous nanofiber and inner pore. With large ion accessibility, faster charge transport and increased MnO<sub>2</sub> deposition, the MPCNF exhibited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837 F g<sup>-1</sup>. Furthermore, MPCNF displayed excellent cycling performance of ~87.3% capacitance retention over 5000 cy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