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다문화밀집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장인실,박영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4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더불어 다문화학생이 밀집되는 학교가 생겨나게 되고, 이에 따라 학교의 교육과정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경기도 교육청은 다문화학생이 밀집된 학교를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된 세 초등학교를 바탕으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자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된 세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다문화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세 학교 공통적인 내용 요소 및 운영 방법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운영 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규 교육과정운영이 어려운 다문화밀집지역 학교의 다문화교육과정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이 아래와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중언어 수업 교실 운영이다.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한 다문화학생들은 모어를 통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받고, 국제화시대에 외국어교육을 강화하기를 희망하는 일반 학생들은 그들의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교과를 이중언어로 배우는 것이다. 둘째, 학생 단계에 따른 맞춤형 국어 수업이다. 맞춤형 국어 수업은 다문화학생에게는 한국어를 수준에 맞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일반학생들은 학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통합교육과정 개발 및 수업 자료 보급이다. 기존 교과서를 통합하여 연계성 있고 지속성 있는 다문화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문화이해 교육에서 벗어나 비판적 사고 및 사회 행동적 접근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학생 적응 지원을 위한 디딤돌 교실 운영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하다. 특별 학급 및 예비 학급에서 일반학급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서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디딤돌 교실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한국어 부족 학생 상담을 위한 통역 동반 상담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생 및 교육과정 운영에 맞는 평가 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이중언어로 진행하는 교과 교육 및 맞춤형 국어 수업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적합한 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여섯째, 국가 및 지역 교육청의 다각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의 비율 증가로 정규 교육과정 운영이 어려운 다문화밀집지역의 학교에서 모든 학생의 성장을 위해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고 그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schools with a high number of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we interviewed with teachers who in charge of developing curriculum of three multiculture global elementary schools. We extracted common contents and system of multiculture curriculum based on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recommend a bilingual immersion class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difficult to speak Korean and for Korean students who want to learn foreign languages. Second, we recommend to rearrange Korean classes in line with students’ proficiency level because there are many students whose fisrt langauge is not Korean. Customized Korean language classes provide an opportunity for multicultural students to learn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s and proficiency level, and in turn, the students can expect to improve academic attainment. Third, there need to be more integrat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top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will lead to critical thinking reflecting social-behavioral approaches. Forth, there need to be scaffolding classes and counselling sessions for multicultural students. Fifth, there need to be appropriate evaluation systems for students and curriculum. Sixth, multi-directional support from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is required. These findings could have a significance contribution to develope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everyone.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장인실,차경희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1

        Multicultural families have literally started to settle in Korea since the late 1980s, yet it was not until the middle of 2000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ctually arisen with its full-scale discussions. Domestic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now remarkably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and points of views, but with no certain level of collec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yet. To seek Korean way of finding out appropriate solutions to its multicultural society, a contemporary major trend in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keep developing the theory and practice i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constructive criticism over the development. In this thesis,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the times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themes of the study.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mes, in particular, is done based on the four core areas presented by Bennett: equity pedagogy, curriculum reform,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ocietal equity. Furthermore, the analysis includes the five additional Korean sub-categories, which are also acquired in the process of our analysis of the thesis: multiculturalism,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counselling research,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itizenship education, added to Bennett’s three sub-ones of each area. Overall, based on the analysis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further improvements and subsequent research themes in the following researches o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한국에서 다문화가정이 정착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대 후반부터이지만, 본격적으로 다문 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0년대 중반 이후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 는 최근 들어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분석이 뒤따르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다문화교육의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연구재단 등재와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교육 관련 논문 302편을 분 석하였다. 분석은 시기별 연구동향, 연구범주 및 연구대상, 연구주제별로 실시되었다. 특히 연구주제 분석은 Bennett이 제시한 다문화교육의 네 가지 핵심 영역- 평등교육, 교육과정개 혁, 다문화적 역량, 사회정의-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Bennett의 각 영역별 3개씩의 하위영 역 범주에 의한 논문 분석 과정에서 추가로 추출해낸 5개의 한국적 범주인 다문화주의, 외 국의 다문화교육, 상담연구, 척도개발, 시민교육이 추가되어 연구의 분석틀로 사용되었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다문화교육 연구에 대한 제언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장인실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오늘날 미국 교육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되어지고 있는 주제는 다문화 교육이다. 다문화 교육은 다양성을 인정하고 평등교육을 추구하는 교육으로 획일화되고 중앙집권적인 한국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문화 교육은 미국과 같은 다문화 국가에게만 적용되는 교육이라고 생각을 할 수 있으나, 다문화 교육은 민족이나 인종의 개념을 넘어서 평등을 향한 교육철학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과정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모델이 한국 교사교육과정 개편에 주는 시사점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으로는 단계적인 교육과정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전문위원회 조직, 예비고사의 자기고찰 및 반성, 실용적인 수업 방법 과목의 설치, 교사 시보제 운영, 교수 방법을 통한 집단 안에서의 개별화, 통일교육을 위한교사의 의식과 태도변화에 기본적인 틀의 제공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ggestions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One of the most popular research areas in America nowadays is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considers equal education and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s. Equal education goes beyond providing the same opportunities and resources for all students. Equal education means that the skills, talents, and experiences that all student bring to the classroom need to be considered valid starting points for further schooling.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s imply that teacher should provide instruction with consideration to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To identify the suggestions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the researcher investigates meanings, historical development, curriculum mode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uggestions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re below. First, the hist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that the reform of curriculum and its application occurred slowly, which were contrast to the reform of curriculum in Korea. For successful reform of curriculum, it should establish a continuous organization group of curriculum specialis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successively.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tell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for changing a teacher's attitude. Third, a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include courses to teach practical skills for equal education, such as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s, individualized evaluation method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design. Fourth, based on Goodwin's model, the teacher apprenticeship is considered to include in Korean teacher education for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 Fifth,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introduce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s within a classroom. Sixth, multicultural education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다문화학생 밀집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변화에 관한 연구: 학교 혁신의 관점에서

        장인실,이은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ontinuous transformation in schools that have a high concentration of culturally diverse students. The study was done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hang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hools. This study selected three multicultural innovative international schools that had shown attempts to reform the curriculum. Fullan's Educational Change Process Model was used as a framework to analyze the chang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prolonged implementation phase," "cyclical changes in the introduction and execution phases," and "gradual changes to the introduction, execu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pha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se schools.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혁신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의 교육 과정 개혁을 위한 시도로써 경기도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세 곳의 학교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Fullan(2017)의 교육변화 과정 모델을 분석틀로 삼아,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 과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변화는 ‘실행 단계의 장기화’, ‘도입 단계와 실행 단계의 순환적 변화’, ‘도입 단계, 실행 단계, 제도화 단계’로의 점진적 변화로 각각 상이한 변화 과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의 혁신과 혁신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장인실,박영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5 다문화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empowerment of bilingual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interrelationship concern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ultural intelligence as individual capabilities that are required for adaptation as well as other cultural surroundings. For this study, we measur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ultural intelligence of 108 bilingual teachers in the area of Gyeonggido and Inchon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level of cultural intelligence of bilingual teachers was 4.85 whereas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3.66. Both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The cultural intelligence of bilingual teachers i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and education care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bilingual teachers only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when looking at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Moreover,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cultural intelligence. As a result of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nd the sheffe post-tes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ow, medium, and high rank. Using these results, we have discussed the matter for bilingual teachers to refer to their cultural intelligence in order to empow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ho have a responsibility to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다문화언어강사들을 대상으로 타문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개인의 능력을 나타내는 문화지능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인천지역 108명의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과 다문화 교수효능감 수준을 측정하였고, 배경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은 평균 4.85,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평균 3.66으로 모두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언어강사의 문화지능은 최종학력, 이중언어강사 경력, 다문화 연수 경험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경우 다문화 연수 경험에 따라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문화 지능 수준에 따라 다문화 교수효능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Sheffe 사후검증 결과 문화지능 ‘상’집단과 ‘중, 하’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문화언어강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문화지능이 참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