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활용의지, 디지털 소외감, 조력자 경험이 고령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은교,이진명,Jang, Eun-Gyo,Lee, Jin-My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최근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고령층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 활용에 있어서 취약계층으로 여겨지는 고령소비자의 기술 활용의지와 디지털 소외감 그리고 정보기술 활용을 돕는 조력자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활용이 가능한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 총 31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소비자는 정보기술을 주체적으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디지털 소외감을 낮게 지각하며 기술 활용 시 조력자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소외감을 낮게 지각할수록, 기술사용에 있어서 조력자의 도움을 많이 경험할수록 고령소비자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첨단정보기술 환경에서 고령소비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의 영향요인을 밝히고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Recently, the elderly who actively use the Internet and digital devices are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illingness to use technology, digital alienation and experience of assistant who help technology use on life satisfactions of elderly consumers who are considered to be the vulnerable i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total of 311 elderly consumers over 60 who can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y were selected as a research sampl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derly consumers have a strong will to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y independently, perceive a low sense of digital alienation, and receive help from others when using technology. In addition, the lower the perceived digital alienation, the greater the experience of help from others in the use of technology, the higher the elderly consumer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reveals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consumers in the high-tech environment and suggest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 양가성의 유형과 수준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은교 ( Jang Eun-gyo ),이진명 ( Lee Jin-my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긍·부정적 반응을 양가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 양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성적, 정량적 연구방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였다. 먼저 인공지능 비서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비자 양가성의 유형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여 인공지능 비서 잠재수용자 3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은 개인정보 활용이 개인화의 혜택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프라이버시 위험이 커지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1: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 인공지능 비서의 기술이 편리하지만 동시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2: 기능적 양가성), 인공지능 비서가 친근하고 재미있으나 동시에 답답하고 기계처럼 차갑게 느껴지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3: 정서적 양가성)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양가성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연령, 교육수준이 높고 여성일수록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이 높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양가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적 양가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가성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인공지능 비서와 같은 혁신적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이 다양한 차원에서 나타날 수 있고 각 양가성 유형별로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별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인공지능 비서 관련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mbivalent responses of consumers to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IPA), to identify the level of consumer ambivalence by typ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intention to accept IP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ntegra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conducted a 1:1 in-depth interview with 20 general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IPA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types of consumer ambivalenc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8 potential users of IPA.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nsumer ambivalence to IPA was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The first type is the ambivalence that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vides the benefits of persona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privacy risks increase. The second type is the ambivalence for the convenience of IPA to bring convenience but at the same time inconvenience. The third type is the ambivalence for an IPA to be friendly and fun, but at the same time feel stuffy and mechanically co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mbival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woman, income, age, and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ambivalence of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mbivalence than m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IPA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mbivalence of using personal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intention, while the emotional ambivalence had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that consumer ambivalence for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IPA can occur at various dimensions and th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can be different for each type of ambivalence. The study also provides useful marketing implications for IPA practitioners.

      • KCI등재

        자활에 대한 소비자 연상과 자활기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 탐색

        장은교 ( Jang Eun-gyo ),이진명 ( Lee Jin-my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에 대한 소비자의 연상과 자활기업의 인지적ㆍ정서적 속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반응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자활기업의 시장경쟁력 강화 및 소비자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활기업을 인지하고 있는 일반 소비자 337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문항을 통해 자활에 관한 소비자들의 자유로운 연상 단어들을 수집하고 Thinkwise 프로그램을 통해 클러스팅한 결과, 자활에 대한 긍정적 연상은 ‘희망’, ‘도움’, ‘스스로’, ‘노력’, ‘자립’, ‘협동’의 여섯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부정적 연상은 ‘어려움’, ‘무관심’, ‘불쌍’, ‘답답’의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자활기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 인식이 경제적 가치 인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보다 긍정정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활기업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활기업의 인지, 경험 및 이해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활 및 자활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탐색한 기초자료로써 학문적인 가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활기업의 긍정적 인식을 강화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나아가 자활기업의 시장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의 성장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self-supporting companies and enhancing consumer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consumers' associations with self-support and cognitive and emotional attributes of self-supporting companies. Data from 337 general consumers who are aware of self-supporting compani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clustering words related to self-support through open-ended questions, positive associations with self-support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hope’, ‘help’, ‘self’, ‘effort’, ‘independence’, and ‘cooperation’. Negative associations were derived from ‘difficulty’, ‘indifference’, ‘pity’, and ‘stupid’. Second, the social value perception of self-supporting companies was higher than the economic value perception, and positive emotions were higher than negative emotion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elf-support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perception of self-support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self-supporting companies.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as basic data to explore consumers' perceptions of self-support and self-supporting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reinforcing the positive perception of self-supporting companies, and further, promotes the growth of the social economy by proposing measures to strengthen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self-supporting companies.

      • KCI등재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적용한 패션 AI 추천서비스 지속이용의도

        장은교 ( Jang Eun-gyo ),이진명 ( Lee Jin-my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적용하여 AI 추천서비스의 혜택과 희생 요인 및 소비자 특성이 소비자의 AI 추천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패션업계 최초로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는 온라인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최근 3개월 내 에이블리에서 AI 추천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4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5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추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조사한 결과, 지각된 혜택은 개인맞춤성, 효율성, 유희성 순으로 높았고 지각된 희생은 성가심, 프라이버시 위험 순으로 나타났다. 패션에 대한 관여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은 편이었고 지속이용의도는 보통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위험과 패션 관여도를 제외한 나머지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개인맞춤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성가심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은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지각된 혜택 요인과 성가심 모두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추천서비스는 소비자의 지속적인 이용을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가치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AI 추천서비스의 혜택과 희생의 양면적 속성과 소비자 특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관련 연구를 확장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 recommendation service benefits, sacrifice factor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by applying a valuebased adoption model.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bly, a mobile fashion platform that develops and actively applies AI services for the first time in the fashion industry, was select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women in their 20s to 40s who had experience using Ably's AI recommendation service within the past three months, and a total of 500 sample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benefits of AI recommendation services were high in the order of personalization, efficiency, and enjoyment, and the perceived sacrifices were high in the order of annoyance and privacy risk.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in fashion was high,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was above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influence of all other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privacy risk and fashion involvement was significant. Personalization an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while annoy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Perceived value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Third,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all three perceived benefit factors and annoy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through perceived value.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and accuracy of AI recommendation services, continuous use by consumers is essentia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related research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uncovering the impact on consumers' continued use inten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dual nature of benefits and sacrifices of AI recommendation servic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디지털 정보격차 수준에 따른 소비자유형 연구

        백지연,장은교,이진명,Baek, Ji-Yeon,Jang, Eun-Gyo,Lee, Jin-My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informatization policy by categorizing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gital divide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end, a total of 402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and on-site surveys targeting consumers with internet experien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of conducting a K-means cluster analysis based on access to, capability, and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four consumer groups were categorized: 'device lover', 'proficient user', 'general user', and 'digital alienated'. By consumer ty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the future information society, attitude toward technology as innovativeness, discomfort and familiarity, which are the antecedent variables of the digital divi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gital devi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which are outcome variables of the digital divide, were also confirmed by consumer type. This study i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valuable in that it proposes customized informatization policies for each consumer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digitization. 본 연구는 디지털 정보격차 수준에 따라 소비자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실효적인 디지털 정보화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현장 설문조사를 통해 총 402부의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기기에의 접근, 역량, 활용수준을 기준으로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기애호형','능숙활용형', '일반형', '디지털소외형'의 4개 소비자집단이 유형화되었다. 소비자유형별로 디지털 정보격차의 선행변수인 인구통계적 특성, 사회적 자본, 미래정보사회에 대한 인식, 기술에 대한 혁신성, 불편감, 친밀감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소비자유형별로 디지털 정보격차의 결과변수인 디지털 기기활용 만족도와 기기이용의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정보격차 수준에 따른 소비자유형을 도출하고 소비자유형별로 맞춤화된 학술적, 실무적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와 함의 : 시장 진입형 사업을 중심으로

        구혜경(Koo, Hye-Gyoung),이진명(Lee, Jin-Myong),장은교(Jang, Eun-gyo),최아라(Choi, Ara)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0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6 No.1

        우리나라의 자활사업 중 시장 진입형 자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 캐나다, 일본 등의 주요 국가의 자활 성공 사례 14개를 분석하였다. 해외사례의 주요 특징은 자활 대상자의 특성이 연령별, 대상자 특성별로 세분화 되어 있으며 시장에서의 진정한 자활을 이루기 위해 교육의 기회가 다양하게 부여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턴십 경험의 제공, 직접 고용, 자활성공자들의 교사로서 재투입 등이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띄며 이는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자활에 의의를 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자활 대상자들의 안정적인 취, 창업 환경의 지속을 위해 자존감 향상 및 이들이 처한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해줄 수 있도록 하는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사업 수급자 관리 체계화 및 자활 대상 범위의 구체화, 직업교육의 체계화 및 교육 강화, 정서적 자활 지원 강화, 자활 사업의 브랜드 관리 및 경영 전문화,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 네트워크 및 민관 협력 강화의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analyzed 14 self-help-related success storie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Canada and Japan. Through this, we wanted to discuss ways to revitalize the self-contained business of the Korean market entry method. The main feature of overseas cases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lf-supporting people are subdivided by age and target characteristics, and various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re given to achieve true self-support in the market. In addition, it has a virtuous cycle in which the provision of internship experience, direct employment, and re-entry as teachers of self-activated workers are made, which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self-supporting from a long-term perspective, not from a short-term achievement. It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support for the stable employment of self-supporting people, self-esteem improvement for the continuation of the start-up environment, and direct resolution of their problems. Through case studies, proposals were made to systematize the management of project recipients and to refine the scope of self-support targets, systematize vocational education and strengthen education, strengthen emotional self-support support, specialize in brand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self-support projects, and strengthen local network and public-private cooperation to revitalize self-suppor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