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의 실천적 교육제재로 비례, 원근법, 대칭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

        구자홍(Ja Hong Ku),권영철(Young Chel Kwun),장위해(Wei Hai Zhang),하봉수(Bong Soo Ha)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첨단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함께 학생들의 기술 이해수준이 최종적인 결과물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고려하면 기술의 기저를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기술적 이해수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형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수리적 교육제재에 의한 교육모형 구축을 지향한 선행연구로서 비례, 원근법, 대칭성 등에 대한 이해수준 및 문제의 소지를 밝힌 것이다. 연구는 이론연구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해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근법 및 대칭성은 보통수준, 비례는 보통이하의 수준으로 밝혀졌다. 특히 상대적으로 이해도가 낮은 비례에 대해서는 개념적 이해력과 함께 실제 표현에 적용할 수 있는 시각적 이해력 향상에 중점을 둔 교육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수리적 교육제재의 이해도와 관련해 표현을 위한 방법론적 지식부족이 주목된다. 즉 비례개념에 대한 낮은 시각적 기술력, 지식의 하위개념으로 구분한 종류에 대한 낮은 이해력, 그리고 학년이나 남녀구분 없이 개념적 이해에 치우치는 경향 등은, 디자인에서 회피할 수 없는 표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결국 방법론적 지식이 낮은 만큼 표현의 영역도 좁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실제 표현을 위한 방법론적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보완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상 연구결과는 기술 이해력이 중시되는 시대적 현상을 고려한 실천적 교육제재로 수리적 교육모형 개발방향 및 수준을 이해하는 기본 자료로서도 중요하지만, 기초디자인교육과 관련해 의미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ooking straightly at the situation where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he technology affects the final result with the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digital technology, we need the design education to understand the base of technology. In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evel of understanding mathematical subject (proportion, perspective, symmetry) as preceding research that tries to build educational model by mathematical subject which can improve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echnology and enhance the figure capability. The research was made mainly on the basis of theoretic research and investigatory analysi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s summarized as follows. Excluding perspective, all is in low level below the normal degree. Especi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w concepts like definition, character, types, etc stipulated in the evaluation frame of mathematical subject, it is found that the level of visually understanding types is very low unlike definition and character. As understanding the types is basic knowledg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xpression which should be avoided in design, the problem is that the area of expression is narrow inevitably. Thus, it is urgent to construct educational model that can heighte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methodology for actual representation. Meanwhil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important as the fundamental for subsequent research, but it may be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scale related to the basic desig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