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pitaxial Growth of Graphene by Surface Segregation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on Ru(0001) Studied with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장원준,강세종,Jang, Won-Jun,Kahng, Se-Jong The Korean Vacuum Society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6

        금속 기판 위에 성장한 그래핀은 원자구조와 전자구조 연구에 우수한 기반이 된다. 그래핀은 금소 기판에서 탄소의 surface segregation 이나 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이 두 방법의 성장 양상에 대한 비교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surface segregation, 흡착된 에틸렌의 post-annealing, 에틸렌의 high-temperature dose 등 3 방법으로 성장한 그래핀의 성장구조를 주사형 터널링 현미경으로 연구했다. 처음 2종류의 방법에서는 $100nm^2$ 수준의 작은 그래핀 영역이 나타났고, 3 번째 방법에서는 $10^4nm^2$ 보다 큰 그래핀이 육각형 무아레 무늬와 함께 타나났다.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의 high-temperature dose 방법이 추가적인 분자성장 등에 필요한 넓은 그래핀을 성장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임을 보였다. Epitaxial graphene on metal substrates provides excellent platforms to study its atomic and electronic structures, and can be grown either by surface segregation of carbon or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growth behaviors of the two methods, however, have not been directly compared each other. Here, we studied domain structures of graphene grown by three different methods, surface segregation, post-annealing with adsorbed ethylene, and high-temperature dose of ethylene, using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The first two methods resulted in graphene regions with areas of $100nm^2$, whereas the third method showed large area graphene (> $10^4nm^2$) with regular hexagonal Moire patterns, implying that high-temperature dose of ethylene is preferable for further studies on graphene such as additional growth of organic molecules.

      • 초등교사의 과학 통지표 작성 과정 분석

        장원준,송명섭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7 No.-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과학 통지표 작성 과정을 분석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평가 보고 과정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과학 통지표를 작성하는 과정은 평가의 종류와 그 반영 여부, 진술문의 작성 방법, 내용의 양, 학생과 진술문의 연결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같은 학교·같은 학년의 교사는 동일한 평가 지침을 따름에도 불구하고 통지표 작성 과정은 서로 달랐다. 둘째, 대부분의 초등교사들은 1학기 동안 실시한 평가 중 일부 결과만을 선택하여 과학 통지표에 반영하였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현재 과학 통지표의 형식과 자신이 작성한 통지표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지 않았다.

      • KCI등재

        안드로이드 기반 GPS 개인위치정보 자기제어 구조 설계

        장원준,이형우 한국융합학회 201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 No.1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배포되고 있다. 특히 Google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인 경우 오픈 소스 정책을 채택하였으며 멀티태스킹 서비스를 지원함과 동시에 기존의 구글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Layar, Wikitude, Sherpa 및 a2b 등과 같이 스마트폰 환경에서 GPS 위치정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Cell-ID 기반의 위치정보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이동통신망에 설치한 교환장치를 통해 직접적으로 수집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하고, 각종 사업자에 따라 얼마든지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정보이 므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서의 GPS 기반 개인위치정보를 사용자 스스로 통제 및 접근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다양한 GPS 개인위치정보 자기제어 SW 개발이 가능하였다.

      • P1-2-09 과학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장원준,민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7 No.-

        본 연구는 과학과 과정 중심 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초등교사의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 과학 수업과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초등 교사 5명을 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하여 반구조화 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대상은 교육부 국가시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교원 역량 강화 직무연수’를 이수한 초등교사로서, 과학과 과정 중심 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자발적인 노력을 하며, 학년 교육과정 및 평가 계획 수립에 참여한 교사를 선정하였다. 면담 내용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인식’, ‘과정 중심 평가 적용에 따른 학교의 변화’, ‘과학과 수업과 평가의 변화’, ‘필요한 지원’ 등이다. 면담은 학기말 성적 처리가 완료된 2019년 7월 중 개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부족한 내용을 보충하거나 확인된 범주를 탐구하기 위해 2~3차례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면담 대상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학교(학년) 교육과정 및 평가 계획, 과정중심 평가 운영 사례, 과정 중심 평가 결과 통지 사례, 학기말 성적 처리 규정 등 관련 자료도 함께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연구자가 면담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듣고, 전사 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그 의미를 추출하여 범주화하였으며, 각 범주에 따라 부호화하고 코딩한 후 수집된 자료와 비교하여 해석하였다. 이후 참여자 검토(member check)를 통해 분석 결과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 도입 후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B-OTP) 생성 기법 개발 및 응용

        장원준,이형우 한국융합학회 201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 No.1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뱅킹과 인터넷전화가 많이 보급됨에 따라 보안사고가 급증하고 있으며 공격자들의 공격 수법도 점차 지능화 되고 있다. 결국 인터넷뱅킹과 인터넷전화 등의 서비스에서 바이오메트릭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개인 고유 정보 등을 이용하여 보다 강화된 인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B-OTP 기술은 바이오 메트릭 정보(Biometric Data)를 OTP 방식과 접목하는 기술로 기존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B-OTP 값을 이용할 경우 인터넷뱅킹과 인터넷전화 서비스 등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다층박막적층법 적용 기능성 박막 코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장원준,김영석,박용태 한국복합재료학회 2019 Composites research Vol.32 No.6

        A simple and very flexible automatic dipping machine was constructed for producing functional multilayer films on wide substrates via the layer-by-layer (LbL) assembly technique. The proposed machine exhibits several features that allow a fully automated coating operation, such as various depositing recipes, control of the dipping depth and time, operating speed, and rinsing flow, air-assist drying nozzles, and an operation display. The machine uniformly dips a substrate into aqueous mixtures containing complementary (e.g., oppositely charged, capable of hydrogen bonding, or capable of covalent bonding) species. Between the dipping of each species, the sample is spray cleaned with deionized water and blow-dried with air. The dipping, rinsing, and drying areas and times are adjustable by a computer program. Graphene-based thin films up to ten-bilayers 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This film exhibits the highly filled multilayer structures and low thermal resistance, indicating that the robotic dipping system is simple to produce functional thin film coating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layers. 본 연구에서는 습식 코팅 방식 중 하나인 다층박막적층법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동화 시스템은 다층박막적층법의 공정 변수(예를 들어, 증착 재료, 코팅 깊이, 코팅 및 헹굼 시간)를 제어함으로써 손으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한 변수 조작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기판을 완벽하게 용액 안으로 침액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별한 분자간 결합(예를 들어, 정전기적 인력, 공유 및 수소 결합)을 통해 기판 위에 균일한 다층의 박막 형성이 가능하다. 두 종류 이상의 용액으로 기판이 침액될 때, 이 기판은 다른 용액으로 이동되기 전에 청소 구역에서 헹굼과 건조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담금, 헹굼, 건조 과정은 모두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그래핀을 기반으로 하는 다층박막 샘플을 제작하였고, 균일한 그래핀의 적층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제작된 샘플의 흡광도와 두께를 측정하였다. 기판 위에 그래핀과 고분자 층의 적층이 진행될수록 흡광도와 두께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작한 자동화 시스템이 수작업을 통한 다층박막의 적층을 완벽하게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