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텃밭(정원)의 교육적 활동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미술교육에서 적용 방안

        장용석(Chang Yong S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장소에 있는 텃밭(정원)과, 미국 공립학교의 커리큘럼을 탐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미국에서 시행되었던 교내 텃밭의 역사와, 현재 미국의 텃밭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내 텃밭의 시 행이 제공하는 효과와 이점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은 미국의 공 립 학교나 공공기관의 텃밭이다. 공공기관에서 시행한 “The Edible Schoolyard”와 “The Garden Project” 등의 텃밭 활용의 구체적 사례와, 텃밭 관련 프로그램을 경험 한 학생, 선생님, 그리고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등의 연구를 조사하 였다. 예시로 든 사례의 종합적 분석을 통하여 공공기관에서 텃밭 교육을 시행하기 위한 전략, 텃밭 교육 시행이 제공하는 이점 및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 텃밭 교육 을 시행하는 데 마주칠 수 있는 난제들, 텃밭 가꾸기와 환경의식 증진의 상관관계 등의 주제를 다룬 연구들의 비교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내 텃밭 활용이 사 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와 예술교육으로서의 가치 및 이에 관한 후 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gardens in America, especially those in public spaces, and schools. For this research,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using gardens in school will be identified by reviewing researches conducted on the history of gardens in America, and how they are used. The examples studied in this research are all from public institutes and schools. “The Edible Schoolyard,” “The Garden Project” are some examples of such garden-based projects. Surveys conducted 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ere also investigated to figure out specific use of gardens. By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studies of examples, the strategies implemented by the public institutes, benefits of garden-based education and the efficacy of such program, problems that need to be overco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gardening are explored to gain general understanding of gardening in public schools. In addition, the research is to suggest that a garden can be used for art education. Many educational researches on gardening have been focused on science, farming, and dietetics. However, a garden is a place where many art educational achieve purposes can be achieved. From the research of vast areas of gardening, suggestions and guidance made for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학교 정원, 식물, 환경을 이용한 생태 미술 교육 프로젝트 연구

        장용석(Yong Sock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개념, 햅틱(Haptic), 프레리(Freire)의 비평적 교수학,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이용하여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제시함에 있다. 햅틱(Haptic) 감각은 촉각으로 해석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햅틱(Haptic)을 단순히 촉각뿐만 아니라 공간,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 감각을 의미한다. 이 생태 미술 프로젝트는 햅틱(Haptic) 감각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시감각(visual sense)적 미술에서 더 나아가 직접 사물을 만져보고 공간을 느끼고 탐구하며 자신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작품의 완성과 결과물 보다는 미술작품의 제작과정에서 미술을 “경험”하고 “느끼는”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미술작품이 원래 의도와 다르게 만들어지고, 예상과 다르게 진행되더라도 그 대안을 모색하거나 다른 방식을 찾아 그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있다. 이 생태 미술 교육은 교사에 의한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닌 어린이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고민하여 자신의 힘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세상에 대해 스스로의 안목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는 학교 정원이나 자연환경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교 안의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고 탐구며, 평소 무심히 지나쳤던 학교안의 생물들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심이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으로 발전하여 지역 사회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ildren are aware of ecological problems. In fact, when asked recently what the biggest problem is in the world today, almost 50% of children cited ecological problem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ncourage art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address higher concerns about ecological problems and to actively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haptic?multi-sensory perceptual system (Lee, 2010) in visual culture, Freire’s concept of critical pedagogy,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and ecology art will be investigat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creating an art project in which children can enthusiastically engage. To the children engaged in the project created with the concept listed above, the process will not only elicit a sense of awareness of ecologic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ut also a chance to develop social commitment, spiritual growth, and intellectual growth as well.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provides various ecology art education projects using school gardens, plants, and environments to develop a sense of haptic, critical thinking, caring for the nature, and empathy for others.

      • KCI등재

        시각 장애인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보지 못하는 것을 보다’

        장용석(Chang, Yong Sock)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감각(haptic)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 과거 미술교육에서는 시각(視覺, visual sense)을 전제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 이후 시각 문화(visual culture)가 미술교육에 도입이 되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미술의 영역이 시각을 넘어 다른 감각(촉각, 청각, 후각)을 미술에 포함하고 있다. 이런 개념을 포함 것이 material culture 이다. 이 material culture에서 미술의 개념은 시각을 넘어 다양한 영역과 감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미술 개념’을 기반으로 미술교육에서도 시각적 능력이 다소 부족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미술교육도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 보다는 ‘촉각’, ‘청각’을 위주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정상안인(正常眼人: normal eyes) 미술교육자나 화가들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각 장애인과 장애인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서 개발되었지만 일반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고 교육적 의미가 있다. 앞으로 예술교육에서는 장애가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고 장애인을 위한 많은 프로그램과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make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blind. In the past, most art education programs were made based on the visual sense. After that, visual culture was introduced into art education. The field of art has recently embraced other senses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in visual arts. This includes the concept of material culture. This material culture contains not only the concept of (visual) art but also various fields and senses. In this way,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lacks visual ability or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is accepted and recognized as a necessity based on the extended (visual) art concept . In the same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actile and auditory rather than visual sense. Previous art programs were made from the standpoint of art educators and painters who are normal. Howev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program reflect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blind. In fact, the art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onfirmed its educational effects. This art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general students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future, I hope that disability will no longer be a stumbling block in art education and that many programs and education for the disabled will be revitalized.

      • KCI등재

        초등교사와 발달장애 쌍둥이 형제 사이의 친밀한 관계 형성 및 그림을 매개로 한 보살핌에 관한 사례 탐구

        장용석 ( Chang Yong-sock ),전영국 ( Jun Young-c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미술을 전공한 어느 초등학교 교사가 통합학급을 맡아서 발달장애 증세를 보이는 쌍둥이 형제들을 지도한 경험(관계형성, 지도의 어려움, 극복해가는 과정 등)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리는 경기도 벽지에 소재한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2014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통합학급을 맡았으며 쌍둥이 형제의 학교활동에 관한 자료(그림, 미술작품, 학교 문서, 동영상, 사진 자료 등)를 틈틈이 수집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기억을 토대로 자전적 메모를 작성하였고 공동연구자가 진행한 면담을 통하여 추가로 질적 자료를 보완하였다. 우리는 질적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자료 분석을 한 결과 C교사의 사례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양상을 포착하였다. 미술을 전공하였던 C교사는 미국 유학 후에 초등학교에 복귀한 후에 쌍둥이 형제(특히 동생 양이)를 만나면서 힘든 시간을 보내었다. 그러나 농촌 벽지에 위치한 소규모 초등학교의 여건 속에서도 그들과 점차 동병상련의 관계형성을 하면서 먼저 그들과 친하게 지내면서 그들의 마음을 열고자 노력하였다. 통합교실에서의 수업은 일반학생들과 C교사가 서로 배려하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쌍둥이 형제가 수업에 거의 참여하기 어려웠던 현실적인 상황을 알아차리고 나자 C교사는 그들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안내하기, 역할 맡겨주기, 야외체험 학습에 동행하기 등의 구체적인 활동을 제공하면서 그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보살펴 주었다. 전반적으로 C교사의 사례는 말이나 문자를 이용하지 못하는 장애 아동들의 입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마음으로 다가가는 관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을 일깨워주었다. 또한 통합교실에서 쌍둥이 형제에게 또래 교수자의 역할을 맡아서 도움을 제공하였던 여학생들은 성적 향상 등 기대하지 않았던 혜택을 받게 되었다. 끝으로 이 사례는 발달장애 학생들을 배려하면서 가르치고자 하는 통합교육 담당자들이 향후에 추구해야 할 실제적인 부분을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s a whole by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efforts and inner struggles such as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twin brothers and teaching them in an inclusive classroom in order to explore better directions for them. We adop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interpret several types of data including photos, self-recalled memos, video clips, interviews were collected between Sep 2014 and Feb 2016. The qualitative data interpretation revealed several major aspects from the participating C teacher’s case. After studying art education in the U.S.A, he came back to an elementary school where he met the twin brothers and had hard times with them. However, even though the school was quite small and located in a rural and agricultural area, he tried to approach twin brothers with an open heart and to buil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m; for example, going outside to shop, cleaning out the younger brother’s poo and taking showers together, etc. In his inclusive classroom where the teaching was carried out with the caring from both teacher C and the students, he could not help but let the twins go due to their lack of number understanding and literacy capability. Later he found alternatives with the hope of their changes toward better states; encouraging them to draw things on their own, assigning certain roles to them and going along with them for experiential activities in other places. Overall, teacher C’s case impli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for us to first buil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while trying to understand their perspectives as a whole, and help them communicate with the world via art drawings that expressed their inner feelings, states, etc. Also it was noticed that the girl students who used to help the twin brothers by taking the role of ‘peer teacher’ took benefits of improving their marks in an inclusive classroom. At the end, this case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o seek several practical ways of taking care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 KCI등재

        여자 유아의 자발적 그림 그리기와 점토 만들기 활동에 대한 특징 탐구

        전영국(Youngcook Jun),장용석(Yong-Sock Chang),윤지현(Jihyun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연구는 만 5세의 여자 유아(민지)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사물(예, 바다, 꽃, 나무 등)과 TV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과 점토 만들기 활동을 해석하여 유아의 통합적이고 고유한 측면을 다루었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민지가 그렸던 그림과 점토 놀이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민지 엄마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네 차례 만나서 그림과 점토 결과물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 맥락 등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민지는 그림을 통해 자연 속의 풍경과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자신이 받은 인상대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V 매체 또는 동화책에서 본 이야기와 이미지 등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나름대로 표현함으로써 그림과 점토 놀이를 통한 내면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민지의 사례에서 부각되는 유아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민지의 그림 및 점토 놀이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가 유아 대상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적 이 연구는 만 5세의 여자 유아(민지)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풍경과 사물(예, 바다, 꽃, 나무 등)과 TV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과 점토 만들기 활동을 해석하여 유아의 통합적이고 고유한 측면을 다루었다. 방법 2014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민지가 그렸던 그림과 점토 놀이 결과물을 대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민지 엄마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 사이에 네 차례 만나서 그림과 점토 결과물을 보면서 당시의 상황, 맥락 등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민지는 그림을 통해 자연 속의 풍경과 사물에 대한 이미지를 역동적이고 자신이 받은 인상대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TV 매체 또는 동화책에서 본 이야기와 이미지 등 자신이 관심있는 것을 나름대로 표현함으로써 그림과 점토 놀이를 통한 내면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민지의 사례에서 부각되는 유아의 고유한 측면을 통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민지의 그림 및 점토 놀이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가 유아 대상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qualitatively interpret voluntary drawings and clay-making activities of a 5-year-old girl (Minji) from a holistic viewpoint. Methods Data collection included her own drawings and clay-making works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7. Also, interviews with her mother were carried out four times between June and August 2018 by asking follow-up questions about the situation and contexts of her drawing and clay activities. Results Minji showed a dynamic, creative pattern of expressing images of landscapes and objects in nature through her paintings according to the impressions she felt. In addition, she showed her inner expansion through painting and clay playing by expressing her own interests. It turned out that reading stories in children s books or watching TV animation also affected her playing with drawing and clay making. Conclusions This paper explored Minji’s unique aspects of art creating caught from real-world experiences or her own imagination. This case indicated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ther infants’ or children’s art-related activities in the area of art education.

      • KCI등재

        유아가 자발적으로 그린 토끼공주와 엄마 그림에 관한 질적 탐구

        전영국(Jun, Youngcook),장용석(Chang, Yong-Sock),윤지현(Yoon, J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이 연구의 목적은 여유아가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의 특징과 고유한 내면의 표현 방식을 탐구하여 유아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림 그리기를 무척 좋아하였던 연구참여자인 만 3세의 민지는 그림을 그릴 때 별로 말을 하지 않고 오로지 그림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우리는 민지가 2014년 2월부터 2015년 1월까지 1년간에 걸쳐 그렸던 약 60개의 그림들을 수집하여 시간 순서대로 배치하고 질적으로 분석하 였다. 우리는 민지가 그림을 그릴 당시에 대한 상황과 그림 주제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엄마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첫 면담을 실시한 이후에 2015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3회에 걸쳐 후속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그림 중에서 주로 인물화(토끼공주 및엄마 등)를 중점적으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지는 매우 발랄한 여자아 이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가족과 주위에 있는 사람들(예, 어린이집 선생님, 엄마 등)에 대하여 토끼와 공주의 이미지를 합하여 생생하게 표현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둘째, 민지가 만4세가 되는 과정에서 엄마에 대하여 길게 땋은 머리, 볼터치한 얼굴 등 예쁘게 그린 그림을 통해 민지의 내면 상태가 매우 발랄하고 이쁘게 드러났으며 그것은 곧 엄마와의 관계가 매우 좋았음을 보여주었다. 민지가 그린 인물화는 토끼와 사람을 합친 토끼공주 그림에 대한 창의적 측면 외에도 엄마에 대한 친근함, 행복감 등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면서 그 속에 민지만의 더 큰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major aspects of an infant who engaged in her self-initiated drawings on rabbit related princesses and her mom. We collected about 60 drawings that Minji, a three years old single participant, drew between 2014 February and January 2015. We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Minji’s mom between April 2014 and June 2015 four times.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Minji tended to lively express her own inner feelings and ways of being in contact with other people through her creative drawings using the image of rabbit princess. First, in her series of drawings, she exposed her lively vivid expressions of what she felt about dearest people (eg., herself, her mom or her kindergarten teacher etc.) by creatively combining the images of princesses and rabbits. Second, her favorite repertories included her mom as a pretty woman with long hair and ball touch. That indicated Minji had a pretty good relationship with her mom. Overall, Minji’s drawings expressed not only her delicate feelings for her mom with friendliness and happiness in creative ways but also contained her whole larger aspects regarding her own vivid inner feelings.

      • KCI등재

        영상매체를 경험한 유아의 자발적 그림 그리기 활동에 관한 질적 분석

        전영국(Jun, Youngcook),배성아(Bae, Sung Ah),장용석(Chang, Yong-S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TV 애니메이션 등 영상매체를 통하여 보고 경험한 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대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우(연구대상유아)가 만 5세였을 무렵인 2013년 2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그렸던 약 30점의 그림들을 분석하였다. 그 외에 2015년에 2회에 걸쳐 진행한 지우엄마와의 면담 자료, 지우가만 8세였던 2016년 8월에 엄마와 지우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속 면담 자료를 보완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질적 분석한 결과 지우는 닌자고, 포켓몬스터 및 가면라이더 등의 영상매체를 보면서 자신이 외부 세계에 대하여 인상적으로 느낀 바에대하여 즉각적으로 그림을 그려서 표출하고자 하는 동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의그림들은 점진적으로 정교하게 발전되는 현상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에는 지우의 자신감이 강하게 느껴졌다. 또한 지우는 자신이 그린 그림을 매개로 부모 및 친구들과 소통하는 활동을 하였고 더 나아가 ‘선과 악’의 대결에 관한 모방에 머물지 않고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시켜 스토리를 창의적으로 변환시키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림에 대한 발달론적 고찰과 애니메이션 매체 경험과관련된 사회문화적 접근을 시도한 것 외에도 지우가 가진 고유한 통합적 측면에 대하여 탐구하였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major aspects of a child who engages in self-initiated drawings after watching TV animation etc. We analyzed about 30 drawings that Jiwoo, a five years old single participant, drew between 2013 February and August. We also conducted interviews twice with Jiwoo’s mom and another separate video data collection with Jiwoo in 2015; his mom together on and video data conducted with Jiwoo’s mom together in 2016.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Jiwoo enjoyed watching Ninjago, Pocketmonster, Kamenrider etc and tended to directly digest outer world’s stimulus and actively expressed his own feelings after watching such diverse animations and movies etc. In his series of drawings, he tended to immerse himself into such media watching and showed his confidence on his ways of projecting his feelings and impressions into the drawings. He also revealed the patterns of expanding himself in several ways that he wanted to make up his own stories creatively in his drawings with his new invention of animation characters, not just imitating the combat between good and evil expressed in the media animation, and to share his own stories with his friends or/and mom. This paper presented that we tried to explore not only the salient features of his drawings and socio-cultural play activities, but to investigate Jiwoo’s whole aspects beyond such socio-cultural viewpoints.

      • KCI등재

        자발적으로 그린 유아의 그림에 관한 질적 분석

        전영국(Jun, Youngcook),배성아(Bae, Sung Ah),장용석(Chang, Yong-S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발적으로 그린 그림을 통하여 엄마와 교감하고 소통 하고자 하는 양상과 더 나아가 그림을 통하여 표현하고자 했던 주요 측면(예, 세상에 대한 이상적인 부분 등)을 포착함으로써 유아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인 지우는 스스로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였으며 자신이 그린 그림에 관하여 엄마에게 이야기해 주는 것을 즐겨하였다. 우리는 지우가 만 4살 반이었을 무렵인 2012년 봄부터 2013년 봄까지 그렸던 약 20개의 그림들을 수집하였고 2015년 5월 및 10월 사이에 엄마를 대상으로 지우가 그림을 그리던 상황에 대하여 회상 기반의 면담을 세 번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우리는 지우의 그림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양상 외에도 가족간의 소통을 매개해 주면서 교감하는 측면과 지우가 가족과 세상을 바라보면서 느꼈던 이상적 측면을 묘사하였다. 지우의 사례는 그림을 통하여 엄마와의 관계 속에서 가족을 대하는 태도와 느낌 외에도 세상에 대한 이상적 측면을 담고 있는 더 큰 전체성(larger wholes)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jor aspects that an infant wants to commune with his mom what he drew voluntarily, and further to understand the infant by investigating unique aspects revealed within himself such as temper, attitude, ideals toward outside world etc. Jiwoo, a single participant to this study, loved drawing things and enjoyed talking about them to his mom. We collected his drawings from 2012 spring when 4 1/2 years old to 2013 spring and conducted interview with his mom three times between May and October 2015 probing her to talk about her feelings and situational contexts regarding any of his drawings. Based on qualitative data analysis, we depicted the clearly developmental patterns of passionate Jiwoo’s drawings, the communing aspects with his mom and his own ideals expressed within himself toward the outside world.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search in that Jiwoo’s case revealed his attitudes and feelings etc toward his mom and dad in the family relationship as well as larger wholes that contain his ideals toward outsid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