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가 인지하는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장온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systematically e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school. For this purpose, I interviewed fift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jeon in charge of multi-culture education in depth. The followings are four results from the study performed.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contains the observation study, field trip, class study as well as training course. Among them the observation study and field trip as an event and activity were more favorite choices. Second, teachers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used to designing program and performing all processes on their own without any specialized training. The integrated multi-cultural education aimed at students of multi-culture families was implemented, but it was not the case with general students. Third, by managing returnees' class, they were performing flexible multi-culture education for early stage adaptation of children of foreign family and returning children. Fourth, the content of the returnees' class program consist of study of subject, Korean education, traditional cultural field trip and etc. And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is class were planning and performing content of the class without any professional education, therefore further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process are urgent.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수행되는 다문화교육 수행실태를 파악하여 앞으로 교육현장에서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의 초등학교 다문화담당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수행되는 다문화교육사업내용은 견학, 체험, 교과, 연수 등으로 수행되었고 이중 견학과 체험 등 행사위주의 내용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 담당 교사들은 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모든 과정을 전문적 교육 없이 개인적 역량에 의존하여 수행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의 주 대상은 다문화가정 학생으로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적 다문화교육은 부재하였다. 셋째, 외국인 자녀와 귀국학생 자녀들의 학교생활의 초기적응을 위해 귀국학급을 운영함으로써 유연성 있는 다문화교육을 수행하고 있었다. 넷째 귀국학급의 프로그램 내용은 교과학습, 한국어교육, 전통문화체험 등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담당교사들은 다문화에 관한 전문적 교육없이 교과내용을 기획하고 수행하고 있어 체계적이고 전문적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장온정,한혜림,박정윤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초등학교 교사의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 수용도, 문화적 역량,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의 하위변인을 통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중도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해서는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은 보통수준으로 타문화와 자문화에 대한 차이로 인한 갈등해결능력에는 부족한 면을 보였다. 이에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었지만 다문화에 대한 전문가로서는 부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변인 중 다문화가정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수용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변인이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 변인들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가족수용도'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that such perceptional factors as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cap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etc could affect children's adaptation to a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udy finding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ingle-race and multiple-races, acceptance of diverse families and perception of integrative education seem to be the base of positive influence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f teachers, whose influence upon children is great, have no prejudice and accept diverse families with equality consciousness, they will provide help to children's development. Since teachers' unprejudiced minds and equality attitudes toward children can maintain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families―children's two major life spaces, it will probably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children's adaptability to schools and their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revent children's school maladjustment-oriented educational deviation phenomena, i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have unprejudiced perception of all the children. Secondly, there is no such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the teachers in terms of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depending on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 Thirdly, among the determinant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the most influential, and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are following in order. Lastly, the most relational and influential determinant are the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예비학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장온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purpose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enables school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to effectively support their children to properly adapt to school life. For this, this paper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n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are lack of learning ability, and they have disability in having well-integrate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They also suffer an identity crisis. Their parents have difficulty in guidance because of a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as well as a basic knowledge on the school lif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he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the school parents to strengthen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y as a guardian and a parent in terms of four different parts, such as understanding about educational system of elementary school, caring for children's study and school life, strengthening the parent's ability, and other problems on their children. To activate this program with effect, such conditions as teachers' change of perception, in-depth research on educational resources, and organization of expert instructor should come first. 본 연구는 자녀의 초등학교 진학을 앞둔 다문화가정의 학부모들이 자녀의 학교생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학부모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예비학부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도 내 초등학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의 학부모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이해력 부족, 수업준비의 어려움 등 학습수행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 편견과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부모들은 한국의 학교교육에 대한 지식 및 정보의 부족과 교사 및 학부모와의 관계형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예비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육체계에 대한 이해, 자녀학습 및 학교생활 관리, 부모역할 역량강화, 다양한 자녀문제 등의 영역에 대한 학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식개선과 이를 위한 실과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수법 개발, 다문화 전문가 강사 풀 구성 및 다문화교육 자료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년남성 1인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장온정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혼자 살아가는 중년남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자본 형성 경험의 맥락과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자본 경험을 유형화함으로써 중년남성 1인가구주들의 사회자본형성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혼자살고 있는 중년남성 1인가구주 1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미단위를 분석하고 범주화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112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중심주제는 자기방어와 단절 속에서 깨어 나와 관계 맺기 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사회자본 형성 과정은 4단계로 ‘왜곡된 인식’단계, ‘고립과 단절’단계, ‘소극적 대처’단계, ‘버팀과 새로운 모색’단계이다. 중년남성 1인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 유형은 ‘자기 내적 교류형’ ‘제한적 교류형’, ‘결속 교류형’의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rough middle-aged single man householders experi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pproach of Reason Based Theory to analyze the main theme by depth interview for 14 middle-aged single man householder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112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main categories were showed by opening coding process. In Selective coding the category Breaking their Self-defense & rupture and make relationship was found out as a core. On the basis of the core category, Participants’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involves 4 stages; ‘Twisted Perception’ stage, ‘Rupture & Isolation’ stage, ‘Passive Management’ stage, ‘Enduring & Seeking New’ stage. There are 3 type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in Middle-aged Single man Householders; ‘Inner Self Exchange’ type, ‘Restricted Exchange’ type, ‘Unity Exchange’ type.

      • KCI등재

        재가 미혼모의 홀로서기 경험 연구: 탈시설 과정을 중심으로

        장온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actical strategie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unwed mothers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Methods: The author conducted 10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with unwed mothers living in a facility. The study categorized main issues in the interviews. Results: The researcher identified 18 sub-topics in 3 stages. In the “facility dwelling” stage, the subtopics included “refuge & protected location,” “connecting facilities,” and “low effectiveness in self-support.”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stage, the subtopics were “unexpected exit from the facilities,” “insufficient preparation in the course of getting out,” and “anxious first steps.” In the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stage, the subtopics were “unconquered poverty,” “restricted relationship networks,” and “ongoing confusion.” Conclusion: The researcher suggested several practical policies needed for unwed mother to escape from poverty: making new strategies for unwed mothers, customizing independent support services, strengthening support for parental rights of unwed mothers, and building integrated systems in supporting unwed m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미혼모의 홀로서기 경험을 통해 미혼모 자립 강화를 위한 실천적 지원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시설보호를 경험한 재가 미혼모 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사례분석을 하였다. 범주화 및 주제 분석을 통해서 이들이 경험한 주요 이슈를 범주화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가 미혼모들의 홀로서기 경험의 주제를 살펴보면 시설 거주단계는 ‘도피처 & 보호처’, ‘시설연계’, ‘낮은 실효성의 자립지원’ 탈시설 과정 단계는 ‘예상보다 빠른 퇴소’, ‘퇴소를 위한 준비미흡’, ‘불안한 첫걸음’, 탈시설 이후 단계는 ‘극복되지 않은 빈곤’, ‘제한적인 관계망’, ‘계속되는 방황’이며 각 주제별 1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미혼모의 탈빈곤을 위한 차별적 전략, 맞춤식 자립 지원서비스 모색, 공동생활가정 시설 입소기준 및 관리 개선, 미혼모의 부모권 보장을 위한 지원강화, 미혼모 관련 지원 및 정보에 관한 통합된 시스템 구축 등의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잠재집단 유형과 영향요인

        장온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6 No.3

        This study focused on the heterogeneity of groups in single-person households, to identify how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categorized by sub-groups and to come up with policy measures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by examining predictive factors for the type of social exclusion. Potential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361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the 14th Korea Replication Panel data. The social exclusion index of these households was measured consisting of 10 six-dimensional indicators. The results showed that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had five different types: ʻʻnon-exclusionʼʼ(29.6%), ʻʻhealth restrictionʼʼ(14.3%), ʻʻinteract restriction and middle-risk multiple-exclusionʼʼ(12.0%), ʻʻincome and health exclusionʼʼ(14.1%), and ʻʻhigh-risk multiple-exclusionʼʼ(30.0%). More than 70%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and most of the exclusion types were multiple exclusion. When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each exclusion type, the ʻsubjective health levelʼ was a common major predictor, and family interact, age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ʻhigh-risk multiple exclusion typeʼ and ʻthe interact restriction and middle-risk multiple-exclusion typeʼ. Based on these results, a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y is an effective measure to solve the social exclusion problem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by strengthening ʻhealthʼ and exchanges. 본 연구는 1인가구내 집단별 이질성에 주목하여 중년층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가 어떠한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를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유형에 작용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4차 한국복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총 361명의 중년1인가구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지표는 6차원 10개지표로 구성되어 측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중년1인가구는 ʻ비배제형ʼ(29.6%), ʻ건강제한형ʼ(14.3%), ʻ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ʼ(12.0%), ʻ소득·건강배제형ʼ(14.1%), ʻ고위험다중배제형ʼ(30.0%) 등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이상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고 대부분 배제유형이 다중배제 상태였다. 각 배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ʻ주관적 건강수준ʼ이 공통된 주요 예측요인이었고, 가족교류, 연령, 여가활동만족도 변인이 ʻ고위험다중배제형ʼ과 ʻ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ʼ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 개입전략이 필요하고 ʻ건강ʼ과 교류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결혼이민자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적응태도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온정,박정윤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arital-life of Korea resident Korean men who married with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the process of marital-life adaptation among Korean men popula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is the group of 215 Korean men who got married with non-Korean women. A survey is used as a data collection and its result is analysed by SPSS PC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presents that Korean husbands' family-value has highlighted in the area of modern gender role and traditional family-center-value. In terms of cultural adaptation attitude, they have more points the mother-culture propagation attitude rather than multi-cultural propagation attitude which is accepting wife's culture. Second, sociological variables of men's population those affect to international marriage adaptation are husband and wife's education level, wife's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ird, the possessed values of the Korean husbands of modern gender role or traditional family-center-value, they perceive high-level of the marital-adaptation. The husband's attitude such as trying to understand wife's culture or trying to acknowledge Korean culture to wife is presented as an influential variable for adjusting their marriage. Fourth, rel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martial adaptation, are examined in order. The whole marital adaptation depends on in the order of self culture propagation attitude. traditional family-orientered-view,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가정 내 한국인 남편의 개인적 특성인 가족관련 가치관과 문화적응태도, 결혼적응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가족관련 가치관과 문화적응태도가 한국남편의 결혼적응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 10개의 시․군에 거주하는 국제 결혼한 한국인 남성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는 근대적 성역할관과 전통적가족주의가치관 성향이 높았고, 자문화전달태도보다 다문화수용태도를 더 많이 취했으며, 결혼적응은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 부부의 학력이 대졸이상이고, 아내가 전업주부이고, 소득이 높은 경우에 결혼적응 수준이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근대적 결혼관과 성역할관을 가질수록, 전통적 가족주의적일수록 높은 결혼적응 수준을 보였다. 또 자문화전달태도와 다문화수용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결혼적응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문화적응태도 변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가족관련 가치관, 인구사회적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혼이민자 가정의 원만한 결혼생활을 위해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태도 및 가족관련 가치관에 관한 인식개선을 위한 개입이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해체 경험에 관한 연구

        장온정 ( On-jeong Cha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남편의 가족해체 경험 이해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해체현상에 대한 실천적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혼으로 가족해체를 경험한 한국남성들 8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사례분석을 하였다. 범주화 및 주제 분석을 통해서 이들이 경험한 주요 이슈를 범주화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해체 과정별 주요 5가지 주제는 `결혼의 의미 및 인식 결여`, `계속되는 부딪침`, `해체 의도심화와 보류`, `결국엔 해체`, `끝나지 않은 전쟁` 이며 각 주제별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한국남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편견 개선, 가족상담 활성화, 다문화 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 지원 확충, 한국인 남편 피해자 방지를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등의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tle practical strategy in multicultural family dissolution phenomenon using the experience of korean husband.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8 interviews. All of the Interviewee were korean male husband who experienced family dissolution by divorce and runaway. The study categorized main issues of interviewee`s experience. The result is found as follows. The major five topics in the process of family dissolution were `meaning of marriage(what marriage means) & lack of awareness in marriage`, `ongoing conflict`, `intensifying the purpose to breakup & postponing`,`eventually breaking up`,`endless war`. And there were 14 sub-topics in each main topic.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ractical policies including improving negative perception & perception against korean male husband, revitalizing family counsel, expanding child care support of multicultural single parents family, legal action to prevent making victim of korean male husb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