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안동국제탈춤축제의 서비스 제공자와 관광객 간 축제속성요인에 대한 평가차이

        장영혜,이승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act of local festival factors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on tourists and service providers and suggested four factors of local festivals for the purpose: things to try, things to eat and buy, theme of festival, and services. For the local festival, it selected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to gather resources online and offline.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ings to tr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atisfaction and that it affects tourists more than service providers. Also, things to eat and buy, theme of festival, and servi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ouris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ould be possible to seek ways to bridge the gap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ourists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역축제 속성요인이 축제만족과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광객과 서비스 제공자 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지역축제의 속성요인으로는 체험거리, 먹거리 및 살거리, 축제테마, 인적서비스 등 네가지로 재안하였다. 지역축제는 안동국제탈춤축제에 참여한 서비스 제공자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온․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축제 속성요인 가운데 체험거리가 축제만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서비스 제공자보다 관광객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먹거리와 살거리, 축제테마 및 인적서비스 모두 서비스 제공자와 관광객간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비스 제공자와 관광객 간의 갭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지역축제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불평고객유형에 따른효과적인 불평처리방안

        장영혜,박명호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07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7 No.2

        …This study identifies Internet retailer consumers’ complaints, and classifies their distinct complaint response styles to Internet retailer dissatisfaction. It also examines complainer’s evaluation on Internet retailer’s complaint-handling performance, and the dissatisfied customer’s desired resolution. The cluster analysis indicates that four customer clusters with distinct response styles emerged: "activists," "irates," "voicers," "passives." Of these clusters, the voicers are found to be the largest of the four complainer categories, implying that Internet retailers should take the most positive action to resolve their complaints. The irates segments tend to complain directly to the Internet retailers, and their perceived fairness of complaint handling the most significantly affect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fter the complaint. Also, all respondents in this study identifies slow delivery and product defect as the most serious dissatisfied factors.

      • KCI등재

        정부의 창업지원 공정성이 만족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차이를 중심으로

        장영혜,이정혜,김판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overnment's fairness in entrepreneurship support affects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examines whether these influences are different for each growth stage of start-up companie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start-up companies tha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for start-up within the past 5 years. Total 611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fairness used in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procedural fairness, interactive fairness, and distributed fairness. The effect of the three fairness on the satisfaction of start-up support project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effect of business support satisfaction on business performance was analyzed, where the business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questioner's satisfaction with their business. The start-up phase was divided into the start phase, early growth phase, stagnant phase, and high-level growth phase, an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fairness and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by start-up phas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very concept of fair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jec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jec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e concept of procedural fairness in the start phase, procedural fairness in the early growth phase, interactive fairness, and the concept of all fairness in the stagnant phas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start-up support project. In this study, the fairness and effect of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s were identified by growth phase of start-up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help build a systematic system for entrepreneurship support and for start-ups, it will also greatly contribute to finding differentiated growth plans by growth stages of start-up companies. 본 연구는 창업자들이 지각하는 정부의 창업지원에 대한 공정성이 창업지원의 만족도 및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난 5년 내에 정부의 창업지원을 받은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총 611부의 데이터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공정성은 많은 연구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절차적 공정성, 분배적 공정성, 상호작용적 공정성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세 유형의 공정성이 창업지원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부의 창업지원 만족도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경영성과는 응답자 자신의 사업에 대한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창업단계는 창업기, 초기성장기, 정체기/데스벨리, 고도성장기로 구분하였으며, 창업단계별 정부지원사업의 공정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공정성 개념은 창업지원사업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지원사업만족도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단계별로는 차이가 있었는데, 창업기에는 절차적 공정성이, 초기성장기에는 절차적공정성과, 상호작용적 공정성이, 정체기/데스벨리에는 모든 공정성 개념이 창업지원사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고도성장기에는 공정성 개념이 모두 창업지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창업지원사업만족도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창업단계에 관계없이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창업자의 공정성 지각을 적용하여, 창업지원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창업자에게는 창업단계별 창업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 KCI등재

        브랜드 선택행동과 브랜드 개성 간의 관계 : 보유 브랜드와 구매고려 브랜드 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장영혜,김상우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소비자가 현재 보유한 브랜드와 향후 구매고려 브랜드 간의 연관성을 브랜드개성 차원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는 현재 승용차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승용차의 재구매를 고려하고 있는 브랜드 유지고객과 및 브랜드 전환고객들을 대상으로 리서치 전문 업체를 통해 수집하였다. 브랜드 개성은 Aaker(1997)가 제안한 차원을 바탕으로 자동차 브랜드의 특성과 한국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섯 가지 차원(강건함, 성실함, 정감, 세련됨 그리고 능력있음)으로 제안하여, 브랜드 유지고객과 브랜드 전환고객에 따라 보유브랜드 개성과 구매고려브랜드 개성간의 차이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 전환고객들이 브랜드 유지고객들보다 브랜드개성의 차이를 더욱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유브랜드만족은 보유 브랜드와 구매고려 브랜드 개성의 차이를 줄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브랜드 전환고객들에게는 브랜드 개성 가운데 성실함과 세련됨은 중요한 요인이며, 브랜드 유지고객들에는 성실함과 정감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연관성 연구의 확장과 기업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의 수립과 프로모션 전략에 도움이 클 것이다.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evance between brands purchased by consumers and brands to consider in the future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brand maintaining customers and brand switching customers who are currently owning personal vehicles and considering repurchase of personal vehicles in the future, through a professional research firm. Five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ruggedness, sincerity, warmth, sophistication, and compete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brands and of Korean consumers based on the dimensions suggested by Aaker(1997). T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onality of purchased brand and the personality of brands to consider, along with their influence on brand attitude, was verified for brand maintaining customers and brand switching custom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rand switching customers are more aware of the difference in brand personality than brand maintaining customers are and that satisfaction with purchased brands reduc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onalities of purchased brands and brands to consider. For brand switching customers, in particular, sincerity and sophisti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and sincerity and warmth were relatively important for brand maintaining customers. These findings would help with the expansion of studies on brand relevance and the companies' brand portfolio strategies and promotion strategies.

      • KCI등재

        브랜드싫증의 부정적 효과: 브랜드특성, 전환비용, 소비자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영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factors that serve to moderate negative results caused by consumers’ brand boredom. Moderating factors that control negative effects of brand boredom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brand characteristics, switching cost,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targeting general consumers who responded to a survey conducted by a professional research company, saying that they felt bored of some brands and final 31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identified that brand boredom is a factor that serves to increase avoidance intention and brand switching intent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boredom and avoidance intention, it is revealed that only brand reputation and brand popularity, the factors that belong to the category of brand characteristics, have moderating effect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greatly contribute not only to the expansion of theories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of a successful brand management strateg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브랜드싫증의 부정적 효과(사용회피의도, 브랜드전환의도)에 대한 조절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조절요인은 브랜드특성요인(브랜드명성, 브랜드대중성), 전환비용 그리고 소비자특성 요인(소비자혁신성, 물질주의 성향)으로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자료는 조사전문업체를 통해 싫증을 느끼고 있는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최종 31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브랜드싫증은 사용회피의도와 브랜드전환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브랜드싫증과 사용회피의도간의 관계에서는 브랜드특성요인인 브랜드명성과 브랜드대중성만이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브랜드명성은 사용회피의도를 감소시키지만, 싫증을 느끼고 있는 브랜드명성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회피의도는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브랜드대중성은 사용회피의도를 감소시키지만 싫증을 느끼고 있는 브랜드가 대중적인 브랜드일 경우에는 사용회피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싫증과 브랜드전환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싫증을 느끼고 있는 브랜드가대중적인 브랜드인 경우에는 브랜드전환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 특성요인인 물질주의성향과 소비자혁신성은 브랜드싫증과 브랜드전환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전환비용은 브랜드싫증과 사용회피의도 및 브랜드전환의도 모두에서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에 관한 이론의 확장뿐만아니라 성공적인 브랜드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클 것이다.

      • 기업명성과 제품판단 및 소비자적개심이 외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가친숙성과 소비자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장영혜,박명호,김상우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2

        본 연구는 외국산 제품의 판단 및 소비자적개심(역사적적개심, 경제적적개심)에 대한 기업 명성의 역할과 이들 요인들이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인 국가친숙성과 소비자자민족중심주의 성향에 따른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소비자들의 일본에 대한 지각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일본은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한국소비자들이 적개심을 가지고 있는 국가일 뿐만 아니라 명성이 높은 기업들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분석결과, 일본기업의 명성은 한국소비자들의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완화시켜주고 일본산 제품판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역사적 적개심과 경제적적개심 모두 일본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국가친숙성은 기업명성과 역사적적개심 그리고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만 조절역할을 하였으며, 소비자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은 제품판단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만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한국소비자들의 외국기업/제품에 대한 행동과 글로벌 기업들의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핵심요인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용종사자의 재교육 실태조사 및 문제점

        장영혜,유태순 한국의류산업학회 2005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more systemic and desirable impmvenient method of retraining program was researched for cultivation of field beauticians through acknowledge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phenomenon of beauty shops by time and through recognition of current retraining situation. 1) In terms of acknowledgement of the necessity for beautician retraining, the item on the necessity for beautician retraining showed beauticians' high requirement fur retraining. 2) The main problem of reeducation was that reeducation curricular of each organization have not been programed. 3) Presence education was the main thing to be completed for reeducation program improvement. We also could know that the improvement and complement of work environment, the education extension besides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rapid acquisition of information as improvement were recognized importantly.

      • KCI등재

        소비자들의 SNS이용동기, 상향적비교성향 그리고 충동구매행동 간의 관계

        장영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0 마케팅논집 Vol.28 No.1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SNS이용동기(사회적, 쾌락적, 실용적)와 상향적비교성향 그리고 충동적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SNS에 대한 평가에 따른 상향적비교성향과 충동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 는 것이다. 자료는 조사전문업체(엠브레인)를 통해 국내 SNS이용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공분산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상대적 효과와 Sobel test를 통한 매개효과 분석 및 R2의 차이를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의 SNS동기요인 가운데 사회적 동기와 쾌락적 동기가 상향적비교성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상향적비교성향은 충동적구매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 비자들의 SNS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상향적비교성향이 충동구매행동을 더욱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 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SNS이용과 구매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비교성향의 역할 과 같은 온라인 소비자들의 사회적 심리연구에 도움이 클 것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행동에 관한 보다 체계적 접근을 통해 온라인 환경에서 보다 건전한 소비행동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motivation for using SNS (social,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upward comparison tendency, and impulse buying behavior.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activities evaluation between upward comparison tendency and impulse buying behavior. Data was collected through online research company (Embrain), targeting the consumers who are SNS user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studied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lso, relative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through Sobel test were analyzed and moderating effects from R2 differences were verifi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model, it was demonstrated that among the consumer’s motivation to using SNS, the social and hedonic motiv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pward comparison tendency, and the consumers’ upward comparison tendency encouraged the impulse buying behavior.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consumers’ overall evaluation of SNS activities is high, the upward comparison tendency triggers the impulse buying behavior as well.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beneficial for studying the online consumers’ social psychology such as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use of SNS and buying behaviors. It would also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healthy consumer behaviors in online shopping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consumers’ online buying behaviors.

      • KCI등재

        고객관련 사회적 스트레스의 부정적 효과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영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서비스 종업원들의 고객관련 사회적 스트레스(부당성, 공격성, 모호성)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마음챙김의 조절적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는 대구ㆍ경북지역의 일선 서비스 직원들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 401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당한 고객의 기대는 서비스 직원들이 자신의 업무에 대한 동기가 발생하여 자기효능감과 향후 서비스 접점 상황에서 긍정적 감정표현의도를 증가시키며, 애매모호한 고객의 기대는 서비스 직원들의 자기효능감과 긍정적 감정표현의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은 고객관련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로 인한 감정적 소진을 완화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 관리 이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종업원들에 대한 기업의 지원활동과 같은 관리적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gative effects of service clerks'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es(disproportionateness, aggression, ambiguousness) and how mindfulness mediates these factors. The resources were gathered from service clerks in Daegu·Gyeongbuk area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 a total of 401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fair expectations of customers motivate service clerks professionally and enhance their self-efficacy and expression intention of positive emotion at the MOT. On the other hand, ambiguous expectations of customers discourage service clerks' self-efficacy and expression intention of positive emotion.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not found with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es and emotional exhaustion. These findings would be helpful for the stress control theo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companies' management of service clerks through various support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