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물 복합재료를 이용한 드레이핑 헬멧의 미소 변형 관찰

        장승한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 Composites research Vol.16 No.4

        In this paper. various tow parameters such as equivalent tow thickness, amplitude of longitudinal tow and tow interva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by using microscopic observation to find out the exact deformation patterns between both directions of the fabric structure(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nd those observ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bias extension. biaxial tests results with dry fabric which has the same tow structure as the draped helmet materials and also compared with prepreg specimen which is cured by autoclave moulding without vacuum and pressure condition. Specimens for the observation were taken from draped helmet which is made of fabric composite(Five Harness Satin Weave). From the observ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deformation pattern between tow directions and effect of geometric condition on the deformation of the fabric materials during draping process was verified. 본 논문에서는 직물 복합재료의 제조된 드레이핑 헬맷의 등가 토우 두께, 종방향 토우의 진폭, 토우 간격 등의 여러 가지 토우 파라메터들을 관찰하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직물 복합재료 구조의 각 방향에 따른 미세 변형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찰 결과들을 동일한 토우 구조를 가지는 견직물 시편을 이용한 일방향 편향 인장실험, 이축 인장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오토클레이브에서 경화된 여러 가지 선형 조건을 가진 시편들과도 비교하였다. 직물 복합재료(새틴 직물 복합재료)로 제작된 드레이핑 힐멧으로부터 현미경 관찰 시편을 얻었으며, 각 시편의 종방향과 횡방향에 대해 각각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로 부터, 토우 방향에 따른 서로 다른 변형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드레이핑 공정 중 금형의 기하학적 조건이 직물 복합재료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Electron Microscopy of the Intercellular Junction of Frog (Rana temporaria) Skin

        윤종식,장승한,최금덕,Yoon, J.S.,Chang, S.H.,Choi, K.D.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69 Applied microscopy Vol.1 No.1

        개구리(Rana temperaria) 상피조직의 세포간 접착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새로운 절편방법을 시도하여 동 부위의 초미세구조를 밝혔으며, 세가지 세포간간 접착방법중 하나인 데스모솜(Desmosome)은 상피세포 원형질막을 따라 절서있고 빈번하게 배열되어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 및 관찰결과와 관련하여 피부 암세포의 성장기 전 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Electron microscopy on the skin of young frogs, Rana temporaria, has been carried out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ellular attachment sites. For the first time now several technical developments allow a more detailed visualization of the fine structure within the cellular attachment sites as well as making it possible to show the ultra-structural morphology of the junctional complexes, and to demonstrate that the desmosomes are regularly distributed aroand each skin cell, especially in the S. granulosum. The relations of these findings to these of previous investigations concerning the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junctional complexes and to the findings in skin cancer from a cellular adhesion view point have been briefly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