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이 글은 황해도 방언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주제별(음운, 문법, 어휘)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려는 시도이다.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사를 정리한 곽충구(1992, 2001)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몇몇 연구를 추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음운 분야와 관련해서는 이 방언의 음소(단순모음 체계, 하향 이중 모음, /ㅈ/의 음가), 구개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및 저모음화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문법 분야와 관련해서는 조사, 어미에 관한 연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휘 분야에서는 이 방언의 친족어 연구인 곽충구(1995), 그리고 양원화(1937), 정원수(2002), 장승익(2018)의 논의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그리고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 과제로는 ‘현대 황해도 방언 자료 수집 및 연구’, ‘국내 실향민 집단 정착 마을에 대한 조사 연구’, ‘사회언어학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ap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Hwanghae-do dialect into subject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Gwak (1992, 2001) which summarized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some research not included in the study was added to advance the discussion. As for the phonological field, this research compiles the study of phonemes, palatalization,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and low-vowelization of this dialect. In the grammatical field, the case-markers and study on word endings are reviewed. In the vocabulary field, research by Yang (1937), Gwak (1995), Jeong (2002), and Jang (2018) were summarized and introduced. Additionally,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includ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the Hwanghae-do dialect", "Research on the Settlement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and "Sociolinguistic Research."

      • KCI등재

        표현용 사전으로서의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 모색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이 글의 목표는 최근에 간행된 방언사전들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방언사전은 지역의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행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은2015년이후에 간행된 방언사전에도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방언 보존’ 의 보다 적극적인 의미는 방언이 일상생활에서 쓰이도록 하는 것이다. 표현용 방언사전의 간행 필요성이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최근 제주 방언에 대한표현용 사전이 발간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표현용 방언사전을 간행할 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이용 대상, 거시 구조, 미시 구조를 살펴보았다. 먼저, 표현용 방언사전의 이용 대상은 방언 비모어 화자 또는 외국인 화자이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표현용 방언사전에 초점을 맞춰 이후 논의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사전의 거시 구조에대해서는 표제어의 규모와 배열에 관한 문제를 논하였다. 기존 방언사전은‘사어’나 ‘이해어’도 가급적 사전에 올려두고자 하였으나 표현용 사전은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 즉 표현 어휘 위주로 표제어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정하는 방법으로 이 글에서는 한국어 기초어휘 목록이나 한국어학습자용 어휘 목록 등을 참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미시 구조와 관련해서는 뜻풀이와 용례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뜻풀이는 모든 표제어에 제시해 주는 것이 좋으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사전임을 감안하여 쉬운 말로 풀이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사전 이용자들이 방언 어휘를 보다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문법, 화용 정보도 같이 제시해 주어야 한다. 용례는 뜻풀이에서 제시한 쓰임을잘 보여줄 수 있는 예문을 들어 주어야 한다. 그래서 인용례보다는 작성례가 적절하며,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화 용례도 포함되어야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북방언의 핵억양 특징 연구-구술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장승익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This paper aims to analysis the nuclear tones in Jeonbuk Dialect via adopting a method of experimental phonetics. In order to identify a more spontaneous utterance, we focus on the Narratives in this dialect. Our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Jeonbuk Dialect shows twelve kind of nuclear tons that is added three more to Lee(1997) that classified into nine of nuclear tones in Seoul Dialect, that is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Rise Fall. a nuclear tones patterns of declarative sentence shows (X)Fall, (X)Rise Fall. a nuclear tones patterns of yes-no question is realized (X)Rise mainly. rhetorical question is similar to Seoul Dialect's patterns. confirmative question shows Rise Fall. As a result, the typical pattern in this dialect is (X)Rise Fall.

      • KCI등재후보

        전주지역어의 음장 변별에 대한 연구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at length can be valid as a phoneme in Dialect of Jeon-ju area in terms of experimental phonetics. To attain the aim, we examined the rate of vowel duration, meaningfulness of statistics, and result of interview. As the result, we can find a weakness in discrimination of sound between pronunciation and listening to older person who live in Jeon-ju. At first, when it is sorted in ascending order of duration in long vowel vs short vowel, these order is ‘매:-매>손:-손>벌:-벌>눈:-눈>일:-일>말:-말’ but, If we apply P-value, there are some of changes. we can get this order ; ‘손:-손>눈:-눈>벌:-벌>매:-매>일:-일>밤:-밤’. Even though there are discrimination of sound could be still available except for ‘일:-일’ and ‘밤:-밤’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wo analyses. When we compare previous study, we can find the discrimination which is much weaker. Three people among ten informants offering data can figure out the listening part. However, two candidates among tree people responding to the answer in pronounced discrimination measure narrowly could not discriminate length. This means that long and short of the conflict in their speech with data disappear. 본고는 전주지역어에서 음장이 운소로서 유효한지를 실험음성학적으로 점검해 보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모음의 지속시간 비율, 통계적 유의성, 면담 조사 결과 등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지역어의 노년층 화자에게서 음장의 변별력이 발음 및 청취 두 측면에서 매우 약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장모음 대 단모음의 지속시간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매:-매>손:-손>벌:-벌>눈:-눈>일:-일>말:-말’이었다. P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경우에는 순위에서 약간의 변동이 생겨 ‘손:-손>눈:-눈>벌:-벌>매:-매>일:-일>밤:-밤’과 같이 되었다. 두 분석 결과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일:-일’과 ‘밤:-밤’을 제외하고는 음장의 변별이 아직까지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취의 측면에서는 10명의 자료제공인 중 3명만이 청취 변별이 가능하다고 대답하였다. 그런데 이 3명 중 2명은 발음 변별 측정에서 근소한 차이로 장단을 변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 자료제공인의 말에서 장단의 대립이 사라지고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파찰음의 조음 위치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1) -전북방언 여성 화자의 /ㅈ/을 중심으로-

        장승익,장봉춘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이 논문은 전북방언 /ㅈ/의 조음 위치를 스펙트럼 상의 정점 주파수 값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북방언에서 /ㅈ/은 경구개음으로 보고되어왔으나, 최근 청년층을 중심으로 이를 치조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청각적으로확인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세대’와 ‘후행 모음’을 변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정점 주파수 값이 상대적인 점을 감안하여 /ㅅ/의 정점 주파수 값도 함께조사, 분석하였다. 먼저, 후행 모음이 /ㅅ/, /ㅈ/의 정점 주파수 값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노년층 /ㅅ/에는 ‘원순성’과 ‘구개음화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청년층 /ㅅ/에는 원순모음 중 /ㅗ/만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ㅈ/ 값에는 노년층의 경우 ‘구개음화 환경’이 영향을 미쳤고, 청년층은 원순모음 /ㅗ/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 방언 화자의 노년층은 대체로 6,000Hz 이상에서 치조음이 형성되고, 5,000Hz 이하에서 경구개음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청년층은 이보다 정점주파수 값이 높게 형성되어 치조음은 7,000Hz 이상에서, 경구개음은 6,000Hz 이하로 나타났다. /ㅈ/의 조음 위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ㅅ/-/ㅈ/ 값 확인과 구간별 분석을실시하였다. 그 결과, /ㅅ/-/ㅈ/의 값은 /ㅡ/와 /ㅣ/ 앞에서는 두 세대가 비슷하게나온 반면, /ㅏ/, /ㅐ/, /ㅓ/ 앞에서는 청년층이 적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ㅏ/, /ㅐ/, /ㅓ/ 앞의 환경에서 청년층 /ㅈ/의 조음 위치가 /ㅅ/에 가까워졌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간별 분석 결과, 노년층에 비해 청년층의 /ㅈ/이 경구개 위치를 이탈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후행 모음 및 화자별 분석 모두에서 동일한경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후행 모음 중에는 /ㅏ/ 앞의 환경에서 /ㅈ/의 전방 이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re the Jeonbuk dialect /j/’s place of articulation is through the spectral peak frequency of vocal range. The /j/ in the Jeonbuk dialect has been reported as a palatal sound but it has been found by auditive impression that the young generation these days pronounces it as an alveolar sound. To prove that, I set the age of informants and the following vowel as variables. Also I considered its spectral peak frequency for comparison to /s/’s spectral peak frequency and analyzed it as well. First, I observed how a following vowel affects /s/’s and /j/’s spectral peak frequencies. As a result, both ‘[+round]’ and ‘environment of palatalization’ affected the pronunciation of elders /s/ while only the /o/ in round vowel affected the young generation’s /s/. And for /j/, ‘environment of palatalization’ affected the elders pronunciation while round vowel /o/ did so to the young generation. Those in the elderly group of speakers of this dialect make an alveolar sound normally at over 6,000Hz and a palatal sound under 5,000Hz. For young generation, spectral peak frequency was higher. That is, the alveolar sound was produced at over 7,000Hz, and the palatal sound under 6,000Hz. To find out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for /j/, I experimented with the numbers for /s/-/j/ and analyzed each, section by section. As a result, the /s/-/j/ articulation before /eu/ and /i/ was the same in both of those two generations. This shows that the young generation’s place of articulation for /j/ becomes more like /s/ in front of /a/, /ae/, /eo/. As a result of this sectional analysis, I concluded that the young generation’s /j/ is more likely to glide out from alveola places and this same tendency was shown in both following vowels and speaker analysis. Particularly, among following vowels, /j/’s motion forward in front of the vowel /ㅏ/was the most common.

      • KCI등재

        황해도 방언 기반 언어섬 공동체 사례 연구—정농 2세대 언어의 방언 접촉 양상을 중심으로—

        장승익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5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residents of Jeongnong Village, a dialect-based speech community in Hwanghae-do, to identify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how they related to dialect contact. Jeongnong Village, located in Wanju, Jeollabuk-do, was formed by the collective settlement of North Koreans who fled to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 first generation of village residents still retains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Jeollabuk-do dialect, creating a kind of language island. However, they are not completely isolated because they have contact with neighboring dial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six traits exhibited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the phonetic value of the vowel wi, vowel harmony, o > u high- vowelization, the connective ending -nikka, the prefinal ending tense, and the adnominal ending -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gu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 dialect were significantly weaker in the second generation of residents than in the first gener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dialectical changes were heading towards standard Korean rather than the surrounding Jeollabuk-do dialect. This result was likely due to the fact that second-generation speakers have different attitudes about the Hwanghae-do dialect, the Jeollabuk-do dialect, and standard Korean. 이 글은 황해도 방언 기반 언어 공동체인 정농 마을 구성원 중 2세대의 언어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 2세대의 언어적 특징이 방언 접촉과 관련하여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완주에 있는 정농 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 월남한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정착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1세대들은 황해도 방언의 특징을 여전히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이 마을이 전라북도 방언과는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집단, 즉 ‘언어섬’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언어섬’이 완전한 고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언어섬도 주변의 방언, 표준어와의 접촉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황해도 방언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판단되는 6가지(‘ㅟ’의 음가, 모음조화, ㅗ>ㅜ 고모음화, 연결어미 -니까, 시제 선어말 어미, 관형사형 어미 -ㄴ)가 2세대 언어 자료에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세대의 언어는 1세대에 비해 황해도 방언적 특징이 상당 부분 약화되었으며, 그 편입의 방향이 전북 방언보다는 ‘표준어’를 향하는, 일종의 표준어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세대 화자가 가진 언어 태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라북도 방언사전≫의 표기에 대한 연구

        장승익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1 No.-

        This paper is the result of contemplating the problem of “the orthography of dialects” which arose in the compilation of the “Jeollabuk-do Dialect Dictionary”. In Chapter 2, we set up the scope and orthography principles of the “Jeollabuk-do (Jeonbuk) dialect”. The Jeonbuk dialect was defined as 'the words of elderly people used throughout Jeollabuk-do' from 1930 to the present. Additionally, the orthography of the “Jeonbuk dialect” is based on the morphophonemics orthography,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underlying forms in the case of refraction, synthesis, and derivation. In the case of phonological rules, if one word is the same as the standard form of the word, the standard form is used. On the other hand, if the word is not the same, the characteristic phonological phenomenon of the Jeonbuk dialect is reflected in the word’s orthography. And in the case where plural variations coexist, this is also reflected in the orthography. Finally, the conservativeness of the orthography is also mentioned. Chapter 3 is about phonemic orthography. A phoneme is distinguished as /ㅔ/[e] or /ㅐ/[ɛ] (except Gochang county), and if /ㅢ/[ɨj] is pronounced with standard pronunciation (acceptable), it is written as ㅢ. If not, the pronunciation is indicated as it sounds. Additionally the necessity for words like, ‘ㆆ[ʔ], ㆉ[jø]’ is also expressed. However, prosodemes are not reflected in the orthography. In Chapter 4, we examine som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Jeonbuk dialectic” and mention that these phenomena should be reflected in the orthography. However, in the case of ‘h-deletion’, these phenomena are not reflected in the orthography due to the conservativeness of the orthography. 이 글은 ≪전라북도 방언사전≫을 편찬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방언 표기’의 문제에 대해 고민한 결과물이다. 2장에서는 ‘전북 방언’의 범위 및 표기의 원리를 설정하였다. 전북 방언은 ‘193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라북도 지역 전역에서 쓰이는 노년층의 말’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전북≫의 표기 원칙은 형태음소적 표기를 기초로 하여, 굴절・합성・파생의 경우 기저형 사이에 경계를 두는 것으로 하였다. 음운 규칙의 경우, 표준어와 동일한 경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전북 방언 특유의 음운 현상은 표기에 반영한다. 그리고 복수의 변이형이 공존하는 경우는 표기에 반영하는 것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기의 보수성도 고려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음소의 표기에 관한 것으로, /ㅔ/와 /ㅐ/는 구분하여 표기하고(고창 제외), /ㅢ/ 경우에는 표준 발음(허용)으로 실현될 경우 ‘ㅢ’로 표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ㆆ, ㆉ’와 같은 자모도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운소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기 로 하였다. 4장에서는 전북 방언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몇 가지 음운 현상을 살펴보고 이 현상들이 표기에 반영되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다만 ‘ㅎ-탈락’의 경우에는 표기의 보수성을 고려하여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