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白沙 李恒福 經世說의 사상적 특징

        장숙필(Jang Sook-Pil) 한국인물사연구소 2007 한국인물사연구 Vol.8 No.-

        Yi Hang-Bok(1566-1618) had more than 40 years of court officer service is one of the famous court officers of the Joseon Korea(1392-1910). Especially he rendered distinguished service during the Korea Japan war(Imjinwaeran, 1592-1597). During the Kwanghae(1607-1623) period he objected the dethrone of the queen dowager at the risk of his life, thus his activity eventually encouraged the morality of the people. His political doctrines are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He respected the Joseon Confucian legacies and he emphasized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rather than theory. He tried to make true the peaceful society in the basis of moral practice. He criticized empty formality of the codes of social conducts and the idle life of the noblesse(Yangban). His doctrines of moral cultivation, which based on Joseon Neo-Confucianism, got count on preserving the Yagi (freshness of night as the original moral status of human mind and hearts, or becoming the morally imaginative status during the calm night). And not becoming the shameful person is the basic point, As a Wartime court officer, he emphasized the peaceful society. In his doctrines, the staring point of the peaceful society is the fair and just attitude of king which achieved by means of moral cultivation. He emphasized the moral politics based on the filial piety from the king to the whole kingdom, at the risk of his life. This doctrine is the realization of the Neo-Confucian idealism in the realities of the court politics of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艮齋와 華西學派의 心說論爭의 핵심 쟁점과 그 의미

        장숙필 ( Sook Pil Ja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艮齋와 화서학파의 심설논쟁은 리를 중심으로 사고하고 실천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아니면 절대지선의 리는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가변적인 기를 다스려 이 리가 제대로 드러날 수 있게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두고 벌어진 논쟁이라 할 수 있다. 즉 실천과 이론의 통일체로서의 조선유학이 19세기라는 미증유의 격변기에 어떻게 천리를 보존하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논쟁이었다. 화서학파는 율곡의 ‘심시기’라는 명제가 主氣로 흘러갈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비판하고 우리 몸의 주재이며 성정을 통섭하는 주체인 심은 리를 주로 하여(主乎理) 봐야하며 이런 측면에서 심은 리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간재는 율곡의 ‘심시기’설을 그대로 계승하여 심은 기이며 심 가운데에 내재되어 있는 성이 리라고 주장한다. 물론 둘 다 존재론적으로 심이 이기의 합이라는 것을 동일하게 전제로 하고 있지만, 간재는理無爲氣有爲의 이기관 및 심과 성을대비하면 성은리요 심은 기라는 율곡의 주장에 근거하여 유위한 기는 무위한 리에 근거해야 만이 그 작용이 바름을 잃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주재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일탈하기 쉬운 마음의 자의성을 통제할 것을 역설하는 性師心弟說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화서학파인 重菴은 심이 天君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은 心中의 리에 의해 가능하므로 이 리를 주로 하여 심을 리라고 하여야 만이 主氣의 폐단으로 흘러가지 않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간재는 중암의 주장이야말로 主氣本心之學이며 자신의주장이 진정한 主理本天之學이라 역설하게 된다. 이 논쟁은 당시와 같은 대내외적 위기의 시대속에서 천리의 보존과 실현을 통해 시대적인 난국을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지만 서로의 수양방법론 및 현실인식의 차이로 인해 결국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 논쟁은 우리에게 주리, 주기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게 하는 계기를 주었으며, 천리의 보존과 실현이라는 성리학적 문제의식에 대한 치열한 탐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It is said that the arguments of Clarification of Mind between Kanjae(艮齋) and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was the controversial of the assessment of the principle(li) and mind. One is claimed that it is the proper approach of thinking and practice alongside with principle whist the other maintained that present the unmovable principle by the movable vital force (qi). The controversial argument was an extension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in mid-Joseon Dynasty. Hwaseo School was criticized that the notion of “the mind is the vital force” of Yulgok have tendency of vital force centralism. To avoid vital force centralism, the mind that is administrator of human nature and emotions that has to be a principle central.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mind is principle. On the contrary, Kanjae was more straightforward to Yulgok`s idea: “the mind is the vital force”. He asserted that the mind is the vital force and the principle is immanence among the vital force of the mind. Both of them are agreed to what the mind is the synthesis of principle and the vital force but the perspectives are different. By Kanjae, he displayed that principle is doing nothing but the vital force is active, subsequently the dichotomy of principle and the vital force deliver the conclusion that of qi have following the li and it is the way not to take a false step.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mind have to follow the instruction of li called the formulation of nature is master and the mind is disciple(性師心弟說). However, Jungam(重菴) of Hwaseo School is against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him, the mind is the governor of body due to the li in the center of mind. Therefore, li is the one and in this sense the mind is li to elude the vice of vital force centralism. On the contrary, Kanjaeasserted that Jungam`s notion is not principle centralism but mere vital force centralism, for my theorem is the true meaning of principle central and heaven rooted leaning(主理本天之學). The disputes were initiated that the sense of impending cri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 the devastating situation, they are groping for the solution of keeping of heavenly principle and realization the morality of Confucianism. However, they have failed to reach the agreement due to the difference of ways of cultivation and sense of actual realties. The dispute led us a chance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principle centralism and vital force centralism. And it is presentation of the endeavors of how to keep of heavenly principle and realization the moralit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schola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호락논쟁 이전 율곡학파의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장숙필 ( Sook Pil Ja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호락논쟁이전 율곡학 계열에서 인물성동이와 미발심체에 대한 견해가 어떻게 제기되어 어떤 모습으로 계승되어 가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율곡(栗谷)의 문제의식은 성학(聖學)의 입장위에서 모든 사람을 요순과 같은 성인으로 만들기 위한 공부론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물성동이의 여부보다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통해 인성의 선의 근거를 확실하게 제시하고, 심시기설(心是氣說)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선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밝히는데 집중하였던 것이다. 우암(尤庵)에 이르면 미발과 공부론의 관계가 본격적인 문제의식으로 대두된다. 그러나 우암도 율곡과 마찬가지로 인물성의 동이여부보다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성인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져 있으며, 이는 마음이 가진 주재능력을 발휘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여기에서 미발의 심체는 기와 섞어 말할 수 없으며 미발과 정(靜)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수암(遂菴)에 이르면 리와 성은 다르다는 점을 중시함으로써 인간과 금수, 성인과 범인을 엄격하게 구별하고 이를 통해 인간수양의 당위성을 끌어내려 하게 된다. 여기에서 인물성동이와 성범심동이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맹자의 성선설을 정통으로 인정하고 성즉리(性卽理)라는 명제를 통해 인간도덕의 절대성을 역설하려던 주자학의 문제의식과 거리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으로 인해 농암(農巖)은 초년의 인물성이 다르다는 입장으로부터 만물에 보편적으로 내재된 천리의 실재에 근거하여 천명(天命)의 입장에서 볼 때 곧바로 인물성이 다르다고 할 수 없으며, 천명의 성은 누구에게나 동일하므로 미발시의 중으 본체도 성범이 동일하다고 주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농암의 입장은 낙론의 인물성동론으로 전개된다. 호론과 낙론이 율곡의 공부론 즉 인간이 공부를 통해 천리를 실현해야 한다는 유가적인 당위론을 계승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기질적인 차이를 근거로 수양의 당위를 제시하려는 호학의 입장은 보편적인 천리를 근거로 인간도덕의 절대성과 당위를 제시하려는 율곡과 우암의 입장과는 거리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how discussions on the inmulseongdongi theory (人物性同異論, dispute on the nature of man and animal) and innate human nature (未發心體) were brought up and carried out by members of the Yulgok school of thought before the Ho-rak debate (湖洛論爭). Yulgok`s thinking was focused on the theory of self cultivation in Confucianism which has the purpose of perfecting humans to a higher state. Therefore, he was less interested in whether the natures of men and animals were the same. Rather, he focused on pointing out the basic goodness of all humans through the “theory of Li-through and Ch`i-within” (理通氣局說) and explaining that all humans have the ability to do good through the “theory of shimshigl” (心是氣說). During the time of U-am(尤庵),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ultivation and the mibal theory (未發論) was emphasized. However, U-am, like Yulgok, was not interested in the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 natures of animals and humans. Rather, he stressed the fact that all people aad the ability to be enlightened and that enlightenment can be brought about through the use of one`s inner abilities. However, Soo-am(遂菴) focused on the idea that reason and goodness were not the same principle. He made strict distinctions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good and evil people. Through this, he tried to bring up the topic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ment of humans. This was when the topics of whether the naturis of humans and animals are the same and whether innate human nature is good or evil was first seriously brought up. Due to these problems, Nong-am(農巖) changed his outlook. While he had supported the idea that the personalities of children are different, he began to assert that 1) based on the fact that all things are instilled with the laws of nature. Humans` personalities cannot be said to be different when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2) good and evil in human nature are the same since the goodness of nature is the same in all people. These views were developed into the idea of original human nature from the “Rak” theory. The theories of “Ho” and “Rak” are the same in that they both support Yulgok`s idea of self cultivation. However, the views of Hohak and the views of Yulgok and U-am are different in that Hohak suggests that humans must development themselves because the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Yulgok and U-am emphasize the innate goodness all humans receive at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