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작은 아씨들』과 영화 <작은 아씨들> 스토리텔링 전환 양상과 의미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이 글은 루이자 메이 올콧의 소설 『작은 아씨들』과 원작소설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면서 각 시대적 가치관을 반영한 세 편의 영화(1949, 1994, 2919)의 각색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원작 소설 『작은 아씨들』은 다층적인 목소리를 통해 전복의 상상력을 내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이 오늘날 여러 버전으로 각색되는 것은 19세기 소녀소설로 당대적 도덕관과 가치관을 담아내고 있으나, 소설의 곳곳에서 당대적 가치관에 대해 순응과 불온의 상상력을 동시에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다층적인 해석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 원작 소설을 비교적 충실하게 각색한 영화들이 각 시대의 소통욕망을 반영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이야기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모되었다는 점에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1949년 영화의 경우 원작 소설에서 낭만적 연애와 결혼에 초점을 맞추고 남성 중심 사회를 존속,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스토리텔링을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다. 1994년 영화에서는 여성주의 시각이 강화되면서 스토리텔링도 변화된다. 1994년 영화는 조와 마치부인, 그리고 에이미의 성격을 강화하고 여성주의 시각에서 남성중심 사회의 문제점을 조망해서 보여주고자 한다. 2019년 영화에서는 현대인들의 꿈에 대한 도전과 성취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춰 조를 화자로 내세워 과거와 현재를 교차편집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누구나 소녀시절에는 자신의 꿈이 있고 낭만적인 미래를 꿈꿀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네 자매의 삶을 통해 현대인의 가치관의 변화와 소통에 대한 욕망을 반영해서 각색되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strategic adaptation of three versions of film based on the different periods, to tell the story of the original novel Little Women. They are focusing on narrative structures and personality changes of the characters. For this, I will examine how the main stream of storytelling are changed from the original novel to the 1949 film, the 1994 film, and the 2019 film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two perspectives in the original novel of Little Women opens up diverse possibilities for interpretation. First, it directly reveals on the surface of the novel as an edifying message through contents that provide education on femininity that was demand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it displays subversive imagination, taking advantage of existing cultural values and morals. In particular, the original novel opens up possibilities for new interpretations in that it conflicts with contemporary moral views or values through the lines or action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The mixed values of the original piece also affected the reinterpretations of the three films. The 1949 film focuses on the romantic lives and marriages of the daughters to compose the whole narration, reproducing a story of a moral family saga. Therefore, the 1949 film is limited in that it reproduces male-centered and traditional values by focusing the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lives of families and women on marriage instead of on the unique character compositions of each character.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1994 film and the 1949 film and they reveal values of changed feminity. The 1994 film changed the personalities of some of the characters to externally reveal subversive voices on traditional feminity and it reveals the changed values and morals of today in that the film was made from perspectives that support feminism. The 2019 film reinforces feministic views dealt with in the 1994 film and focuses even more on narrations through which the characters attempt to fulfill their dreams. This piece places the character of ‘Jo’ in the center to show narrations of a sense of challenge and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dreams of today and develops the stories of the four daughters through cross editing. The 2019 film displays view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994 film in that it attempted to make reinterpretations of hidden meanings in the original piece to be appropriate for today by reinforcing the characters of ‘Jo’ and ‘Amy’ and their processes of dream fulfillment. Like this, the novel Little Women has elements of newness in that it shows possibilities of diverse interpretations through the rich imagination and multi-layered problem awareness of the original work.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original Little Women will graft with diverse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to display free imagination.

      • KCI등재

        <뽀롱뽀롱 뽀로로>에 나타난 놀이 연구

        장수경(Jang Su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6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8

        This manuscript divided the aspects of play appearing in the 52 shows of season 1 of <Pororo> into the four domains of Agon, Alea, Mimicry, and Ilinx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oger Caillois and observed their properties.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season 1 of <Pororo>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s in <Pororo> begin play because of a playful desire, pursue competition in the process, and realize creativity. Furthermore, properties of children’s play are exposed through the point that the element of Alea in <Pororo> gains abstract symbols such as ‘a beautiful flower garden’, ‘friendship’, and ‘friends’ as a result of luck. Second, Mimicry and Ilinx play are repeated and varied in <Pororo> and in such play, desires for growth and a sense of freedom are often satisfied simultaneously. The characters want to escape reality through Mimicry and they realize their desire to become adults through acting and with an imagination which projects a new reality. Also, the characters satisfy a sense of freedom by enjoying mental ecstasy (1’extase) such as furious spinning or fear. As observed thus far, the greatest significance of <Pororo> is that its characters display the desires of children and an understanding through free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exceed existing perspectives through which children’s animations were discussed from a formal level as educational, interesting, or successful contents, as they enlighten people to how important the development of contents which realize the desires of children is. However, this manuscript simply revealed the properties of children’s play in <Pororo> and was unable to deal with the viewpoints of consumers. Also, because the research scope of this manuscript was limited to season 1 of <Pororo>, it was limited as it did not generally deal with the properties of play in seasons 2, 3, 4, and 5.

      • KCI등재

        1960년대 『가톨릭소년』과 어린이 교양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이 글은 1960년대 발간된 『가톨릭소년』을 중심으로 그 체제와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여, 1960년대 어린이 교양이 어떠한 내용과 서술체계를 통해 기획, 구성되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톨릭소년』은 어린이를 위한 종합잡지로 1960년 1월 1일 창간되었다. 잡지의 편집 체제를 살펴보면 종교적인 내용이 1/3, 문예지적 내용이 1/3, 학습과 취미 등 오락적인 내용이 1/3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잡지는 문예지적 성격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어린이 문화운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런 측면은 당대 어린이 교양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소년』에는 우주과학소설이 장기간 연재되었는데, 이는 과학이 발전한 한국의 미래상에 대한 욕망과 연동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미래를 이끌어갈 어린이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제시함으로써 당대의 과학적, 보편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이 현대 교양인의 덕목임을 제시한 것이다. 둘째, 이 잡지에는 ‘명작’, ‘명화’, ‘연극’ 등의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해 지속적으로 다루면서 현대인이 갖춰야 할 교양에 대한 구성 욕망을 서구 문화의 측면에서 드러낸다. 특히 명작을 소개할 때는 ‘해설-텍스트 줄거리-작가소개’의 방식으로 스토리텔링함으로써 보편적 지성을 갖춰 성장해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가톨릭소년』은 가톨릭소년 4대 문화사업과 아동문학계의 동정 및 행사를 적극 소개하고 기사화함으로써 독자에게 문화계 정보를 유통하고 확산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이 잡지는 어린이들에게 건전한 어린이 문화와 생각의 힘을 키우는 것이 현대 교양인의 덕목임을 강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가톨릭소년』은 1960년부터 현재까지 발간되면서 어린이 교양의 덕목으로 지식과 선행의 실천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구성된 어린이 교양의 내용은 오늘날까지 어린이 교양교육으로 재생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system and contents of Catholic Boys published in the 1960’s and explore how children’s refinement was planned and organized through which contents and system for description in the 1960’s. Catholic Boys is a general magazine for children, and its first issue was published on January 1, 1960. Regarding the magazine’s editing system, 1/3 forms religious contents, another 1/3 is about literary contents, and the rest 1/3 is composed of entertaining contents for learning or hobbies. Many pages of this magazine were particularly used for literary contents and intended for children’s culture movement. It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children’s culture because we can capture how the contents of children’s refinement were organized at that time with this magazine. First, a space science novel was published serially on Catholic Boys for a long period. This is associated with their desire for the future of Korea enjoying scientific development.By suggesting children who would be the future leaders to show concern and interest towards science, this magazine told them it would be the virtue of contemporaries of refinement to be equipped with scientific as well as universal knowledge then. Second, this magazine continuously dealt with how to enjoy culture and arts, for instance, ‘masterpieces’, ‘noted movies’, or ‘plays’, and revealed their desire for the elements of refinement contemporaries should be equipped with in the aspects of Western culture. Particularly, in the introduction of masterpieces, they used the storytelling of ‘exposition-text synopsis-introduction to the writer’ and stressed the fact that children should grow up equipped with universal intelligence. Third, Catholic Boys introduced its 4 major culture projects and also the trends and events in the circles of children’s literature aggressively and wrote articles about them. It did contribute to distribut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in the circles of culture then to readers positively. With this process, the magazine urges children to realize it is the virtue of contemporaries of refinement to raise the power of thinking and create sound culture for children. As examined above, from 1960 until now, Catholic Boys has been suggesting knowledge and the practice of good deeds as the virtue of children’s refinement. The contents of children's refinement formulated in the 1960's can be regarded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still being reproduced for education for children's refinement.

      • KCI등재

        권정생 동화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과 의미 - 『중달이 아저씨네』와 『빼떼기』를 중심으로 -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이 글은 권정생의 동화 『중달이 아저씨네』와 『빼떼기』를 중심으로 사랑의 구현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정생 문학의 주요 흐름은 ‘사랑’인데, 그 사랑의 발현방식은 작품 속에서 무욕과 아량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빼떼기』에서 화상을 입은 닭을 등장시켜 사람들이 나눔을 실천하는 방식이 관대함을 전제로 한 몫에 대한 분할의 방식을 따를 때 외부적 폭력의 상황에 처하면 사랑의 실천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변모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전쟁의 첫희생자인 빼떼기의 죽음은 이 스토리에서 가장 나약하고 불쌍한 존재의 희생이 폭력의 시작점이라는 점에서 비극성을 더한다. 전쟁이나 부조리한 힘이 지배하는 현실에서 인간들은 아량을 통해 사랑을 실천하고자 하지만 이는 물리적 폭력에 의해 번번이 좌절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빼떼기』는 진정한 사랑의 실천이란 어떠한 방식이어야 하는지를 역설적으로 묻고 있다. 『중달이 아저씨네』를 살펴보면 바보스런 인물을 등장시켜 무욕을 전제로 한 사랑이 나와 세계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드러내는 방식임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중달이 아저씨는 자신의 몫을 내어줄 때 ‘땅’을 사회적 기준 단위인 ‘한 뙈기 두 뙈기’로 이해하는 방식이 아니라 ‘한 개 두 개’처럼 물건을 셀 때의 기준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교환 가치를 해체시킨다. 이 작품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란 몫에 대한 분할의 방식이 아니라 나의 것 절반을 내어주고, 나머지를 모두 내어주는 무욕의 태도를 실천할 때 사랑이 완성됨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작품은 권정생이 사랑을 드러낼 때 무욕의 관점이 훨씬 더 인간적이고 본질적인 사랑의 방식임을 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글은 권정생의 동화 두 편에 한정된 연구라는 점에서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할 것이다. This article takes a look at the aspect and meaning of Love with the focus on Uncle Jungdal and Bbaddegi, the fairly tales of Kwon Jung-saeng. Main flow of literature of Kwon Jung-saeng is ‘Love’ and the manifestation method of the love is displayed in the tendency of freedom from avarice and generosity in the works. First of all, Bbaddegi displays the point of view of generosity(generosite). This work has the chicken with burning inju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ractice of love turns into a situation with impossible to practice love in encountering of the situation of external violence when people follows the method of division for the method to practice sharing. In particular, as the first victim of a war, the death of Bbaddegi is even more tragic in the point that sacrifice of the most vulnerable and pitiful being w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violence in this story. Under the reality where war or illegal force controls, humans attempt to practice love through generosity, but this is failed by physical force at all times that Bbaddegi inquires paradoxically what method should be facilitated for practicing of true love. Next, in Uncle Jungdal where the point of view of freedom from avarice(desinteressement) is well displayed, an idiot is emerged to tell that sharing through freedom from avarice would be the method that displays the relationship of true human and the world. In this work, Uncle Jungdal part away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value of exchange in the point that it facilitates the criteria in buying goods like 'one piece, two piece' and so on, no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with the social standard unit of land in 'One Parcel, Two Parcel' and so on when its share is divided. This work structures the narrative of irony in that the expression of ‘Love’ in paradoxical way to be available when the passion of freedom from avarice to give a half of mine and then the rest is all given away, not for the method of installment. As such, these two works formulate aesthetically that the point of view on freedom from avarice is much more humane method of love when Kwon Jung-saeng displays the love. However, this article has significant limitation in the point that it is the study limited on two fairly tales of Kwon Jung-saeng. The insufficient parts in this study would be supplemented through the studies at a later time.

      • KCI등재

        한낙원 과학소설과 포스트 휴머니즘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오늘날 과학소설에서 포스트 휴먼 주체는 휴먼과 휴먼-아님, 지구행성과 우주, 주어진 것과 제작된 것의 복잡한 배치이며 우리의 사유방식을 총체적으로 재조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는 한낙원의 과학소설 『화성으로 간 사람들』, 『잃어버린 소년』, 『금성탐험대』를 중심으로 탈지구적이고 탈인간중심적인 관점이 어떻게 나타나고, 의미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한낙원의 장편 과학소설은 우주로 공간이 확장되면서 ‘외계인-되기’와 같은 낯설게 하기를 통해 모든 타자와의 관계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포스트휴머니즘적 전망을 보여준다. 한낙원은 타 행성에 대한 테라포밍의 상상력과 탈인간중심적인 가치를 대립되는 두 층위로 예각화해서 드러낸다. 소설에서 안트로포스적인 어른들은 화성과 금성에 대규모 공장을 지어서 지구환경과 유사한 곳으로 개조해 인간의 소유적 이기주의를 충족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휴머니즘적 폭력성을 드러낸다. 반면 어린이와 외계인은 유목적 주체로서 모든 타자들에 대해 열린 시각을 갖고 있다. 이들은 인간과 타자와의 관계를 횡적으로 확장하고 연대를 구축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긍정의 미학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한낙원의 장편 과학소설은 우주로 공간을 이동해서 타자들과 관계성을 확장하고, 융합적 사유를 바탕으로 공존의 윤리를 모색한다는 특징이 있다. 포스트 휴먼적 가치는 오늘날까지 지구와 지구가 아닌 환경, 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와의 관계성과 상호의존성을 인식하는 토대로 작동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In today's science fiction, the post-human subject is a complex arrangement of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planets and spaces, given and made, and demands a holistic readjustment of our way of think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a post-global and post-human perspective appears and forms meaning. Its main focus is on Han Nak-won's science novels, “People Who have gone to Mars”, “The Lost Boy”, and “The Venus Expedition”. Han Nak-won's science fictions deal with expanded space from the Earth to the universe. In the universe, human beings show posthumanistic perspectives in that they broade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through unfamiliarity such as “becoming an alien.” This text reveals the terraforming imagination of a planet other than the Earth and the posthuman value through two opposing characters. Adults who symbolize antrophos in the text set up factories on Mars and Venus to transform them into an environment similar to Earth. The characters' thoughts show the violence of humanism in that they are based on capitalist and selfish desires. On the other hand, children and aliens are represented as nomadic subjects, and the characters are open to all others. The post-human subject exp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other life based on transversality and tries to build solidarity with them. In this respect, these novels show positive aesthetic. As discussed above, Han Nak-won’s novels exp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into transverality by moving space from earth to space. In addition, characters are characterized by seeking ethic of coexistence with others based on integrated thinking. The post-human value is meaningful in that it acts as a basi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nd interdepende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non-Earth environment, and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 KCI등재

        1960년대 과학소설의 팽창주의 욕망과 남성성

        장수경(Jang Su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이 글은 1960년대 한낙원의 『우주항로』와 『금성탐험대』를 중심으로 당대 아동청소년을 위한 과학 소설에서 남성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이미지를 형성하였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1950-60년대는 미소냉전 체제를 중심으로 우주 개척에 대한 열광, 유행, 최면(催眠)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들의 욕망이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과 잡지 등의 인쇄 매체에서 과학소설의 형식으로 유통, 소비되었다. 아동청소년을 위해 창작된 과학소설에서는 우주개척에 대한 팽창주의 욕망이 발동하면서 두 가지 서사적 특징이 드러난다. 첫째, 과학소설에서는 팽창주의 욕망과 소년영웅의 귀환을 통해 강인한 남성성을 재구축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과거 제국주의적인 남성성의 문화가 병사와 영웅의 이미지로 남성성의 문화를 구성했다면, 1950년대 후반에는 전쟁의 폐해로 인해 남성성이 위축되면서 병사와 희생자(불구자)의 이미지로 변모하였다. 그런데 1960년대로 오면 과학소설을 통해 소년영웅이 귀환하고 팽창주의 욕망이 드러난다. 다만 모험의 장소가 지구에서 우주(화성과 금성)으로 공간을 이동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불완전한 타자들과의 분리를 통해 완전한 남성성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남성중심의 문화를 강화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과학소설에서 여성은 통신원과 같은 부차적인 인물로만 기능하며, 이들은 외계인(敵)에게 갇힌 몸이 되거나 우주선에서 기다리는 역할을 하는 수동적인 여성상으로 존재한다. 특히 여성인물들은 적에게 납치되어 남성들이 여성을 구출하기 위해 적진까지 침입하는데 죽음을 각오한 투쟁을 통해 지도자적 남성성이 강조된다. 또한 외계인은 위대한 문명을 건설했음에도 불구하고 ‘늙은 개구리’나 디즈니에 나오는 ‘오리’ 같은 우스꽝스럽고 징그러운 동물적인 이미지로 비하된다. 이는 고결한 남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과 외계인을 타자화한 것이다. 1960년대 급속한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강한 남성성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팽배하였다. 이는 과학소설에서 우주에 대한 팽창주의 욕망과 함께 강인하고 완전한 남성성을 문화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an Nak-won’s 『Woojuhangro』and 『Geumseongtamheomdae』to see how the aspects of masculinity were constructed culturally in children’s science novels of the time and how they formed images then. In the 1950’s to 60’s when there was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 public’s desire that could be summed up as enthusiasm, trends, and hypnosis about pioneering the universe was distributed and consumed in the forms of SF through newspaper or magazine’s articles, movies, the television, radio, or printed media. As children’s SF narratives triggered expansionistic desire about pioneering the universe, two narrative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then. First, with expansionistic desire and the boy hero’s return, they tried to reestablish powerful masculinity culturally. Previously, the imperialistic culture of masculinity constructed the culture of masculinity with the images of solders and heroes, but the 1960’s, masculinity got withered due to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war, and their images were changed to solders and the handicapped. In the 1960’s, however, boy heroes returned through SF novels, which revealed expansionistic desire. Yet, it was just about the change of places for adventure from the Earth to the universe, for example, the Mars and Venus. Second, through separation from incomplete others, they tried to establish the perfect image of masculinity and reinforce male-oriented culture. In SF novels, women function as an auxiliary character like a correspondent and exist as a passive female image playing roles as a being either trapped by alien enemies or just waiting in the spaceship. Particularly, when the female characters are kidnapped by the enemies, men penetrate deep into the enemy’s position to save them, and here, through their struggle in spite of death, their masculinity as a leader is highlighted. Also, although they have achieved great civilization, aliens are depicted there as either ridiculous or gross animal images, for instance, ‘an old frog’ or ‘a duck’ in Disney. This is to stress the nobility of masculinity by describing the images of women and aliens as others contrastively. As examined above, in the 1960’s, there was an overflowing social atmosphere demanding powerful masculinity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as rapidly as possible. In fact, SF narratives contributed to creating the images of expansionistic desire towards the universe as well as complete and powerful masculinity culturally then.

      • KCI등재

        마해송의 동화에 나타난 연민의 양상과 의미 - 단편동화를 중심으로 -

        장수경(Jang, Su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이 논문은 누스바움의 연민의 개념 중 세 가지 인지적 요소를 활용해 마해송의 동화 「어머님의 선물」, 「형제」, 「오돌돌 한우물」, 「꽁초노인의 새장」에 나타난 연민의 양상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어머님의 선물」과 「형제」는 ‘부모-자식’의 갈등관계에서 연민의 감정이 화해와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강력한 동기를 제공한다는 데 주목한다. 「어머님의 선물」은 ‘죽음’이라는 인간 필멸의 문제를 다루면서 연민의 감정이 서로 이해하고 연대하는 통로로 작동한다는 데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형제」에서는 ‘부모-자식’의 관계에서 연민의 감정이 자식을 고유한 개별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하고 억압과 차별을 해체하는 동기가 된다는 점에서 감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오돌돌 한우물」과 「꽁초노인의 새장」은 연민의 감정을 ‘인간-동물’의 관계로 확대해 공존과 연대의 상상력을 드러낸다. 「오돌돌 한우물」에서는 연민의 감정이 ‘인간-동물’이 서로 종의 경계를 해체하고 연대와 공존을 추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꽁초노인의 새장」은 동물에 대한 연민의 감정이 동물을 소유물처럼 간주하거나 관리자의 역할을 자처하는 교만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진정한 상생을 구현하도록 해주는데 가교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해송의 동화는 인간의 삶에서 연민의 감정이 타자를 이해하는데 강력한 동기를 제공하며, 도덕적, 사회적 가치 판단과 실천에 긍정적 비전을 갖게 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 and meaning of compassion in Mahaesong’s fairy tale by applying three cognitive elements of Nussbaum’s concept of compassion. For this purpose, we intend to analyze “Mother’s Gift”, “Brother”, “A well of Odoldol”, and “Ggongcho Old Man’s Birdcage”. First, ‘Mother’s Gift’ and ‘Brother’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motion of compassion provides a powerful motive for forming reconciliation and intimacy in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Mother’s Gift’ deals with the mortal issue of ‘death’ and gives meaning to the fact that compassion works as a channel for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with each other. In addition, "Brother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eelings in the sense that the emotion of compassion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a motive for understanding the child as a being with unique individuality and dismantling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Second, “A well of Odoldol” and “Ggongcho Old Man"s Birdcage” expand the emotion of compassion to the “human-animal” relationship, revealing the imagination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In “A well of Odoldol”, the emotion of compassion shows that ‘human-animal’ can dismantle the boundaries of each other and pursue solidarity and coexistence. “Ggongcho Old Man"s Birdcage” shows compassion for animals, freeing them from the pride of considering animals as possessions or taking on the role of managers. In this respect, this work emphasizes that it serves as a bridge in enabling humans and animals to realize coexistence. As discussed above, the emotion of compassion is applied in Mahaesong"s fairy tale, providing a powerful motivation for understanding others in human life, and helping to develop a positive vision for moral and social value judgment and practice.

      • KCI등재

        드라마 <라켓소년단>의 청소년 캐릭터와 서사전략 연구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드라마 <라켓소년단>을 중심으로 청소년 캐릭터와 서사전략이 어떻게 구현되고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라켓소년단>은 비인기종목 스포츠로 소재를 확장해 흥행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청소년 드라마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드라마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드라마는 6명의 개성적 캐릭터와 꿈의 경계를 탈피하려는 청소년상을 보여줌으로써 지금-여기를 살아가는 보통 청소년들의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이는 기존의 청소년 캐릭터가 보여준 스테레오 타입의 전형적인 캐릭터에서 벗어나 개성적인 캐릭터의 이야기를 기대하던 시청자들의 욕망을 충족시켜주었다. 둘째, 이 드라마는 다양한 청소년 시청자가 즐길 수 있는 서사전략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이 드라마는 세 가지 서사 전략을 취한다. 먼저 이 드라마는 스포츠 장르의 성격을 강화하였다. 두 번째로는 연애스토리의 문범을 강화하였다. 세 번째로 또래집단과 맺는 관계를 통해 등장인물들이 함께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아가 이 드라마는 ‘학교’나 ‘집’처럼 좁은 공간이 아닌 ‘들판’, ‘바다’ 등의 넓은 공간에서 청소년들이 마음을 열고 친구들과 소통하며 함께 성장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성장의 세계로 진입하도록 도와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youth characters and narrative strategies appear and acquire meaning, focusing on the drama “Racket Boys.” The drama, Racket Boys, showed a new possibility of the drama in that it was successful by expanding its subject matter to unpopular sport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dram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rama shows 6 character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and It presents a picture of a youth trying to cross the boundaries of their dreams. It also captures the image of ordinary youth living now-here. This satisfied the desire of viewers who wanted to talk about individual characters, away from the stereotypical character of the stereo type that appeared in the existing youth characters. Second, this drama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narrative strategy that can be enjoyed by various youth viewers. The drama takes three narrative strategies. First of all, this drama reinforced the character of sports genre of sports. Second, the literary norm of the love story was strengthened. Third, characters show the characters growing together through relationships with peer groups. Furthermore, the drama helps teenagers enter a new world of growth in that they open their minds, communicate with friends, and grow together in large spaces such as “field” and “sea” rather than narrow spaces such as “school” and “home”.

      • KCI등재

        한낙원의 초기 SF의 양상과 낙관주의적 전망 - 「사라진 행글라이더」, 「어떤기적」, 「미애의 로봇친구」를 중심으로-

        장수경 ( Jang¸ Su-kyung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본고는 1960년대 한낙원의 초기 SF 「사라진 행글라이더」, 「어떤 기적」, 「미애의 로봇친구」를 중심으로 서사의 양상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SF는 아동 독자에게 과학과 문학의 통섭 속에서 당대인들의 사고와 관심을 담아내면서 미래에 대한 지향점과 새로운 관점을 갖도록 도와준다. 또한 SF는 아동 독자에게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를 확장하는 데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과 상상력으로 이행하도록 가교역할을 해준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낙원의 초기 SF에서 나타난 서사의 양상과 의미를 당대의 주요 관심이었던 우주, 외계인, 로봇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먼저 한낙원은 「사라진 행글라이더」와 「어떤 기적」에서 우주와 외계인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미래에 대해 낙관주의적 전망을 제시한다. 그런데 두 텍스트는 ‘남성’을 휴먼 주체로 세우는 과정에서 가부장적인 가치관을 드러낸다. 「사라진 행글라이더」는 ‘외계인-여성’의 이미지로 「어떤 기적」은 ‘동물-여성’의 이미지로 여성을 타자화한다는 점에서 1960년대의 중심 가치였던 가부장적 한계를 담아낸다. 또한 「미애의 로봇친구」에서는 로봇의 이미지를 통해 과학에 대한 낙관주의적 전망을 보여준다. 이 텍스트는 1960년대 로봇에 대한 상상력을 통해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보여주는 방식을 통해 미약하지만 오늘날 문학의 주요 화두인 포스트 휴머니즘의 맹아적 관점을 제시한다는데 의미를 지닌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낙원의 초기 SF는 인류의 미래에 대한 낙관주의적 전망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1970년대까지 SF 문학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유토피아적 관점을 견지한다. 하지만 우주, 외계인, 로봇을 구체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는 가부장적 가치관을 반복하거나, 인간의 이기주의적 태도를 보여준다. 이처럼 한낙원의 초기 SF는 1960년대 아동 독자에게 과학에 대한 유토피아적 전망과 함께 새로운 가치에 대해 고민하도록 이끈다는 점에서 미래 세대를 위한 문학의 가교 역할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and its meaning, focusing on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The Disappeared Hang Glider', 'A Miracle', and 'Mi-ae’s Robot Friend' in the 1960s. Science fiction guides children's readers to have new perspectives and orientations for the future while embracing people's thoughts and interests between the consilience of science and literature. In addition, SF helps the child reader to play a bridging role to transition to a new paradigm and imagination in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xplored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narrative that appeared in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focusing on the space, aliens, and robots, which were of major interest in the 1960s. First, Han Nak-Won presents an optimistic outlook for the future of mankind in the process of imaging the universe and aliens in “The Disappeared Hang Glider” and “A Miracle.” However, the two texts reveal the values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the process of shaping ‘male’ as a human subject. “The Disappeared Hang Glider” reveals the patriarchal limitations that were central to the 1960s in that it is an image of “alien-woman” and “A Miracle” is an image of “animal-woman” that otherizes women. Also, in 'Miae’s Robot Friend', the image of a robot reveals an optimistic view of science. This tex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through the imagination of 1960s robots.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sprout perspective of post-humanism, a major topic in today's literature. As discussed above,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reveals an optimistic outlook for the future. In this respect, his texts reproduce the utopian point of view that appeared in science fiction literature until the 1970s. However, in the process of imagining space, aliens, and robots, his works repeat the patriarchal system or show limitations in revealing human selfish attitude. As such, Han Nakwon’s early science fiction leads children in the 1960s to think about new values along with a utopian outlook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his literature served as a bridge between literature for future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